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스튜 Mar 03. 2023

[책 리뷰] 대한민국 주식투자자를 위한-, 이강연

말 그대로 완벽한 재무제표 분석 교본

해당 책의 풀네임은 "대한민국 주식투자자를 위한 완벽한 재무제표 읽기"이다. 해당 책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금융권에서 기업분석에 몸담은 작가가 재무제표 분석에 대해 쓴 책이다. 

나는 해당 서적을 주식투자 목적이 아니라 기업분석 목적으로 구매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주변 몇몇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직접 선물까지 했다. 그만큼 만족했다는 뜻이다. 

나는 대학시절 6개월 정도 회계사 공부를 하다가 역시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하고 그만뒀지만, 공부한 것이 아까워 재경관리사 시험을 보고 자격증을 땄었다. 그 시절, 유명 강사들의 인강을 들었었는데, 솔직히 나는 그 때 반년 간 공부한 것보다 이 책을 읽으며 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높아진 것 같다. 

사업에 관심이 있고, 또한 현업에 있는 사람이라면, 영업이고 마케팅이고 어느 부서에 있건간에 최소한 P&L구조에 대해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회계지식, 최소한 손익계산서에 대한 이해도는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제목에서 말하듯 기업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가치투자자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지만, 나는 이 책을 현업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꼭 읽어보기를 추천하고 싶다. 책은 400쪽 분량으로 재무제표 중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특히 재무상태표의 계정항목은 자산, 부채, 자본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또한 적절한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도와주고 있는데, 주식투자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지만, 거의 쉽게 풀어 쓴 회계교본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강력히 추천한다.


개인적으로 정리해두고 싶은 재무 비율들을 정리하며 마무리한다.


1) 유동비율= 유동자산/유동부채 *실질유동자산= 유동자산+추정영업현금흐름

2) 순운전자본= 운전자본(매출채권+재고자산)- 매입채무→ 묶인 돈을 의미하므로 적을 수록 좋음.

3) 재고자산 회전율= 매출액/재고자산→ 높을 수록 좋다.

4) 이자보상배율= 영업이익/이자비용→ 5이상이면 양호, 1이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밖에 충당 못한다는 뜻

5) 대표적인 유이자 부채→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부채, 기타금융부채, 사채, 장기차입금

6) 부채비율= 부채총계/자본총계→ 매출이 대부분 현금결제라면 다소 높아도 상관없으나,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것이 좋다.   

이자비용 비율확인. 

7) 순차입금= 차입금(위의 유이자부채, 이자가 발생하는 부채)- 현금 및 예금→ 이자를 내는 회사의 빚을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으로 다 갚았을 때 남는 차입금.→ 이자가 발생하는 부채가 없는 경우 무차입경영이라고 한다.

8) 순현금= 현금 및 예금- 차입금

9) 순차입금 비율= 순차입금/자본총계(20% 이하면 바람직)

10) 현금 비율= 현금 및 예금/유동부채→ 유동부채를 전부 갚을 수 있는 현금과 예금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줌.

11)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당기순이익/자기자본, 투하자본이익률(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세후 순 영업이익(영업이익- 법인세)/영업투하자본(순 금융부채+자기자본)

12) 영업투하 자본을 구하는 두가지 방식→ 추가 공부 필

- 순운전자본+ 유무형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유무형자산은 영업을 위해 투입한 자산이다. 여기서 매입채무를 빼는 방법이 있다.

- 자본+이자부채-현금: 자본은 영업에 투입한 것이고, 비이자부채는 영업에 투입한 자금이 아니다.  이 둘을 합해 영업에 투입한 것인데 현금이 남아 있다면 영업에 투입하지 않은 것이다.

13) 고정비 및 변동비

- 매출 원가 중 고정비 항목: 인건비, 감가상각비/제조경비는 고정비성도 일부있으나 변동비성격이 더강함.

- 판관비 중 고정비 항목: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여비교통비, 접대비, 교통비,통신비 , 판매비및 일반관리비 , 종업원 급여, 감가상각비

→ 고정비성 기업인 경우 매출 증가가 핵심.(영업레버리지가 높다)

→ 변동비성 기업인 경우, 제품과 원재료간 가격차이인 스프레드가 중요. 원재료가격이 오를 때 제품가격은 얼마나 오르는지.(원재료가격이 15원 올랐는데 제품가격이 5원 오르면 스프레드는 -10원)

공장 제조원가는 고정비 성격이 강하다. 공장이 놀고 있으면 제조원가율이 올라가므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 필요. 단위당 고정비.  

14) 현금흐름표에서 현금의 정의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재고자산은 유동자산이지 현금성자산이 아니다!

15) 현금흐름표에서 알 수 있는 정보

- 기업이 어디에 얼마를 투자했는가

- 영업활동으로 현금이 유입되었는가 아니면 유출되었는가

- 영업활동에서 현금흐름이 당기순이익보다 적다면 왜 적은가

- 당기순이익이 질적으로 좋은가 나쁜가

- 기업이 빚을 갚는가 아니면 더 늘리는가

- 자사주를 샀는가 팔았는가

- 배당금을 얼마나 줬는가

16) 영업활동중 현금 유출입

- 현금 유입: 매출, 매출채권 회수, 이자수입, 배당금 수입

- 현금 유출: 재고자산 구입,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매입채무 결제, 이자지급, 법인세 지

17) 영업활동현금흐름이 당기순이익보다 적으면 당기순이익의 질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다.

18) EBITDA:영업이익+감가상각비





매거진의 이전글 [책 리뷰] 물류, 기본이 중요하다, 최영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