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세상읽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영 Jan 08. 2024

1.5도를 넘어설 첫 해 2024년

한겨레신문/ 박기용 기자

 [유레카] 1.5도를 넘어설 첫 해 2024년


                                                                           2024. 01.07 한겨레신문 박기용기자 



지난해는 기록상 지구가 가장 뜨거운 해였다. 직전은 2016년이었다. 바다를 데우는 엘니뇨 현상 탓인데, 올해에도 엘니뇨가 지속되면서 두해 연속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것도 산업화 이전보다 1.34~1.58도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파리기후협정이 정한 1.5도 목표를 넘어서는 것이다.


지구가 더 위험한 수준으로 가열되면서 과학자들은 위기가 그만큼 가까워진다고 경고한다. 영국 엑서터대 팀 렌턴 교수(전지구시스템연구소 소장)가 주도한 ‘글로벌 티핑포인트 보고서’(지난해 12월 발간)를 보면, 지구는 이미 5개의 중요한 자연적 한계점을 넘어섰다. 그린란드와 서남극의 거대 빙상 붕괴, 영구동토층의 광범위한 해빙, 온대 해역의 산호초 고사, 북대서양 해류 붕괴 등이다. 1.5도를 넘어서면 3개의 한계점에 추가로 도달한다. 이 한계점들을 넘어서면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규모의 위협이 초래된다. 렌턴 교수는 “전체 생태계가 위협받고, 인류의 주식인 작물 재배 능력을 상실하는 등 파괴적인 도미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남극이 문제다. 영국 일간 가디언 보도를 보면, 남극 해빙 면적은 최근 6개월 연속 감소해 위성 기록상 그 어느 때보다 작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겨울 남극해의 얼음 면적은 지난 40년 평균보다 250만㎢가 적었는데, 한반도 면적의 11배 이상 크기가 사라진 것이다. 특히 얼음양이 동남극의 10분의 1에 불과한 서남극 빙붕은 녹는 속도가 점차 빨라져간다. 서남극 아문센해 빙붕은 인류가 내일 당장 온실가스 배출량을 극적으로 감소시켜도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붕괴 상태에 놓여 있다 한다.


이런 식으로 녹은 빙하의 물은 남극해의 해양순환을 둔화시킨다. 이미 1990년대 이후 30%가량 느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남극해는 전세계 기상 패턴과 해양 온도, 영양염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심지어 남극에선 지난 10월 이후 조류독감으로 바다코끼리와 바다사자, 물개, 갈매기 등이 대량 폐사하는 일이 있었다. 관련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바이러스가 펭귄 서식지에서 대량 폐사를 일으키기 시작하면, 최대의 생태학적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썼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과학우수센터(ACEAS) 맷 킹 소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이번 세기 중반에나 일어날 것이라 생각했던 과정이 훨씬 더 빨리 진행되는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요약>

올해도 엘리뇨 현상이 지속되면서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지구가 이렇게 가열되면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위협이 초래된다. 생태계는 위협받으면서 인류는 작물 재배 능력을 상실하며 파괴적인 도미노 효과를 유발하게 될 것이다. 특히 남극해의 얼음 면적이 한반도 면적의 11배 이상 크기가 사라지며 남극의 문제가 제일 크다. 이렇게 녹은 빙하의 물은 남극해의 해양순환을 둔화시키고, 남극해는 세계의 기상 패턴과 해양 온도, 영양염 수준에 영향을 미치면서 최대의 생태학적 재앙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이 발표가 이어진다. 


<단상>

기후 위기 관련하여 기사를 읽거나 논의를 마주할 때면 속상하다. ‘위기’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이 그 진행 과정에서 ‘급작스럽게 악화된 상황’, 또는 ‘파국을 맞을 만큼’의 위험한 고비를 말하듯 기후 위기는 심각한 상황이다. 그런데 사회적으로, 국가적으로, 세계적으로의 움직임이 나 사는 현실에서 느껴지지가 않는다. 탈플라스틱 실천을 해본다지만, 이 상황에 대해서 정책적인 노력이 기업이나 국가에서 적극적이어야 할 것이다. 쓰레기 분리는커녕 음식물과 일반 쓰레기까지 한꺼번에 버리는 대학도 있다는 소문에 분노한다. 

‘나 하나 한다고 해서 달라질까’라는 생각을 했었다. ‘내가 먼저, 나라도’라는 의식으로 돌아선 것은 학생들과 환경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탐구해보면서다. 때문에 심각함을 알리고 또, 우리가 아니 내가 무엇을 어떻게 하면 되는지를 분명하게 말해야 할 것이다. 내 후손들에게 세상의 이 아름다움을 물려줘야할 것 아닌가. 역시 흥분하게 되는 주제다. 


리사이클 제품도 만들어보고 이런 저런 활동도 해보지만 혼자하다 보니 스르르 그만두게 된다. ‘나도 너도’ ‘우리나라가 함께’ ‘이 세계 모두’ 같이 하면 우리는 더 잘하게 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는 우주라는 그물의 '그물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