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적정한 온도 Jun 18. 2022

휴먼은 쉬어야 해요






    휴직한지 일주일 만에 코로나에 걸려 버렸다. 목에서는 목구멍을 향한 융단폭격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어 적잖이 괴로웠지만, 한편으로는 조금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코로나 덕분에 할 수 있는 일이 온전히 누워서 쉬는 일 밖에 없으니까. 코로나 덕분에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암묵적인 허용이 있으니까.


    그렇게 한 이틀은 정말 말 그대로 누워서 지냈다. 몸은 침대에 누워있지만 마음 한구석에서는 자꾸만 불안함이 치고 올라왔다. 휴직하기 전에 맞춰놓았던 이직 자리 알람이 울릴 때면 내가 이래도 되는 건지, 얼른 한 군데에라도 이력서를 내야 되는 게 맞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고, 세상에 잘난 사람들은 왜 이토록 많은 건지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나를 그들의 영상으로 이끌 때면 나도 누워있지만 말고 뭐라도 해야 될 것만 같은 압박감이 들었다.


    그렇게 자꾸만 찾아오는 압박감에 괴롭기를 수차례. 나는 과감하게 “뭐라도 해야 된다는 생각”을 멈추기로 했다. 일단 몇 주 동안은 오로지 쉬기만 하기로 했다. 내가 휴직하기로 결심한 것은 쉬는 시간 동안 뭔가를 새롭게 시작하기 위함은 아니었으니까. 회사 다니며 바짝 쪼그라들었던 몸과 마음의 긴장을 느슨하게 푸는 게 가장 큰 목적이었으니까. 휴직을 결심했던 최초의 목적을 상기시키니, 새로운 도전으로 나를 채우는 일보다 내 안의 묵은 찌꺼기들을 먼저 비우자는 결론이 자연스럽게 내려졌다. 그 뒤로도 불쑥불쑥 불안함이 자꾸 엄습할 때면, 일단은 “쉬는 게 먼저야”라고 조용히 나에게 말하고 초조해진 마음을 얼른 가라앉혔다. 그러자, 드디어 내 마음에도 평온함이 조금씩 번지기 시작했다.


    마음이 평온한 상태로 머무는 게 실로 얼마 만이었던 건지. 또, 이런 식으로 자연스럽게 부정적인 생각들의 연결고리를 끊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한 것이 실로 얼마 만이었는지. 새삼 나에게 벌어진 상황이 놀라웠다. 그도 그럴 것이 휴직하기 전 나의 상태로는 절대로 불가능했을 사고의 흐름이었으니까. 그때의 나에게 있어, 부정적인 사고를 멈추고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체하는 시스템은 내 안에서 늘 작동 오류였다. 무언가 짜증 나는 일이 생기면 끊임없이 그 사건을 곱씹으며 부정적인 기운만 증폭시켜 나갔다. 회복탄력성은 길가에 오랫동안 버려진 자전거 바퀴처럼 바람 빠진지 오래였고, 희망 회로는 하나도 남김없이 다 타버린 듯했다. 그랬던 나이기에 딱히 의도해서 긍정적인 사고를 하려고 한 것도 아닌데, 스스로 걱정과 고민의 구렁텅이 속으로 또다시 파고 들어가는 것을 멈추고, 새로운 빛을 향해 가보자고 마음먹게 된 것은 나에게 벌어진 매우 놀라운 일이었다. 이 모든 게 회사로부터 멀어졌기에 생긴 마음의 변화라는 사실이 신기하기도 했고, 동시에 도대체 회사는 그동안 나에게 무슨 짓을 했길래 나의 사고 회로는 그토록 망가져버린건지 씁쓸하기도 했다.


    쉬어보니, 이제서야 비로소 알 것 같았다. 왜 사람에겐 휴식이 필요한지. 앞으로 달려 나가기만 할 땐 몰랐다. 아니, 머리로만 알았다. "그래, 과부하가 왔으니 좀 쉬면 마음의 여유도 생기고 좋겠지." 하지만, 뭐가 어떻게 좋아질지 정확히는 알지 못했다. 그런데 쉬어보니, 알겠다. 쉰다는 건 나라는 세상이 바뀔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을. 휴직을 하고 경험해 보니 비로소 알 것 같았다. 우리는 몸도 마음도 연약한 사람이라는 존재다. 하물며 기계도 오랜 시간을 돌리면 잠시 쉬었다가 다시 돌리는데, 왜 나는 십몇 년이라는 시간 동안 스스로를 쉼 없이 일하게 했던 걸까.

    요즈음  나는 만나는 사람들에게마다 휴직을 권한다. 우리는 한낱 연약한 휴먼에 불과하니까, 그리고 휴먼은 쉬어야 되고, 쉬게 되었을 때 우리는 예상치 못한 스스로의 변화를 만나게 될 테니까.




작가의 이전글 12년만의 첫 휴직. 나는 비생산적으로 살기로 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