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헤니 Dec 18. 2023

나는 여기에 있다

그럼에도 내 할 일을 한다

괴로운 심정에 글을 적었더니 구독자 한 분이 마음이 좋지 않았는지 떠나셨다. 누구보다도 이해한다.


그럼에도 나는 나를 위해, 또 내 글을 볼 누군가를 위해 글을 쓴다. 이상과 현실의 간극에 상대적 박탈감에 분노하고, 현실을 부정하며 자기 연민으로 슬퍼했던 건 과거일이다. 통제불가능한 것과 통제가능한 것을 구분한다.


시대가 만들어낸 가정불화의 아픔으로 부모님의 마음을 비로소 이해하고 내가 어머니의 부모노릇을 하게 되는 걸 인정하니 마음이 이상하도록 고요하고 차분하다.


스무 살 때 조현병진단을 받고 단말마를 겪었을 때 알았다.


우리의 기억과 감정은 망각되지 않는다. 뇌의 시냅스연결이 끊어져서 회상이 어려울 뿐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모든 기억이 뇌의 메모리에 남아있었다. 마치 전선연결은 끊겼지만 메모리가 꽉 찬 컴퓨터처럼.


주마등 때 모든 인생의 어릴 때의 파노라마가 스쳐 지나갔다.


죽다 살아난 뒤 인생에 대해 느낀 건 인생은 태어나서 존재하는 것 자체가 생의 의미지 우리가 겪는 희로애락, 고통과 트라우마는 태어났기에 일어난 결과였다.


인생은 무의미하다는 걸 우리의 자아정체성이라는데 사실 스스로에 대한 답만 내릴 수 있으면 타인의 노예로 살지 않는다는 걸 비로소 깨달았다. 무의미하다는 게 무가치하다는 게 아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비어있다'라는 의미였다.


태어난 생명체로 존재하기에 그 자체로도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존재니까 슬퍼하지 말자, 사랑하며 살자.


비어있는 인생을 기쁨, 슬픔, 분노, 즐거움 등의 다양한 색채로 채워나간다.


나는 여기에 있다.

작가의 이전글 늘어난 증상과 급격히 나빠지는 상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