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P 장진규 파트너 인터뷰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DHP)를 만들어가는 파트너들을 시리즈로 만나봅니다. 각기 개성 강한 분야에서 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하나만 보고 다양한 팀을 발굴하고, 투자하고, 육성하는 일을 하고있는 파트너들. 그 첫 번째 주자는 장진규 파트너입니다. 의료인이 주축이 된 DHP 파트너들 중 프로덕트 사이드의 귀한 목소리를 내주시는 파트너입니다. 장진규 파트너가 어떤 투자 관점을 가지고 팀을 바라보는지, 그 애정까지 느낄 수 있는 인터뷰였습니다.
interviewer. 신소민
DHP가 2016년 처음 만들어지고, 1년 정도는 버티컬 엑셀러레이터로서의 POC를 거쳤어요. 이 고민 과정에서 최윤섭 대표님과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UX를 고민하면서, DHP의 초기 파트너로 합류했죠. 초반에는 최윤섭 대표와 제가 둘이서 액티브하게 DHP의 정체성을 함께 빌드해나갔습니다.
파운더로 함께하진 않았지만, 베이스라인을 함께 잡는 과정에서 DHP의 조직화에 기여했고요. DHP 파트너로서의 롤은, 헬스케어 분야를 UX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하는 방식을 투자사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는 팀'인지를 가장 중점적으로 봅니다. 이를 판단하는 저의 코어 기준은 ‘사용자경험' 이고요. 이 프로덕트가 과연 사용자들에게 얼마나 잘 전달되고, 일상생활의 작은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지에 포커스를 두고 있습니다.
창업자 본인에 대한 질문을 많이 던집니다. 특히 DHP같은 초기 투자를 하는 기업에는 정량적인 지표가 없는 경우가 많죠. 이런 경우 창업자가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해당 분야에 대해 산업적인 이해를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가능한 서비스인지.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저도 섣불리 판단할 수 없기에, 질문과 경청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영자로서의 철학과 소양을 많이 봅니다. 시스템보다 사람이 하는 일이 바로 스타트업이기 때문에, 경영자의 철학과 소양은 실제 비전을 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척도입니다.
또한, 의료진과 연관된 형태의 서비스는 특수한 케이스가 있을 수 있음을 유념합니다. 이런 부분들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질문하고 경청하는 과정을 꼭 거치고 있습니다.
루티너리와 펫페오톡인데요. 제가 발굴한 스타트업이기도 한 이 두 팀을 소개할 때 이 두 회사가 현재 하고있는 아이템과 대표님들에 대한 확신이 있었어요. 폭발적인 성장 가능성보다는, ‘이런 팀과 아이템이라면 망하지 않겠다’는 확신이 지금도 있고요.
예컨대, 루티너리가 말하는 ‘습관형성’은 헬스케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이슈이기도 하지만, 이를 디지털 프로덕트로 잘 풀어내는 곳은 많이 없어서 더 기억에 남아요.
최근 투자한 킬로도 ‘실현 가능성’의 측면에서 기억에 남아요. 사업의 취지, 전문성, 방향성을 잘 세웠음에도 프로덕트가 안 나와서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요, 킬로는 확실히 프로덕트를 잘 만들 수 있는 팀이었습니다. 법인을 설립하기 전에 만든 프로덕트로 이미 사용자를 모아본 경험이 있었고요. 오형준 대표님이 방향성과 비전 설득을 굉장히 잘하셨었죠.
DHP 파트너들은 대부분 의료인이나, 의료 영역에 특화된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어요. 메디컬 관점에서는 부정요소가 많아도, 사용자 관점에서는 리즈너블한 경우들이 있어요. 그 반대의 경우도 물론 있고요. 이런 시각이 의료 베이스의 DHP 파트너들의 뷰와 밸런스를 이루고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저를 비롯한 DHP파트너 모두가 진정성 있게 문제를 함께 고민해 나가고 있습니다.
DHP에서 최근 플랫폼 중심의 웰니스 스타트업까지 투자영역을 확대하면서 사용자경험 측면의 멘토링이 유의미한 경우가 더욱 생기고 있습니다. 웰니스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의료진과 연관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야 말로 UX가 매우 중요한데 신경을 못 쓰거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스타트업들이 있는데요. 이런 스타트업들에도 UX 및 서비스 모델링 측면에서의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 또는 응용해서 헬스케어라는 산업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덕트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사용자들이 수혜를 입는 방식이 헬스케어에 관련되어야 하고요. 따라서 헬스케어의 문제를 풀 수 있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기본으로 되어야 합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규모는 이젠 일정 수준으로 올라와 있습니다. 마켓은 충분히 준비되어있고, 그 속에서 질적인 성장을 얼만큼 이룰 것이냐가 관건입니다. 이를 위해 ‘디지털’을 이용해서 범용성 있게 잘 풀어내는 서비스들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좋은 인재, 특히 디지털에 강한 인재들이 많이 유입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미 이커머스, 핀테크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지켜봐왔어요. 디지털 헬스케어는 아직 좋은 프로덕트 디자이너, 사용자 경험 리서처, UI 디자이너, 기획자 등이 많이 부족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에는 헬스케어가 아닌 디지털을 잘 다루고 구현하는게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 컴퍼니빌더 컴패노이드랩스Companoid Labs 의장
현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DHP) 파트너
현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겸임교수
현 삼성전자 디지털헬스케어포럼 자문협의체 자문위원
현 아산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연구중심병원육성R&D사업사업화 전문위원
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및 스타트업 분과 전문가 자문 협의체 자문위원
현 +60Startup Inve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