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제인오스틴 #오만과편견 #로망스소설 #풍자소설 #세계문학전집 #세계문학전집88 #펭귄클래식50 #민음사 #PrideandPrejudice #인포그래픽제인오스틴
*작가 제인은 Jane으로 작중인물 제인은 제인으로 표기함.
Jane을 낭만적인 로망스 작가로 이해해야 할까, 아니면 사회적 관습에 대한 풍자적 작가로 보아야 할까? 우리는 이 질문에 답을 준비하며 이 작품을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제인과 빙리, 엘리자베스와 다아시의 낭만적인 러브 스토리, 섬세한 배경 묘사와 치밀한 내면 묘사가 Jane을 로망스 작가로 만드는 듯하다. 작가 스스로 "이 작품은 너무 가볍고 밝고 반짝거려서 그늘이 필요하다"라고 말했을 만큼 그녀의 작품 중에서 가장 밝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민음사 작품 해설 中) '신데렐라적인 플롯'이 많은 이들의 소망을 대리 충족하는 기능을 했다고 보는 세간의 해설이 있듯 이 작품을 로망스 소설로 보는 일도 무리는 아니다. "『오만과 편견』에 등장하는 베넷 집안의 자매들 중 나이 많은 두 딸들은 결혼을 통해 경제적인 의미에서 신데렐라가 되었으며 좀 더 안정적인 미래를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다행히도 이 여성들은 결혼 과정에서 사랑도 놓치지 않았다."(인포그래픽 제인 오스틴 中)
여주인공들을 통해 알 수 있는 Jane의 견해가 "돈 때문에 결혼하는 것은 나쁘지만, 돈 없이 결혼하는 것은 어리석다는 것"이라 해도, 결혼이 유일한 '가난 방지 대책'인 처녀가 어느 모로 보나 바람직한 남자의 청혼을 기다리면서도 자기의 마음이 사랑인지 아닌지를 성찰하는 이야기로 본다 해도 로망스 소설의 큰 틀에서 해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오만과 편견』은 문학사에서 소설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로망스의 하나지만, 제기되지 않은 질문을 남기고 끝난다. 겉모습이 전부인 세상에 대해 분개하던 엘리자베스가 이제는 영국 최고의 부자이자 가장 보수적인 남자와 결혼하면서 그런 세상의 중심부"(펭귄 클래식 작품 해설 中)로 들어가게 된 일, 그리고 그렇게 소설이 마무리된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엘리자베스가 그런 전통을 깰 것임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는 있겠으나 어찌되었든 다아시의 (영국 최고) 재산, 지위와 결합했다. 소설 중간에는 그와 결혼하는 일보다 더 행복한 일은 없을 거라는 등 전통적인 결혼관을 긍정하는 모습도 여럿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부분은 그저 그런 전형적인 로망스 소설로 전락할 수 있는 여지가 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의미가 있다면 부와 지위의 차이가 있음에도 대등한 관계로서 결혼을 했다는 사실이다. 이제 풍자적 작품으로 볼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겠다.
오만과 편견의 첫 문장, "재산깨나 있는 독신 남자에게 아내가 꼭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진리다.(민음사 번역판)"에서 서술자의 풍자적인 어조를 우리는 외면할 수 없다. 단순한 로망스 소설을 넘어 사회적 관습을 풍자한 소설로도 볼 여지가 있겠다. 작중 인물과 당대 사회 묘사를 통해 풍자하고자 한 모습은 무엇이었을까?
특히 소설을 읽으면서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당대 영국 사회 모습이 있다. 그것은 "한정 상속이라 하여 재산과 지위의 상속이 집안의 남자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상속을 한정시키는 법적 장치"다. 사실 베넷家의 한정상속 문제가 이 소설 초반부를 이끌어가기도 한다. 그렇다면 작가가 과연 한정상속과 같은 일에 문제의식을 느꼈는지가 중요하겠다. 작가의 생애를 먼저 살펴보자.
