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규인 Dec 14. 2023

어색한 하루

 병원 예약 앱을 모르는 조부모들이 손주들을 데리고 현장에서 오래 기다렸다가 진료를 본다는 기사를 며칠 전에 봤다. 나 또한 아이가 아프면 인터넷 예약을 하고 병원에 데려가는 경우가 많다. 현장 대기를 하려면 오픈런 최소 30분 이상은 기다려야 하고 원하는 시간에 예약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예약 문화가 곳곳에 적용되다 보니 줄 서서 먹던 문화가 익숙한 나로서는 어색하고 불편하게 느껴졌다. 병원에서 현장 접수를 하느라 기다리는 조부모의 심정을 조금은 알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오늘만 해도 크리스마스트리 장식이 한창인 모 백화점을 찾았는데, 개점시간 전부터 입구에는 사람들로 붐볐다. 10시 반 문을 열자마자 사람들은 서둘러서 트리 장식이 있는 곳으로 향했고, QR코드를 찍어서 대기 순번을 정해야 했다. 물론 이 백화점은 미리 SNS에 공지를 띄워 인터넷으로 예약을 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SNS를 하지 않기도 하고, 미리 예약하는 게 익숙하지 않다 보니 결국 현장에서 줄을 섰다가 예약을 했다. 아침부터 다른 사람들이 캔슬하길 바라며, 나의 순번이 돌아오길 하염없이 기다렸다. 대기한 지 한 시간 반쯤 지나서 크리스마스 장식을 보러 입장할 수 있었다.


  이게 끝이 아니었다. 밥을 먹기 위해서도 앱으로 대기를 해야 하고,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도 앱으로 대기하는 건 필수였다. 순번 대기를 위해서 새로 어플을 깔아야 하는 수고스러움과 어느 순번이 먼저 도래할지 몰라 우왕좌왕하기도 했으며, 내 순번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번거로움도 더해져서 피로가 쌓여갔다. 게다가 예약한 식당을 찾느라 동동거리기까지 했다. 위치를 파악하지 않고 일단 대기를 걸어뒀던 게 문제였다. 순번이 됐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취소가 된다고 했다. 겨우겨우 식당을 찾았으나 예약시간이 지나있었다. 다행히 자리가 있어서 앉을 수 있었다.


 자리에 앉고 한숨을 돌리자 주변 사람들이 눈에 들어왔다. 젊은이들 사이에 할머니 네 분이 식사를 하고 계셨다. '저분들은 어떻게 예약을 하고 오셨을까?' 의아했다. 친구는 그 할머니들을 보며 나중에 우리도 멋지게 나이 들어 이렇게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밥을 먹자고 했다. 지금부터도 젊은이들 문화가 익숙하지 않아서 헤매는데 앞으로 시간이 흐른 뒤에 잘 적응할 수 있을런지. 기계를 잘 다루고 정보에 빨라야 편한 시대가 되었다. 아직까지 아날로그 방식이 익숙하다 보니 몸이 고단한 걸 감수해야 한다.  참으로 어색한 하루였다.

작가의 이전글 이석증을 아시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