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는 청평사 두 번째 곡조다. ‘一枝濃艶(일지옹염 : 한 가지 농염)’은 곧 꽃으로 귀비를 비유한 것이요, ‘露凝香(로응향 : 이슬 엉긴 향기)’은 명황이 사랑하는 색이, 이슬이 꽃에 엉긴 향기가 흩어지지 않은 것과 같다는 것이다. 두 번째 구절은 양대의 신녀를 무산에 장사 지냈다는 말이다. <고당부>에 “초양왕의 꿈에 신녀가 말하기를 ‘첩은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됩니다.’”라고 하였다. 枉斷腸(왕단장 : 부질없이 애끊음)의 枉(왕) 자는 신녀가 양귀비와 같이 아침저녁으로 군왕에게 있지 못하여 공연히 애간장만 끊음을 비웃은 것이다.
세 째 구절은 초왕궁의 여자와의 일이 외설(猥褻)스러움에 가까워, 마땅하지 않은 바에 비유한 까닭으로 한나라 궁에 한 사람이라도 비길만한 사람을 찾도록 걱정스러워 한 말이다. 네 번째 구절은 조비연은 본래 양아주 집안에서 가무를 배워서 한 성제가 그를 기뻐하여, 불러 입궁시키고, 후에는 왕후에 서게 되니, 이 왕후로 귀비와 비교한 것은 귀비를 중하게 여긴다라는 말이다. 그러나 조비연이 미천한 출신으로 미모 역시 양귀비에 미치지 못하니, 그가 무겁게 의지한 것은 새로 단장한다는 것이다. 可憐(가련)이란 두 글자를 더한 것은 바로 조비연이 임금의 총애를 얻은 것이 태진(양귀비)과 비슷하지만 출신과 용모가 태진에게 절대로 미치지 못하므로 가련하다는 것이다. 조비연을 억누르고 태진을 드높인 것은 예(禮)이다.
* 李白(이백, 701년 ~ 762년) : 당나라 시대의 대시인이다.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두보와 함께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꼽힌다. 이 두 사람을 합쳐서 "이두(李杜)"라고 칭하고 이백을 "시선(詩仙)"이라 부른다. 현재 약 1,100여 수의 시가 남아 있다. 그의 시문학과 관련된 주제는 도교, 술 등이 유명하다. 두보가 지은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에서 “李白斗酒詩百篇(이백두주시백선) / 이백은 술 한 말을 마시고 시 100편을 짓고, 長安市上酒家眠(장안시상주가면) / 장안성 저자의 술집에서 잔다. 天子呼来不上船(천자호래불상선) / 천자가 오라 불러도 배에도 오르지 않고, 自稱臣是酒中仙(자칭신시주중선) / 스스로 칭하기를 '신은 술의 신선이다.' 라고 읊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