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 모두는 서로에게 화를 내고 있는가
금융 위기의 영향으로 여러 나라의 젊은 세대가 받는 소득이 정체되거나 역전되었다. 반면 지난 10년간 증가한 부의 대부분은 나이 든 세대들이 차지했다. … 가장 놀라운 것은 각기 30대 초반일 때 밀레니얼 세대의 실질 가처분 소득이 X세대 소득보다 4퍼센트 낮아졌다는 점이다. 금융 위기로 인해 진보가 정체된 데 그치지 않고 역전된 것이다.
(바비 더피 著 『세대 감각(e북)』, 어크로스, 1장 '자산: 불경기는 우리를 어떻게 갈라놓는가' 중에서)
나이 들었다고 더 많은 월급에 성과까지 챙겨가는 건 '꼰대' 아닌가
vs
기본적인 예의까지 일일이 가르쳐줘야 하나
후판단편향은 어떻게, 어디에 사느냐에 대한 우리의 관점에도 영향을 준다. … 높은 주택 보유율과 이것이 가져다준 부 등 나이 든 세대의 행운은 지금 와서는 필연적 결과로 보인다. 실은 나이 든 세대도 그것을 전혀 쉽게 얻지 않았으며, 자신들이 이후 세대들에 비해 특별히 행운아의 운명을 타고났다고 생각지 않는다.
(위의 책, 2장 '주거: 내 집 마련의 꿈과 멀어지다' 중에서)
나이가 들면 다 저렇게 되는 건가?
vs
요즘 것들은 다 저렇게 사는 건가?
저출산의 충격도 가시화된다. 압권은 생산가능인구의 하락이다. 2018년 최초로 줄어든 이래 낙폭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 아직은 버티지만 2020년 0.84명이라는 출산율을 보면 20~30년 후엔 인력 부족이 본격화될 것이다. 참고로 20년 후 스무 살이 되는 2020년 출생자는 27만 2,000명뿐이다.
(전영수 著 『2022-2027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블랙피쉬, part 1 '인구 절벽이 코앞까지 왔다' 중에서)
우리 모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뇌 속의 편의적 관성에 조금씩 이끌린다
시대적 특성으로 정의될 정도로 광범위한 사회 현상이 나타나는 데에는
분명히 합당한 이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