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 필구 Nov 11. 2022

영어 리스닝의 과정(3)

공부는 귀와 엉덩이로 하는 것이다.

영어의 리스닝과 스피킹은 분명히 공부 방법이 다르다. 말 그대로 리스닝은 듣는 것에 집중해야 하며

스피킹은 말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공부하는 방법은 다르지만 결국은 언어라는 것은 듣고, 말하고, 쓰고, 읽는 것 전체를 말한다. 언어란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말을 하는 것이다. 즉 언어를 이용해서 소통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사실(fact) 전달이 되고 조금 딱딱하지만 일상생활이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수준이 지나면, 조금씩 농담도 하고, 동음이의어 같은 것으로 말장난도 치고,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이다. 들리는 것이 많을수록 여유가 생긴다. 여유가 생기면 내가 아는 말 중에 어떤 말을 해야 더 센스 있다는 말을 들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또 고를 수 있다. 문장의 구조를 아는 것과 많은 어휘를 아는 것 그리고 많이 듣는 것 또 그것을 입 밖으로 꺼내어 보는 것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다. 다만 그 공부를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 좋은 문장을 고르고, 문장 구조를 익히고, 많이 듣고, 따라 하고, 직접 예문을 만들어 보는 것. 그것을 해야 한다.


I guess I just needed a little downtime. you know, or maybe I wasn't even that sick, I don't know.


어휘

downtime 한가한 시간, 휴식시간

not even that 형용사 : 그렇게 형용사 하지는 않은.


해석

그냥 좀 휴식시간이 필요했던 거 같아요. 그게 아니면 그렇게 아픈 건 아니었는지도요. 모르겠어요.


아이게쓰아이저쓰니더러얼다운타임. 유노올 메이비아이워쓴이븐데씨까돈노우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위 문장에서 듣기 어려웠던 부분은 needed a little 부분이었다.   

조금의 어떤 무엇이 필요했다.라는 의미인데 일상에도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그래서 짧고 간단하지만 원어민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간단한 표현이기에 니디더리럴/니딧어럴/니디터리를/니더럴/ 등 다양하게 발음한다.

특히 needed의 ed와 a little 의 a 가 만나면서 '더'처럼 발음이 되고 little이 '럴'로 발음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 a little을 어리틀/어리를 이라고 확고히 생각하고 있었다면 이 문장은 놓치게 되는 것이다.

I guess I just (게싸이저씃/게쓰아이저쓰)도 많이 나오는 문장이니 시작 부분을 놓치지 않도록 발음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you know, or (유노올/유노왈)으로 들린다. '유노올'이라고 들으면 다음을 짐작할 수 있지만, '유노왈'로 들으면 뒤에 부사절이 올 거라고 잘못 짐작할 수도 있다. 'you know'는 원어민이 말하는 중간에 추임새 같이 자주 쓰기 때문에 '유노올/유노왈'이 들린다면 스피커가 다음에 무슨 말을 하기 위한 추임새 정도로 생각해주면 된다.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

maybe I wasn't even that sick, I don't know.

메비 아이워즌이븐뎃씩아/씨까돈노우

maybe는 '메이비'라고 들린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메비'로 들리는 경우가 많다.

not even that 형용사 '그렇게 형용사 하진 않다'라는 의미다.

he wasn't even that

she isn't even that

I wasn't even that

등 주어와 be 동사의 형태 변화는 다양하다 그래서 even that 형용사에 조금 더 신경 써서 들으면 직청직해가 가능할 것이다.  


다음 문장

so, they wanna know what cutomers bought who didn't come back, so they can spot a problem if there is one, right?

개인적으로 몇 번을 들어도 귀에 잘 들어오지 않았던 문장이었다.

듣지 않고 읽으면 이해가 가능한 수준의 문장이고, 어려운 어휘도 없었다. 왜 어려웠을까?

나의 생각으로는 so가 '쏘'들리지 않고 '씨'로 들린다. they가 '데이'로 '데/더'로 들렸고, 관계대명사 who가 위치한 곳이 익숙지 않았기 때문이고, spot a가 '스파러'로 한 단어처럼 들렸기 때문에 또 if가 거의 발음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so는 '그래서'라는 등위접속사로 우리가 '그래서'를 일상에서 자주 쓰듯이 원어민도 'so'를 애용한다. 그래서 so 다음에 이어지는 자주 쓰이는 명사의 발음에 익숙해진다면 문장의 시작이 편해질 수 있다.

so they/ So I/ so you(쏘유)/ so he 등 에 익숙해져야 한다. 자주 나오니 여기 나오는 것만 계속해서 들을 필요는 없다. 한국말에는 관계대명사란 것이 없다. 보통 우리말에 쓰지 않는 문장 구조가 나오면 당황한다. 영어를 공부해 보면 문장에 뭘 자꾸 끼워 넣는 듯한 느낌이 든다. 위의 관계대명서 who도 끼워 넣는 듯한 느낌이다.

