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연 Dec 31. 2023

경험과 감정을 전하고 남은 것은 무엇인가요?

홍콩 고궁박물관 내셔널 갤러리 명화전의 모네와 고흐

[그림1]  Claude Monet, Irises, c1914-17, 느슨하고 투박하게 칠해진 풀잎들

 색채, 특히, 자연에서 우리가 보는 색채는 본원적이고 지속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날씨나 빛, 대기 등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성질을 발견하고 화폭에 담은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르네상스 이후 미술사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미술운동인 ‘인상주의’의 문을 연 화가이다. 그의 상징적인 수련 연작이나 건초 더미 연작에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풍경이 다양한 색채로 포착되어 있다. 이러한 회화는 당시 권위 있는 아카데미에서 인정하는 주제는 아니었다. 그러나 모네는 전통적인 회화적 표현보다는 직접 경험하고 자각한 풍경을 그렸다. 모네는 인상주의라는 이름이 유래된 1874년 작, <인상, 해돋이>라는 작품에서 빛과 대기의 효과를 그려내기 위해 일렁이는 듯한 붓 터치를 사용했다. 그런데 이는 3차원의 세계를 묘사하는 것에 익숙해 있던 사람들에게 그리다 만 그림처럼 보였다. 실제로 이 그림은 당시 “만들다 만 벽지보다 못하다”라는 비평을 받았다. 

 모네는 신랄한 비평에도 불구하고 자연과 빛을 주제로 몇 시간이고 풍경 앞에 앉아 그 형태와 빛, 대기가 한 화면에 녹아드는 아름다운 인상주의 작품들을 완성했다. 1883년부터는 파리의 작은 마을인 지베르니에 일본식 다리가 놓인 정원을 만들어 작업을 시작했고, 1893년 집 앞의 개울을 이용하여 거대한 연못을 만들어 수련을 가득 채웠다. 그리고 정원 옆 유리로 된 작업실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해 변화하는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다. 내셔널 갤러리 명화전에서 전시하고 있는 모네의 <붓꽃(Irises)> 역시, 모네가 자신의 지베르니 정원에 심은 붓꽃을 다리 위에서 관찰하고 그린 그림이다[그림1]. 2m의 큰 그림에는 정원의 황톳빛 작은 길을 무성하게 자란 붓꽃이 둘러싸고 있다. 모네는 대담하고 투박한 획으로 보라색, 파란색, 흰색을 사용한 붓꽃과 두꺼운 풀색 줄기를 그렸다. 그는 작업에 몰입하여 아침, 낮, 저녁 내내 그림을 그렸다. 그는 결국 백내장으로 시력이 약해져서 형체와 색채를 제대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는데 그림의 대담하고 투박하게 칠해진 형태가 이러한 사실을 보여준다.

[그림2] Vincent van Gogh, Long Grass with Butterflies, 1890, 강렬한 붓터치의 물감 덩어리들

 색채가 본원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 또 다른 화가의 작품이 모네의 작품 옆에 자리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현대미술 작가인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의 <잔디와 나비(Long Grass with Butterflies)>이다[그림2]. 고흐는 후기 인상주의 화가로 감정적이고 표현주의적인 색채를 사용했다. 그림의 주제나 형태, 색채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일으켰던 인상주의 이후 등장한 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 고흐를 ‘후기 인상주의’ 화가로 칭한다. 후기 인상주의는 엄밀히 말해 인상주의 회화와 닮은 점이 별로 없고, 각자의 개성적인 표현 방법을 확립했다. 그러나 인상주의가 내디뎠던 혁신적인 변화의 연장 선상에 이들이 있었다는 포괄적인 의미로 이들을 후기 인상주의라 부른다. 이중, 강렬한 붓 터치와 화려한 원색으로 개인적인 감성을 표현한 고흐는 프랑스 남부의 정신병원에 머무는 동안 <잔디와 나비>를 그렸다.

 이 그림에서 잔디는 초록색과 풀색일 뿐만 아니라 노란색, 갈색, 파란색, 연보라색, 보라색, 회색으로 산재해 있다. 정신병원에서 내려다본 작은 초원을 보며 고흐가 그은 색채는 획의 하나하나와 함께 살아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물감 덩어리들은 전체적으로 마구 찍고 그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조금만 시간을 두고 천천히 바라보면 고흐가 다양한 길이의 풀잎 하나하나를 세심하게 연구하여 그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획들은 붓놀림으로 형성된 물감 덩어리들과 함께 점, 선을 이루며 잔디가 퍼져있는 공간을 만든다. 고흐는 임의적인 원색을 사용하여 풀잎 하나하나에 자신의 감정을 주입하여 왜곡되고 과장된 풀의 공간을 만들었다. 


 모네는 눈에 보이는 풍경을 그려 자신이 경험한 진실을 추구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끝에 시력을 잃어 그 상태로 지각한 풍경까지 남겼다. 고흐는 눈에 보이는 풍경을 통해 발현된 감정을 표현했다. 그리고 우울하고 고독했지만 격렬했던 감정 끝에 잡초가 뒤섞인 초원 자체가 남았다. 이 다르지만 비슷한 붓 터치로 완성된 이들 작품은 약간의 거리를 두고 보면 팔레트에서 섞은 색들보다 더욱 강렬한 느낌을 전해준다.




PLACE 홍콩고궁박물관

홍콩고궁박물관은 2022년 총 7층 규모로 개관하여 중국 베이징 고궁박물관에서 대여한 914점의 소장품들을 통해 중국의 왕실문화를 관람할 수 있다. 총 9개의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소 5개의 전시장에서 상설전시를 통해 중국 고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나머지 전시장에서는 특별전 등을 관람할 수 있다. 현재 《런던 내셔널갤러리 명화전, 보티첼리부터 반 고흐까지(Botticelli to Van Gogh: Masterpieces from The National Gallery, London)》가 전시 중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천상을 바라보는 마음은 어떠한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