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하육수 Nov 29. 2024

행복한 뒤통수를 마치며

준후에게는 애착이불이 있는데 알레르기 방지용으로 나온 이불로 가벼우면서 덮으면 바스락 소리가 난다. 준후는 자신의 몸을 이리저리 휘감으면서 들리는 그 사각거림이 좋은지 집에 있으면 시도 때도 없이 그 이불만 찾고 온종일 이불과 한 몸이 되어 뒹구는 통에 하루는 그걸 숨겨놨다. 


“이부! 이부울!”

애타게 이불을 울부짖었지만 나는 잠잘 때 줄 수 있다고 말했고 내 말을 이해 못 한 준후는 계속 이불을 찾았다. 남편이 퇴근하고 나서도 이불 타령은 멈추지 않았고 보다 못한 남편이 말했다. 

“그럼 우리 일찍 잘까?”

아직 씻지도 않았는데 뭘 자냐는 나의 잔소리를 등진 채 두 남자는 장롱에서 준후 손이 닿지 않게 높이 놔둔 이불을 꺼냈다. 


남편이 이불을 건네자 마치 진귀한 보물이라도 발견한 것처럼 준후는 “우와!” 감탄을 하더니 얼굴을 이불에 푹 파묻으며 부비적댔다. 그러고는 내가 뺏을까 봐 이불을 꽉 붙잡고는 쏜살같이 침대로 달려갔다. 저게 저리 좋을까 싶어 나는 어이없는 웃음을 내뱉으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때였다. 


“저기 봐.”

남편이 준후의 뒷모습을 보며 말했다. 나는 준후 뒤에 뭐 묻었나 싶어 쳐다봤는데 그냥 이불 업고 튀는 맹랑한 아들의 뒤태뿐이었다. 내가 뭘 보란 거냐며 눈짓으로 말하니 남편은 여전히 준후의 뒷모습에 시선을 고정한 채 말했다. 


“준후 뒤통수가 행복해 보여. 이불 하나에 저렇게 행복해하다니. 행복한 뒤통수 같지 않아?”

“행복한 뒤통수?”


그러고 보니 준후의 뒷모습만 봐도 쟤가 지금 얼마나 들뜨고 설레하는지 알 수 있었다. 앞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어떤 얼굴을 하고 있을지 충분히 예상이 됐다. 눈은 갈고리처럼 휘어져있고 콧구멍은 벌렁거리고 헤벌쭉 벌린 입에는 빠진 앞니 구멍으로 공기가 숭숭 들어오고 있겠지. 뭘 해도 감흥이 없던 아이가 고작 이불 하나로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된 것이다. 


남편의 그 단어는 종의 울림처럼 오래도록 내 머리에 파문을 만들었다. 치료 정체기인 시기였다. 아무리 새로운 치료센터, 영양제 등을 투입해도 소용없었다. 아이는 자폐 증상이 점점 짙어졌고 나는 걱정과 좌절로 몸부릴 칠 때였다. 행복은 아이가 자폐가 아닐 때만 느낄 수 있는 거라고 생각했다. 다른 사람들과 기준이 다르면 우린 행복해질 수 없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행복은 아이의 이불처럼 아주 가까이 있었다. 고소한 나물 반찬에서, 잔잔한 솜털이 박힌 아이의 볼에서, 창 밖의 눈부시도록 투명한 하늘에서 찾을 수 있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다는 그 단순하고도 명백한 진리를 나는 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아이가 행복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하며 브런치 스토리를 다시 시작했다.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보고자 타닥타닥 키보드를 두드렸고 뒤통수마저 행복한 아이처럼 되라는 의미로 남편이 툭 던진 그 말을 소설 제목으로 정했다. ‘행복한 뒤통수’


난 쓰다 만 글들이 너무 많았다. 언제나 중간쯤 쓰다가 멈췄고 어떤 건 제목만 덜렁 있는 것도 있다. 그런 내가 아이를 소재로 글을, 그것도 연재소설을 쓸 수 있을까, 과연 완결은 할 수 있을까 걱정이 앞섰다. 하지만 그만큼 무거운 책임감이 나를 압박했다. 다른 이야기도 아니고 자식 이야기인데 미완으로 남긴다면 나 자신이 한심할뿐만 아니라 아이에게도 큰 모욕이 될 것 같았다. 


연재는 예전에 끝났지만 감히 완결버튼을 누를 수 없었다. 고치고 또 수정하며 이제 겨우 떨리는 손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나의 이 부족한 글을 읽고 라이킷을 눌러주고 응원해 주신 아량 넓은 브런치 작가님들과 독자님들 덕분에 이 연재를 잘 마감할 수 있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낯부끄럽고 드러내 보이기 민망하지만 ‘책이라는 자식을 낳는다’는 강원국 작가님의 말처럼 나도 조심스레 내 자식 이야기가 들어있는 자식을 세상 밖으로 내놓는다.


모르는 단어가 있어 사전을 검색하다 문득 ‘복지’란 단어를 찾아봤다.  

· 복지(福祉): 행복한 삶

사회 복지, 근로자 복지, 아동 복지, 장애인 복지 등 복지란 말을 많이 들어봤지만 정작 이게 어떤 뜻인지도 모르고 썼는데 뜻풀이를 보니 왠지 맥이 탁 풀렸다. 거창하고 대단한 뭔가가 있는 줄 알았는데 아주 단순 명료하게 설명된 걸 보면 내 인생도, 우리 가족의 미래도, 준후의 행복도 어쩌면 단순 명료한 게 아닐까. 행복하자! 란 말을 하면 행복이 뿅! 하고 나타나진 않지만 적어도 ‘행복한 뒤통수’를 쓰는 순간순간들은 행복했다. 


불행한 경험도 나중에 떠오르면 행복한 일이었다고 회상하듯이 내 모든 일상이, 준후의 시간들이 행복이란 물감으로 칠해지길 바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