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y little cabinet Sep 11. 2023

9. 유학

절묘한 타이밍

남편이 유학생활을 시작하며

나도 모르게 스스로의 포지션을 세팅했다.


'우리는 유학을 왔고,

네가 먼저 공부를 하기로 했으니...

나는 그동안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서포트 하마.'


이런 마음 이면에는

'내가 공부를 할 때는 얘도 날 도와주겠지?'라는

기대가 있기 마련 아닌가?

이렇게 먹고 튈 줄 누가 알았겠나.


남편의 석사과정은 2년이었다.

느지막이

게다가 많은 준비 없이 오른 유학길이

우리 둘 모두에게 버거웠다.

어찌 됐든 살아남기 위해

없는 손도 만들어 보태야 했다.


이미 시작했고 시간은 정해져 있으니

그 시간을 잘 보내야 했다.

드로잉도 돕고, 논문 자료도 찾고

졸업발표에도 함께 발을 동동 굴렀다.

한 팀이라 생각했다.


다시 생각해도 의문이다.

졸업장에 내 이름 넣어주는 것도 아닌데,

난 왜 그리 열심히였을까??


--------


문화적이나, 생활적인 면에서 오는

다름은 예상했기에 온몸으로 견뎠다.

못 알아듣고 딴 소리 하기는 기본 중 기본!


너무 비싼 물가에

장 볼 때는 항상 머릿속에 숫자들이 둥둥 떠다니고

버스 값 아끼겠다고 걷고 또 걷던 시절이다.


생각지 못했던 가장 큰 벽은

학업을 대하는 '태도', 사고하는 '방식'이었다.

새롭게 생각해야 했다.

꾀나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 같다.

아직도 잘 모르겠지만.


솔직히 말해.

'나도 나름 공부도 고, 현장경험도 있.'는

그런 어쭙잖은 마인드를 버리는 게 힘들었 것 같다.


-----


나의 석사 과정 시작되었다.

'신랑이 내 논문자료도 찾고 많이 도와주겠지???'

라고 기대하던 순간.

신랑이 취업을 했다.

그것도 일 많기로 악명 높은 회사에.


다 우리가 함께 세운 계획이었고,

함께 지나온 시간이지만...

뭔가 억울하다.


다만, 좀 위로가 되는 건

눈동냥 귀동냥으로 2년을 보내며

영국살이에 감이 쌓였다는 거였다.


나는 유학생으로써

영국교육이 나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고, 무엇을 써야 할지가 분명했다.


첫 학기를 보내고

두 번째 학기를 보내고

논문학기를 앞두고

나는 아이를 가졌다.


수업시간에 입덧을 하고,

부르는 배를 토닥이며 논문을 썼다.

논문을 제출하고 2개월 뒤, 나는 출산을 했다.


왜 내 인생 타이밍은 이렇게 절묘한 것인가.









매거진의 이전글 8. 살아 돌아와 다행이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