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계연춘추 Dec 27. 2021

《한반도 지정학》 집필 계획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문제와 평화적 대안에 대한 모색

여러 지인들의 요청이 있어 한동안 브런치에 글을 올릴 생각이다.


대체로 국내에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지정학 담론들을 소개하고, 나아가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다양한 지정학 현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전체 제목은 《한반도 지정학: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문제와 평화적 대안에 대한 모색》이며, 총 3장으로 나누어 글을 쓰고자 한다.

 

제1장 세계질서에 관한 지정학적 논의

    1.1 매킨더의 심장지대론과 정치지리학 비평

    1.2 페어그리브의 분쇄지대론과 역사지리학 비평

    1.3 하우스호퍼의 태평양 지정학

    1.4 스파이크먼의 림랜드와 힘의 균형론

    1.5 코헨의 분쇄지대와 문호국가

    1.6 브레진스키의 지정학 전략과 중앙아시아 블랙홀

    1.7 두긴과 신-유라시아 학파의 다극체제 구상

    1.8 류야저우와 다이쉬: 중국 내부의 지정학 논쟁

    1.9 “행운섬”과 스트렛포 출신 지정학자들(상)

    1.10 “행운섬”과 스트렛포 출신 지정학자들(하)


제2장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문제에 관한 논의

    2.1 반-패권주의 기치 하의 중·러 군사협력체(상) -중·소 분쟁과 심장지대의 분열

    2.2 반-패권주의 기치 하의 중·러 군사협력체(중) -안디잔 사태와 키르기스스탄 10월 혁명

    2.3 반-패권주의 기치 하의 중·러 군사협력체(하) -솔레마니 암살과 탈레반 재집권

    2.4 중국의 심장지대 진출(상)

    2.5 중국의 심장지대 진출(중)

    2.6 중국의 심장지대 진출(하)

    2.7 중국의 지정학적 난제(상) -出海口 문제와 親中의 딜레마

    2.8 중국의 지정학적 난제(중) -가상의 공동체, 그리고 와하비즘의 新疆 전파

    2.9 중국의 지정학적 난제(하) -茶馬古道와 중국의 티베트 지배

    2.10 중화제국과 한반도 정권의 불편한 공존


제3장 한국의, 한국에 의한, 한국을 위한 지정학

    3.1 한반도의 지리적 구조와 지정학적 해양성과의 관계

    3.2 요동공동체론을 거부하며

    3.3 제국과 내셔널리즘 국가의 갈림길에서

    3.4 공간에 대한 반성 -동북아시아라는 지정학적 권역을 생각하다

    3.5 호르무즈 딜레마 -한국의 자원 안보 위기(상)

    3.6 호르무즈 딜레마 -한국의 자원 안보 위기(하)

    3.7 사드 배치와 중국의 핵균형論

    3.8 미·중 체제와 한국의 경제번영

    3.9 “아프가니스탄 모델”에 따른 연방제 통일 가능성

    3.10 한국의, 한국에 의한, 한국을 위한 지정학을 기대하며

작가의 이전글 1.3 하우스호퍼의 태평양 지정학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