Jane은 6남 2녀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아래 남동생이 하나 있다. 전형적인 하층 양반 계급 집안에서 살면서 한정상속 대상인 장남을 제외하고는 물려받은 재산이 없는 양반가 자녀들의 전형적인 진로(여성의 경우 가정교사 및 올케가 아이를 낳을 때마다 도와주며 사는 당대 노처녀의 전형적인 생활)를 밟았다. 특히 Jane은 스무 살 되던 해에 톰 르프로이와 결혼 직전까지 갔으나 Jane보다 재산이나 배경이 더 좋은 여자와 결혼하기를 바랐던 남자 쪽 집안의 반대로 결혼이 무산된 일을 겪었다. 그리고 1년이 채 안 된 기간에 이 소설 『오만과 편견』(1796년 『첫인상』이라는 제목으로 완성했던 작품을 15년 뒤 완전히 새로 써서 발표한 작품이 『오만과 편견』이다.)을 집필했다. 스물여섯 살 때는 청혼을 수락했다가 다음 날 아침 철회한 사건이 있었다. 전통적으로 결혼은 개인의 성격이나 사랑을 고려하기보다는 재산과 지위를 우선시하는 정략결혼이 규범이 될 수밖에 없었으나 Jane은 사랑이 없는 결혼보다 노처녀가 되는 길을 택했다.
"Jane이 태어나고 살아간 세상이 본디 어떤 형태였으며 어떻게 변해갔는지, 그녀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녀가 남긴 유산에 대하여 알아보는 작업의 의미"가 바로 여기에 있다. Jane의 생애를 기반으로 작품을 보면, 소설 전반에서 풍기는 결혼관과 여성관의 변화를 포착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귀족, 양반 중심의 봉건적 질서에서 시민 중심의 근대적 질서로 사회와 가치관이 변화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작중 인물의 입을 통해 "여성에게 정조의 상실은 회복 불능이라는 것. 한번 잘못 발을 들여놓으면 끝없는 파멸에 빠진다는 것. 여성의 평판이란 아름다움만큼이나 부서지기 쉽다는 것. 무가치한 남성 앞에서 여성은 아무리 몸가짐을 조심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민음사 388쪽)이라고 말한 부분 등을 굳이 풍자로 해석하지 않더라도 다른 작중 인물의 삶을 긍정함으로써, "전근대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사회의 핵심적인 가치관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작품이다.
마찬가지로 펭귄 판 편집자 비비엔 존스의 논문에는 "『오만과 편견』은 귀족과 부르주아 간의 계급 갈등을 남녀 관계로 성애화한 이야기이다. 다아시는 전통적인 권력층인 귀족을, 엘리자베스는 프랑스 대혁명 후 부상한 부르주아 계급을, 그리고 둘 사이의 결혼은 당대의 사회적 통합을 각각 대변한다는 것이다."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 말은 계급 변동기에 이 소설이(작가가) 그것을 예민하게 포착해서 묘사했다는 말이 된다.
Jane을 풍자적 작가로 볼 수 있을까? 결론은 이렇다. 당대 사회적 관습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예리하기는 하지만 전면적인 풍자적 작품으로 이 소설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는 것.
나는 지금까지 두 가지 관점에서 작품을 보았다. 로망스 작가로 볼 것인가, 풍자적 작가로 볼 것인가. ‘작가는 무엇이다’라고 규정하기보다는 이런 시도가 작가와 작품을 다채롭게 해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독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시선으로 Jane을 그리고 『오만과 편견』을 해석하게 될 것이다.
*미인은 아니지만 영민한 눈빛 덕분에 지적인 매력을 풍기는 여자가 되어, 오만하기 짝이 없는 멋진 남성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 '예쁘고 착한 그녀'들이 미모와 교태를 같고 닦는 동안 '머리 질끈 묶고 화장기 없는 얼굴로 공부와 일에 매진했다고 자위하는 자칭 '똑똑하고 능력 있는 그녀들의 로망이라고 해석한 곽아람 작가 평도 있다. 이 소설이 여성들에게 인기 있는 이유를 여기서도 찾을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