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쏘이 Jun 21. 2023

Yes맨보다 더 빨리 승진하는 Why맨의 비밀.

스타트업에서 인정받는 Why맨들에 대한 탐구


세상엔 Yes맨과 Why맨이 있는 것 같아.


직장 동료이자 친구인 그가 어느 날 나에게 이런 말을 했다.


우리 회사에는 주어진 일을 묵묵히 해내는 Yes맨들과 납득이 갈 때까지 끊임없이 질문을 하고 스스로 온전히 납득해야만 일을 진행하는 Why맨이 있는 것 같다고.


맞다.

특히 스타트업에는 Yes와 No보다도 Why가 난무한다. 그리고 놀랍게도 그런 사람들이 조금 더 인정받는다.


대체 왜 스타트업에서는

Why맨들이 더 인정받는 걸까?




Yes맨들은 일이 주어지면, 그 일을 어떻게든 끝내기 위해 노력한다. 주어진 환경과 주어진 일정 내에 주어진 일을 끝내는 것에 포커싱 한다. 그리고 몰두한다. 납득가지 않는 의견도 일단은 수용한다. 일단 해내고 본다.


반면 Why맨들은 일을 착수하기 이전에, 주어진 일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관련 동료들 혹은 상사에게 끊임없는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충분히 납득한 뒤 일을 실행한다. 일을 진행하다가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거나 납득되지 않는 일이 있으면 질문을 던진다. 그 질문은 동료들에게도 향하지만 종종 자기 자신에게도 향한다.




Yes맨의 업무 방식은 심플하다.

시키는 일을 한다. 그리고 잘 해낸다. 그러나 여기에는 일을 시키는 사람의 의사결정이 반드시 옳을 것, 그리고 일을 해냈을 때 목표한 것을 반드시 달성할 수 있을 것. 이 두 가지가 전제가 포함되어야 한다.

올바르지 못한 방향으로는 아무리 열심히 그리고 빨리 달려도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다.


Why맨의 업무 방식은 비교적 복잡하다.

질문을 하고 답하는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업무 착수 전 필연적으로 들어간다. 그렇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을 시작하는 시기가 비교적 느리다. 그러나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에서 목표와 방향성이 명확해진다.

의사결정자, 즉 상사가 완벽한 방향성을 처음부터 제시하지 못했더라도 답변하는 과정에서 더 적합한 방향으로 수정되거나 구체화된다. 그리고 Why에 대한 답을 충분히 들은 Why맨은 더 높은 이해도로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더 적합한 방향으로 방향을 조금씩 수정해 가며 목표를 향해 달릴 수 있다.




질문하고 답변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시키는 행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불필요해 보이는 시간은 결과적으로 옳은 방향으로 가기까지의 절대 시간을 줄여준다. 커뮤니케이션 미스로 인한 재실행의 시간과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을 때의 기회비용을 낮춰주기 때문이다. 정말로,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아까워하는 순간 잘못된 방향으로 인해  다시 실행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들 것이다.


물론 의사결정자가 매번 완벽하게 옳은 의사결정을 한다면 조금 다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지만, 인간은 완벽하지 않다. 그리고 의사결정자가 완벽한 방향을 제시했다고 하더라도 실행자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을 진행했다가는 분명 방향이 조금씩 틀어지기 마련이다.




빠르게 성과를 만들어 내야 하는 스타트업에서는 때때로 체계와 과정, 수단보다는 결과가 중요하다. 목표로 하는 결과를 얼마나 빨리 적절하게 만들어냈느냐가 중요한 성과 측정의 지표가 된다. (왜냐?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시키는 일을 하는 사람보다는 본질을 누구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결과를 만들어낼 사람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해야 한다.


더하여 실행자의 핵심을 찌르는 질문은 의사결정자를 성장하게 한다. 명확하게 답변할 수 있으려면 더 탄탄한 논리를 가지고 상대를 납득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Why맨들끼리의 질문은 간혹 치열한 논쟁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그렇지만, 적절한 논쟁이 있을 때 그 팀은 더 성장한다.


우리 팀은 Why맨들이 많은 조직이다. 납득가지 않으면 질문하고, 질문을 받은 사람은 상대방이

납득 가능하도록 설명한다. 그리고 때때로 서로의 의견이 납득되지 않아 충돌이 있을 때는 충분히 서로 이해될 때까지 논쟁한다. 그리고 그 논쟁을 통해 더 나은 해결점을 만들어간다.


우리는 이 과정을 일주일, 아니 하루에도 수 차례 겪으며 함께 성장해 왔다.




물론 조직에 따라 Yes맨이 더 적합한 조직원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의 입장에서 성장하고 싶다면 내일부터 질문을 해보자.


내가 이 일을 왜 해야 하는지, 이 일을 지금 이 시점에 하는 게 적합한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맞을지 ‘스스로에게 가장 먼저 물어보자.’ 그리고 스스로를 납득시키지 못했다면, 납득할 수 있는 제안을 만들고, 이 제안을 안고 의사결정자에게 가볍게 질문해 보자.

거기서부터가 성장의 시작이 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비즈니스의 성공을 외치는 개발자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