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쉬의 인사이트 Jul 09. 2021

우울증 특유의 부정적으로
왜곡된 생각을 강화시킬 가능성

카페인은 빠르게 흡수되어 30분에서 2시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를 이루고, 3~4시간 정도가 지나면 감소하기 시작한다. 뇌 속으로 매우 잘 들어가는 물질이며, 뇌에서는 아데노신 수용체라는 곳에 작용해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한다. 말 그대로 뇌의 여러 부분을 자극하는 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덕분에 흔히 알고 있는 "각성"과 관련된 효과를 보는 것이다.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적은 양의 카페인(50~200mg)은 긍정적 효과가 더 많다. 각성과 함께 에너지를 올려주고, 기분 좋은 느낌과 기억력을 조금 향상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양의 카페인(400~800mg, 미국 정신 의학회에서는 250mg 제시)은 불안, 초조, 안절부절못함, 불면, 심박동수 증가, 손떨림과 같은 부정적 효과를 보인다. 하루 300~400mg의 카페인, 일반 커피로 치면 하루 4~5잔까지는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건 서양인 기준으로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보다는 적게 마시는 것이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카페인 자체가 불안장애나 우울증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 결과가 일정하지 않고 원인 결과 관계가 불분명하다. 그러나 부정적 효과가 불분명함에도 불구하고 복용을 줄이는 것을 권하는 이유는 존재하고 있었다.

먼저 카페인은 아데노신이 결합해야 할 수용체의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뇌에 전달되어야 하는 졸음 신호를 차단한다. 그렇기 때문에 체내에 수면에 강한 충동을 느끼는 아데노신의 농도가 높아져도 우리는 정신이 또렷해지고 만다. 간 효소에 의해 카페인이 분해되어 수용체가 비워지는 즉시 아데노신이 밀려들며 수용체를 가득 채우게 되고, 깨어있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카페인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수면을 방해하고 수면 주기에 영향을 끼치는 카페인의 과다 섭취는 면역 기능을 떨어뜨려 불안장애, 우울증, 조울증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 당뇨, 암, 비만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불면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카페인은 급성기 증상뿐 아니라 오랜 기간 꾸준히 복용하다 줄였을 경우, 혹은 한 차례 고용량 복용 후 중단했을 경우 금단증상으로 불 수 있는 것들이 생긴다(withdrawal symptoms). 두통, 피곤함, 졸림, 불쾌하거나 우울한 기분, 짜증, 집중력 저하, 감기 같은 증상(구역감, 근육통). 이러한 증상 역시 우울증에서의 증상과 비슷할 수 있어 기존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처럼 보이고, 우울증 특유의 부정적으로 왜곡된 생각을 강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사람을 만나고 사업상의 만남을 가지며 심지어 면접도 카페에서 이뤄지는 것이 요즘 현실이다. 그 많고도 중요한 일들이 커피 잔을 앞에 놓고 벌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피 없이 살아가기는 힘들다. 그러나 커피 말고도 에너지 드링크, 콜라, 초콜릿, 차 등 카페인 과잉에 빠질 수 있는 위험요소가 너무 많다. 카페인과 관련한 중독증상이 나타나고 이것이 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준다면 카페인 섭취와 관련해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으며 건강한 카페인 섭취로 정신건강은 물론 신체건강까지 챙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가의 이전글 그러든가 말든가의 정신. 연희동 카페 쿠키바 심두 沁逗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