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Service Feb 09. 2023

'보안' vs '보호' 단어 선택의 관행적 기준

정보보호? 정보보안? 기술보호?...

어떤 경우에 '보안'이라 하고, 어떤 경우에 '보호'라는 단어를 더 많이 택하는지 대략의 규칙성을

2021년 초에 찾아서 정리해 봤었는데, 현재까지 별다른 이견은 듣지 못했습니다.


 1. 총괄적인 범위 또는 특정 Container를 지칭할 때 : '보안'

 2. 특정 범위의 Contents로 한정해서는 : '보호'

 3. 운영 활동에는 : '보안'


단어 자체로서

‘보안’은 Security에 대응하고, ‘보호’ Protection에 대응함을 의식하고

일반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 조합을 놓고 찾아본 관행적 규칙으로서,

더 자세한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총괄적인 범위/영역 또는 Container : '보안'

• 기업 보안

• 산업 보안

• 생산 보안

• 스마트공장 보안

• ICS/IoT 보안

• 사이버 보안

• 문서 보안

• USB/매체 보안


2. 특정 범위의 Contents : '보호'

• 정보 보호

• 영업비밀 보호

• 기술 보호 (산업기술/방산기술/국가핵심기술 등)

• Signal 보호

• 개인정보 보호


3. 운영 활동 : '보안'

• IT/System 운영 보안

• 장치/설비 운영 보안


4. 문맥/상황에 따른 용어 선택

• 장치/설비

  장치/설비 보호 : 제조용 장치/설비를 그 장치/설비의 외부에서 보호

  장치/설비 보안 : 제조용 장치/설비 자체에 보안 기능을 내장

• 제품

  제품 보안 : 제품 자체에 보안 요소를 내장

  제품 보호 : 제품 자체를 외부(충격/도난 등 주로 물리적 의미)로부터 보호


5. 사회 공동체 관련  : ‘안전’, 안보’, 방위’, 안녕’ 등


Microsoft에서는 Office365 Service에서

"information Protec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internal information" or "One's Own information"을 대상으로 합니다.

즉, 해당 조직 소유의 Primary Asset를 보호하는 것을 뜻하며,

실무적으로는 Office File 및 이를 취급하는 여러 Cloud Service의 기술적 보호를 지칭합니다.

우리말 단어 그대로 자연스럽게 "정보 보호"로 번역되지요.


다만,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와 같은 상황에서는

"정보 보호 사고"보다는 "정보 보안 사고"가 더 자주 쓰이는데,

"information 영역에서의 Security incident"를 줄인 표현이라고 보면

위 가설에 그리 모순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정보보호, 기술보호, 개인정보보호, 산업보안, 스마트공장 보안, 사이버보안, 문서보안 등

현재 흔하게 쓰이는 복합어들이

나름의 질서를 지키고 있는 상태로 보입니다.


위 가설은

그저 관행적으로 많이 쓰는 이유를 찾아본 결과일 뿐

'정보보안'같은 표현 선택이

틀리다는 주장은 당연히 아닙니다.


                    

작가의 이전글 '**보안' 유사 용어 선택과 그 영역 범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