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zac Mar 09. 2022

21 SEMI 'meet the expert' 요약

- 반도체 산업 트렌드/ 유망 직무, 직군

코로나 시국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1 세미콘 코리아에 참여했는데요. 

Meet the expert 란 주제로 개최된 강연은 각 분야 현직자분들의 이야기와 반도체 산업에 대한 생각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저 또한 흥미로웠던 내용들 위주로 요약, 정리 할 겸 글을 적게 됬습니다.   

우선 처음에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미래와 방향에 대해 교수님께서 나와서 설명해 주셨습니다.  

취업을 앞 둔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강연이다보니 반도체 산업의 가능성과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주로 설명하셨는데요. 

기억에 남는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반도체 산업은 PPAC 가 중요한 요소이다 였습니다. PPAC란 Power, Performance, Area, Cost 의 약자입니다.  

또한 한국의 50-20 클럽 가입의 역사도 나왔는데요, 50-20이란 인구 5천만 이상에 국민소득 2만불 이상인 국가들이 가입하는 클럽입니다.  

이렇게 과거 한국의 간략한 역사소개와 동시에 최근 상황에 대해 설명해 주셨는데요. 

중국: 반도체 굴기 / 일본: 수출규제  => 한국 초격차 전략 

중국과 일본의 견제에 한국의 초격차 전략 이야기가 있었으며, 끝으로 반도체 산업은 아직까지 태동기이며 40년쯤부터 성장기에 접어들 유망한 분야라고 설명하셨습니다. 

이러한 급변하는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역량으로 다음 4가지를 강조하셨습니다.


1. 호기심  2.도전정신  3. 창의성(인내와 성실의 결과)  4. 협업:집단지성     

2번째 강연부터는 본격적인 현직자의 직무소개 시간이었습니다.  

램리서치 코리아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하는 현직자분의 설명이 있었습니다.  

램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업무 

램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위와같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그 중, 우측 하단에 있는 ATAC TEST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 드리자면,  

ATAC test란 실제 장비를 돌리는 것이아닌 시물레이션을 통해 공정결과나 상황을 예측하는 테스트 입니다.  

앞으로의 소자상황에 따라 반도체 장비 또한 더 고도화 되고 투입되는 재화자체가 많아질 수 밖에 없는데요,  

특히 램장비의 경우 반도체 장비 중 Cost가 높은 전공정 장비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ATAC TEST 업무가 중요해 지고 있으며 이것이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셨습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역량은 다음과 같으며, 엔지니어들 사이의 교류나 작업에 표준으로 작용하는 SEMI standard를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필요역량
논리적 사고력, 커뮤니케이션, 기술적 역량(c, 파이썬, xml, )
semi standard표준규정을 공부(semi에서 교육을 진행하므로 기회가 있을 때 참여 ), 영어역량, 서비스     

 

그 다음 강연으로는 SEMES 설비개발 직무에 대한 소개가 있었습니다.  

설비 개발 Process

기존 반도체 장비개발 업무라 하면 8대공정 내에서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장비기술을 개발하는 업무라고 알고 있는데요 

그 개발 과정에서, 위 그림에 나온것처럼 '자기 부상 기술' 이란 기술의 검증과 응용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이것을 반도체 장비에 적용하는 예를 보면서 놀라웠습니다. 반도체 연구개발 직군은 어떤 새로운 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공부와 호기심이 필요한 직군이라 느껴졌습니다.  

참고로 저 그림은 웨이퍼 이동시, 지면과 접촉하는 방식의 경우 흔들림과 충격으로 인한 문제를 자기 부상이란 기술을 접목시켜 물동량을 확보하는 프로세스 과정입니다.  

설비개발 process는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고객 니즈 수집-> 설계 구상 및 구체화(기구설계) -> 발주 제작 검사(구매품질) ->설비 셋업-> 고객 cs 

끝으로 고객의 니즈가 planar->finfet->gaa로 가면서 점점더 다양해지고 복잡해 지고 있다고 설명하셨습니다.      

PSK 프로세스 엔지니어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습니다.  

무엇보다 해당 프로세스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교과목에 충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는데요,

그만큼 기본이 잘 다져진 상태에서 엔지니어로서의 역량을 더욱 효율적으로 쌓을 수 있다는 맥락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Kla tencor - Division system engineer 

텐코의 Division system enginner는 mentor for technical 라고 설명하셨습니다.  

Division system 엔지니어는 측정&분석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현지와 고객 사이의 가교역할을 하는 엔지니어입니다.  

본사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확신과 방향성을 고객과 현지에 설명하는 직무 입니다.      

TEL - Field service

도쿄일렉트로닉 코리아의 field 엔지니어로서 필요한 역량 3가지를 강조했습니다.  

입사 후 외국어를 공부하겠다 보다, 지금부터 하나의 언어를 공부하고 성취하여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스피치 능력. 진행하는 혹은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대해 요약,정리하는 능력과 이를 명료하게 설명하는 스피치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피스 활용 능력은 입사 후 일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하셨습니다.      

AMK-DATA SCIENTIST 

amk 데이타 사인언스 직무 역할 

AMK 의 데이터 사이언스 직무는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더 효율적, 효과적인 방안을 도출하고 

그것을 SW로 구현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성능을 개선하는 직무입니다.  

공정 엔지니어로서 공정 데이터를 다뤄본 경험이 해당 직무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직자 분도 비슷한 커리어를 가지고 계셨습니다.     

이번 세미콘 코리아 내용이 대략적으로 어떤 것이 있었는지 소개하였으며, 6개의 회사의 6개 직무에 대해 알 수 있어 도움이 된 강연이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앰코(amkor)코리아 기업소개 및 분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