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라 Feb 21. 2021

남편과 함께 휴직해서 아이를 보면 생기는 문제

남편의 육아휴직으로 24시간을 함께 아이를 본다.

처음에는 으쌰 으쌰 했다. 남편도 육아에 열심히 참여하고자 하는 열의를 보였다. 나 또한 힘들 때 누군가에게 맡기고 잠시 숨 고를 수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부부가 함께 육아 휴직을 하다 보니 서로 부딪힌다.

두 사람이 선장이 되어 육아라는 배에 올라탔는데, 이러다간 좌초될 거 같다. 위기다.



혼자 아이를 볼 때는 신체적으로 힘들었는데, 같이 아이를 보니 이제 정신적으로 힘들다. 아이를 키우는 방법에 대한 생각이 이렇게 다를 수 있다니...


남자가 여자보다 덜 세심해서 일까? 이건 성별의 차이인가? 역시 아이는 엄마가 키워야 하는가? 등등 처음 부부가 되어서 적응해갈 때 사소한 생활 문제로 다투었던 게 생각났다.


아이가 울면 안아줘야 한다. 아이마다 성장 속도가 다르니 아이의 속도에 맞춰줘야 한다. 아니다. 어른이 아이의 성장을 이끌어줘야 한다. 등등



현재는 서로의 방법에 토 달지 않고 간섭하지 않고 있다. 누구의 방법이 절대적으로 옳은지 모른다. 아이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게 무엇인지 공식적으로 단정 지어서 알 수 없다.


부부가 육아휴직을 동시에 한다면, 육아 철학을 미리 공유한다면 좋을 듯하다. 나는 그럴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일단 저질러 본 케이스라.. 이런 문제가 생길 거라곤 생각을 못했다.


부부가 함께 24시간을 아이를 돌본다면 마냥 행복하지 않다. 아이를 돌보는 행위에 한 개인의 철학이 스며든다. 아무리 부부라고 해도 독립된 개인이라 두 사람의 철학이 일치할 수 없다. 아이를 키우면서 부부만의 육아 철학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어야지 행복하게 그 기간을 보낼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나는 ooo을 사랑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