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쿰오기 Oct 25. 2024

시로 만나는 ‘인생의 역사’

- 《인생의 역사》를 읽고

평론가 신형철 씨의 시화집 《인생의 역사》를 읽었다. ‘따뜻한 사람이구나. 겸손하고.’ 생각했다. 평론가지만 날카롭지 않다. 얼마 전 읽은 글이 떠오른다. 어느 베테랑 영화감독의 말이라고 한다.      

“평론가가 아니니까 나는 영화의 못난 부분을 애써 말하지 않는다네. 창작자는 좋은 점, 배울 점을 찾아내야 내가 만들 영화에서 조금이라도 써먹을 수 있지 않은가?”     


글을 전달해 준 기자는 앞으로는 “나쁜 점보다는 좋은 점을, 고칠 점보다는 배울 점을 살피고 말하고 담겠다.”라고 했다. 나도 덩달아 따라 하고 싶은 심정이다. 좋은 점, 배울 점을 살피고 말하고 담겠다.     

책에서 의미 있었던 것은 ‘시’다. 친절한 평론가의 날카로운 시선도 있었지만 모르는 시를 만난 것과 아는 시를 새롭게 만난 것. 그리고 저자의 사색이 웅숭깊다. 평론가라서 그런가. 한편 이 책은 저자의 전작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의 ‘시’ 편처럼 다가왔다. 슬펐다. 프롤로그부터. “죽어도 죽지 않을게” 말하는 작가와 그의 아이 ‘기룬이’를 응원하게 된다.      


책 속에 소개된 모든 시를 이야기하고 싶다. 루쉰의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는 새로운 해석이 덧붙여있다. 오래전 얼핏 저자와 같은 생각을 해봤는데 공감할 수 있었다. 또, 문학소녀였던 시절 황동규 시인의 <즐거운 편지>를 외우고 다녔는데 시인의 다른 시는 몰랐다. <홀로움은 환해진 외로움이니>를 읽으며 황동규 시인의 애잔한 무언가를 발견했다. 최승자 시인의 위상도 조금 알게 되었다. 최승자 시인을 응원하는 작가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살기 위해 썼지, 쓰기 위해서 살지 않았으니까”라는 말이 뭉클했다.      


나희덕 시인의 시도 깊은 깨달음을 주었다. 한강 작가의 시집을 갖고 있는데 <서시>를 알게 되어 기뻤고, 에밀리 디킨슨의 시를 다시 읽어 좋았다. 사랑을 발명하는 이영광 시인의 마음도 은근한 뜨거움을 갖고 있다고 느꼈다. 다만 내가 아는 시인이 많다는 것이 내게는 감사하지만, 젊은이들은 어떨까? 갸우뚱한다. 박준 시인에 대한 글이 에필로그로 들어있지만, 최근 분투하고 있는 시인들도 많지 않나 싶다. 그래도 시를 읽는 이들에게 마중물이 되는 글이 될 것이라고 짐작한다. 오래도록 손에서 놓을 수 없는 책이 되었다. 시 필사를 다시 시작했다. 덕분에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겠다. 좋아하는 시 메리 올리버의 <기러기>부터 시작했다.      

작가의 이전글 나의 삶, 나의 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