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스튜 Mar 12. 2022

[책 리뷰] 나의 첫 마케팅 수업, 박주훈

실무기반의 마케팅 원론 요약본

마케팅이라는 영역은 퍼포먼스 마케팅의 분석 방법론을 제외하고는 세일즈와 커머스 백그라운드인 나에게 실무로서 경험해보지 못한 가장 모호한 영역이다. 내가 가장 관심있는 소비재는 특히 상향평준화되어 가는 시장속에서 마케팅의 영역이 중요시된다는 것을 알기에 최근에 가장 관심있게 공부하고 있는 영역이 마케팅의 영역이기도 하다.


미리 사둔 두꺼운 마케팅 책을 읽기 전 가볍게 들게 된 <나의 첫 마케팅 수업>을 한줄 평하자면, 실무 포커스된 마케팅 원론이라 하겠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내용으로 마케팅의 개념과 R&R에 대해 가볍게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실상 소비자 접점에서 발생되는 모든 일과 관련된 마케팅이라는 영역의 범위가 혼란스러웠던 나에게도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정리하고 되짚어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특히 하루면 다 읽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해당 책에서 정리해두고 싶은 내용들은 아래와 같다.


1. 마케팅의 범위

1) 고객의 욕구와 시장의 욕구 조사

2) 고객 욕구에 맞는 제품 및 서비스 기획

3) 고객을 설득하기 위한 광고, 홍보, 프로모션 진행

4) 브랜딩을 위한 고객 관리


2. 미션, 비전, 전략

1) 미션: 회사의 존재 이유

2) 비전: 미션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이뤄야 할 회사의 미래 모습

3) 전략: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3. 마케팅 기획과정의 방법론

1) 미거시 환경과 트렌드 분석을 통해 기회와 위협요인을 파악하고, 자사 및 경쟁사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한다. *사용되는 Framework: 거시환경분석- STEEP(Social, Technical, Environmental, Economic, Political), 미시환경분석- 3C(Company, Competitor, Customer), SWOT분석(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2) 시장세분화( Segmentation)를 통해 새로운 시장가능성을 파악하고 그 중 가장 적절한 시장을 선택해(Targeting), 그 곳의 경쟁자와 차별되는 가치를 제시하는 마케팅 콘셉트를 도출(Positioning)한다.

* 사용되는 Framework: STP분석

3) 마케팅 콘셉트를 4P에 적용하여 콘셉트력을 높인다.

4) 마케팅 콘셉트에 따라 메세지의 우선순위 및 표현방식을 결정한다. 실행아이템과 진행일정을 계획한다.

5) KPI를 개발하고 적정예산을 계획한다.


해당 책의 내용들은 정말 기본적인 내용들로 깊이 생각할 수 있는 내용들은 아니었으나, 학부시절 듣던 프레임워크들이 다시 새록새록 떠오르고, 정석적인 적용방식을 깔끔하게 정리해 되새김질할 수 있다는 부분이 좋았다. 이론적인 내용을 그대로 실무에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마케팅직무를 막 시작한 직장인이나 마케팅의 개념을 빠르게 훑고 넘어가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책 리뷰] NFT 레볼루션, 성소라 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