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촌부 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래여 Nov 01. 2024

단감과 고집

단감과 고집     



 단감주문이 들어왔다. 모르는 전화번호다. 지난해 먹은 단감 맛을 잊지 못하겠다면서. 우리 집 단감은 시월 중순이 넘어야 택배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내 말이 끝나기도 전에 농부의 호통이 따라붙는다. ‘십일월 돼야 한다니까 또 시월 중순이라니 말을 제대로 해라.’ 나는 바짝 긴장을 한다. ‘아직 단감 수확 안 해요. 솎아내기 끝내야 정품 판매에 들어가요. 시월 중순 넘어 연락드릴게요.’ 서둘러 전화를 끊었다. 한바탕 잔소리가 이어진다. ‘여보, 우리가 단감농사지은 지 몇 년이나 됐지?’ 농부의 잔소리를 가만히 듣고 있다가 옆구리 터진 김밥처럼 툭 던졌다. 


 농부는 잔뜩 화가 나 나를 쬐려 본다. ‘해마다 이맘때면 똑같은 말이 오가네. 문장도 토씨 하나 안 바뀌네. 어쩜 우린 천생배필은 맞나 봐. 두 사람이 똑 같이 고집쟁이니 죽을 때까지 심심하진 않겠다.’ 내 말에 농부의 눈꼬리가 내려앉는다. 올해는 단감 익는 속도가 더 늦을 거란다. 추석이 너무 빨랐다. 워낙 더워서 단감은 자라지도 못했다. 요 근래 겨우 찬바람 불자 단감 굵어지는 것이 눈에 보인다. 단감은 하루가 다르게 익을 채비를 한다. 시중에 나갔더니 태추 단감이나 조생종 단감이 보이긴 했다. 단감은 날씨가 차가워질수록 식감도 좋아지고 당도가 오른다. 


 우리 집 단감은 농부의 허락이 떨어져야 일반 고객에게 배달될 수 있다. 맛과 당도가 제대로 올라야 수확을 하기 때문이다. 슬쩍 ‘우리가 단감 농사지은 지 얼마나 됐지?’ 물었다. ‘몰라’ 농부는 부드러워진 눈으로 나를 본다. ‘한 이십 년이 다 됐지?’ 과거로 돌아간다. 사십 대, 우리는 고사리 농사를 주업으로 하면서 아랫집 단감농장의 일을 도왔었다. 그때 동네로 귀농했던 친구가 단감농사를 짓고 있었다. 몇 년 지나지 않아 그 친구는 지병으로 북망산으로 떠났다. 그 친구가 짓던 단감 산을 주인은 우리에게 부탁했다. 그때부터 단감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십 년이 넘도록 단감과 고사리가 주업이었다. 나잇살 늘면서 농사일이 힘에 부치기 시작했다. 고사리 농사는 남에게 내주고 단감농사도 조금만 짓는다.


 강산이 두 번쯤 변해도 농부와 나는 막상막하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감정을 금세 누그러뜨리고 서로 맞추려고 노력한다는 점이다. 나잇살 덕인지 마음공부 덕일지도 모르겠다. 단감 수확 철이 오면 농부와 나는 신경이 바짝 곤두선다. 보내자. 안 돼. 맛있다. 맛없어. 보내자. 안 돼. 밀고 당기지만 번번이 나는 농부에게 승복한다. 택배 보내라. 농부의 허락이 떨어지면 일사불란하다. 농사는 농부가 대장이고 판매는 내가 대장이다. 


 우리 집 단감을 기다리는 고객 생각하면 하루라도 빨리 보내드리고 싶은 마음도 진심이고, 맛있는 단감을 원하는 농부의 마음도 진심이다. 일찌감치 주문이 들어오면 노트에 기입했다가 농부의 허락이 떨어지면 홈페이지 광고도 하고 기 주문자에게 연락도 하고 입금확인하고 보낸다. 단감 맛있다는 말 들으면 힘에 부쳐 허덕이다가도 힘이 불쑥 솟는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더라. 단감이 빨리 익었으면 좋겠고, 잔고가 바닥나기 직전인 통장도 두둑해졌으면 좋겠다. 아무튼 거둘 게 있는 이 계절이 좋다. 


 여름 이불 빨래해 널고 봄 이불 폈다. 농부랑 단감 산에 인사를 갔다. 알밤도 지천이고 대추도 익어 터지지만 한 나절 기었더니 만신이 아프다. ‘아이고, 일 못해 먹겠다. 당신이 나보다 건강하니 좀 주워 오소.’ 농부에게 일임하고 단감에게 뽀뽀하고 왔다. 읍내 축제장 농산물 판매소에서 알밤 주워 오면 사겠다는데 돈 할 욕심부리다 병원비 더 나가겠다. 포기해 버리니 속이 후련하다. 가을아, 가을아, 동장군 막아놓고 푸지게 즐기다 가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