명사 바로 다음에 관계대명사가 나온다고 생각하지만, 또 그것이 그나마 익숙하지만, 관계대명사는 위의 문장처럼 한 문장이 끝나고 뜬금없이 앞의 문장 안의 명사를 설명하는 방식으로도 튀어나오기도 한다. 그러니 관계대명사가 언제 어디서 튀어나올지를 감안하고 들어야 한다.  

영화나 미드를 보니 원어민들은 if를 매우 많이 생략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만약에'라는 말을 넣을 때도 있고 넣지 않을 때도 있듯이, 어투나 전체 문장에 if가 들어갈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으면 생략을 하거나 거의 들리지 않게 발음한다. 그래서 만약 들리지 않았다면 if가 들어갈 자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씨더워너노 왓커스터멀쓰 봇 후디린 컴백, 쏘데캔 스파러 프라블럼 (입) 델이즈


so they가 '씨더'로 들릴 수 있다는 점, so they can은 '쏘데캔'에 귀가 익숙해져 있어야 한다는 것, spot a가 '스파러'로 들린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래서 저 소리가 들린다면 나도 모르게 떠올릴 수 있어야 한다.


Here she comes. watch how she won't even...

그녀가 온다. 그녀가 얼마나 동사하지 않는지 봐.

히얼쉬컴쓰. 와챠우 쉬웡이븐

here A comes A가 온다.

watch how 와치하우/와챠우

won't even to V (웡이븐 동사)  

won't 은 will not의 줄임말이다. 거기에 even이 들어가면 '~조차 하지 않으려 한다'의 고급 의미가 된다. 

won't even은 앞의 주어가 무엇이 와도 크게 발음이 변하지 않는다. won't even을 잘 기억해두자.


다음 문장

We can't keep up with our own success.(위캔키뻡위더뤈썩쎄쓰) 우린 우리의 성공을 따라갈 수 없어

keep up with STH(어떤 것에 뒤처지지 않고 따라가다)

이 문장에서는 keep up이 (키뻡)으로 발음되는 것과 with our own이 (워더뤈)으로 들리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생각보다 많이 들리는 표현이다.


you're an hour late to every meeting.

이 문장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우선 be 시간 late to STH (어디에 ~시간 늦다.)의 의미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니 잘 기억해두자.

I am an hour late to my  work

you were 30 minutes late to my wedding.

그다음은 you're an'유은'또는'유언'으로 들린다는 것이다. 유은이나 유언이 들리면 명사 나온 거니 뒤에 또 다른 명사가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명사 중간에 복잡한 형용사가 나와도 결국은 명사가 나온다고 생각하면 예측이 편해진다.


there's only so many hours in the day.

리스닝은 평이하나 문장만 봐서는 의미가 바로 파악이 되지 않는다.

직역을 하자면 '하루에는 오직 매우 많은 시간이 있다'

무슨 뜻일까? 놀랍게도 하루의 시간은 한정되어있다.라는 뜻이다. 전혀 다른 뜻이 된다.

시간이 많은 것 같이 말해놓고, 시간은 한정되어 있다라니. 자주 보고 문장에 익숙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듣는 순간 무슨 말인지 모르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 버린다. 자연스러운 리스닝을 위해서는 꼬여있는 문장도 바로 듣고 바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예시)

there's only so many items in the game

there's only so much information we can use

there's only so many hours in this weeks


발음은 델쓰온니쏘메니아월쓰인너데이


there's는 종종 널쓰/네얼쓰로 발음되기도 한다. in the day의 in the도 '인너'라고 발음된다. 데얼쓰/네얼쓰/넬쓰/널쓰 의 소리에도 익숙해져야 한다. 인더/인너 도 마찬가지다.

여러 개의 영화를 한꺼번에 보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 편의 영화를 완벽하게 끝내고 다음 것으로 넘어가야 한다.

다만, '연음'에 의해 우리가 예상했던 발음이 아닌 발음이 나오는 경우에는 발음에 대한 선입견을 깨 줘야 한다. 이미 우리 머릿속에는 발음에 대한 많은 선입견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선입견을 깨고, 들리는 대로를 받아들이는 연습을 해야 한다. 하루에 각자 할 수 있는 만큼의 문장을 공부하고, 어려운 발음은 계속해서 반복해야 한다. 그리고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은 youglish.com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발음도 들어보자.


지식이 쌓이는 것은 눈으로 볼 수 없다. 그냥 믿는 것이다. 우리도 모르게 우리 몸속에, 마음속에 쌓이고 있다는 것을.

 

매거진의 이전글 영어 리스닝의 과정(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