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세상읽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영 Mar 15. 2024

'카리나의 굴욕'과 군중심리

서울신문/ 서울광장/ 박현갑 논설위원

‘카리나의 굴욕’과 군중심리


                                                             2024.03.12.  /  박현갑 기자



K팝의 시장 규모가 연간 8조원이라고 한다. 1990년대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면서 형성된 국내 아이돌 팬덤이 해외로 확장되면서 30여년 만에 이룬 성과다. K팝은 한류 열풍의 일등공신으로 앞으로도 더 커질 전망이라니 잘 가꿔야겠다. 하지만 극단적인 팬덤과 이를 부추기는 기획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문제다.   


지난주 서울 성동구 SM엔터테인먼트 사옥 앞에서 이 기획사 소속인 여성 아이돌 그룹 에스파의 멤버 카리나를 겨냥한 트럭 시위가 있었다. “너에게 주는 사랑이 부족하니? 사과해라, 하지 않으면 하락한 앨범 판매량과 텅 빈 콘서트 좌석을 볼 것”이라는 내용이 전광판에 내걸렸다. 카리나는 이성 교제 소식에 흥분한 일부 극성 팬들의 소셜미디어와 트럭을 활용한 시위에 사과문을 냈다. 연예인은 ‘왕관의 무게’를 짊어져야 한다. 하지만 사생활은 보호받아야 한다.    

 

이번 일은 연애 문제로 고개 숙인 ‘카리나의 굴욕’으로 K팝 산업의 이면을 보여 준다. 기획사의 상술에 시간과 돈을 쏟으며 쌓아 온 팬과 스타 간 ‘유사 연애’ 감정이 위협받으면서 터진 일이라는 것이다. 극성 팬들은 앨범 구매, 음원 스트리밍, 콘서트 참석, 가수와의 1대1 채팅 서비스인 ‘버블’ 등에 수백만원씩을 들여 가며 가수와 ‘유사 연애’하는 감정을 쌓는다. 기획사는 이런 팬의 충성도를 팬 사인회 참석 등 스타와의 소통 기회로 제시하며 덕질을 ‘돈질’로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예인 팬덤은 프랑스의 사회심리학자인 귀스타브 르봉이 말한 ‘군중심리’의 어두운 면이기도 하다. 그는 군중을 같은 공간에 모인 무리가 아닌 특정 감정이나 신념에 따라 결합된 ‘심리적 군중’으로 본다. 그리고 군중에 대한 설득 수단으로 확언, 반복, 전염 등을 제시한다. 기획사가 팬들에게 티켓 구매 등이 스타와의 소통 기회를 높인다는 메시지를 확언, 반복함으로써 구매 열기는 전염병처럼 번졌고 급기야 불매운동 경고로 나타났다. 카리나의 굴욕은 이러한 군중심리를 활용한 기획사의 작전에 일부 팬들이 과몰입하면서 빚어진 일이다.     


문화계의 극성 팬덤보다 군중심리의 부작용이 더 염려되는 건 정치권의 극성 팬덤이다. 나치의 히틀러는 이런 군중심리를 활용한 대표적인 선동가다. 나치 지배 당시의 독일인들은 최면이라도 걸린 듯 유대인 학살 등 나치의 만행에 맹목적으로 동조했다. 이런 군중심리를 활용한 정치인들의 선동술은 지금도 여전하다. ‘개딸’이나 극단적 성향의 유튜버 등 정치 고관여층의 행태에서 드러나듯 특정 정치인과 정당에 대한 응원에 그치지 않고 반대 세력에 대한 악마화 등 비이성적 행태가 난무한다.   

  

보수·진보를 떠나 민주주의를 무너뜨리는 이러한 극단적 정치적 팬덤은 ‘집단착각’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버드대의 토드 로즈 교수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에게 해가 되는 결정인데도 다수의 선택을 따라 비이성적인 행동을 하는 집단착각의 위험성에 주목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우크라이나 여성이 러시아에 있는 아빠를 위해 만든 ‘아빠, 믿으세요’라는 인터넷 사이트가 있다. 러시아에 있는 1100만명의 우크라이나 친척들은 러시아 군의 우크라이나 민간인 학살을 믿지 않는다.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를 위해 특별군사작전을 실시한다는 러시아 정부의 공식 입장만을 진실로 믿는 심각한 집단착각을 보인다. 집단착각의 폐해는 외부와의 소통이 철저히 통제된 북한 주민의 비참한 일상에서도 알 수 있다.     


4월 총선이 다가온다. ‘패륜공천’, ‘종북정당’ 등 상대 진영에 대한 비난과 혐오가 전쟁 수준으로 벌어진다. 믿고 싶은 정보만 편향적으로 받아들이는 집단착각의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 다양한 정보를 접하며 비판적 사고 능력을 토대로 집단지성을 발휘할 때다.




<요약>


K팝은 한류 열풍의 일등공신으로 연간 8조원의 시장규모다. 그러나 극단적인 팬덤과 이를 부추기는 기획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문제다. 연예인도 사생활보호를 받아야 하지만, 지난 주 그룹 에스파의 멤버 카리나는 이성교제로 사과문을 냈다. 극성 팬들이 소셜미디어와 트럭 시위가 있었기 때문이다.      


K팝 산업의 이면이다. 기획사의 상술에 팬은 시간과 돈을 쏟으며 ‘유사 연애’ 또는 충성도를 보이다가 그 감정이 위협받으면서 터진 일이다. 연예인 팬덤은 사회심리학자 귀스타브 르봉에 의하면 ‘군중심리’의 어두운 면이다. 특정 감정이나 신념에 따라 결합된 군중에 대해 확언, 반복, 전염 등을 제시하듯 기획사가 팬들에게 스타와의 소통기회를 티켓 구매라고 확언과 반복을 함으로써 구매 열기를 전염병처럼 퍼뜨렸다. 그래서 팬들은 이에 과몰입하면서 카리나의 이성교제 시 불매운동 경고를 낸 것이다.   

    

문화계보다 군중심리의 부작용이 더 염려되는 건 정치권 극성 팬덤이다. 나치 지배 당시 독인인들은 유대인 학살 등 나치 만행에 맹목적으로 동조했던 것도 히틀러가 군중심리를 활용한 예다. 정치인들의 이런 선동술은 지금도 여전하다.   

   

보수·진보를 떠나 극단적인 정치적 팬덤은 ‘집단착각’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자신에게는 해가 되더라도 다수를 따라 비이성적인 행동을 하는 위험성에 주목해야 한다. 러시아의 1100만명 우크라이나 친척들은 러사아 군의 우크라이나 민간인 학살을 믿지 않는다. 러시아 정부의 공식 입장만을 진실로 믿는 심각한 집단착각을 보이는 것이다. 이런 폐해는 외부와의 소통이 철저히 통제된 북한에서도 보인다.      


믿고 싶은 정보만 편향적으로 받아들이는 집단착각의 유혹에서 벗어나 다양한 정보와 함께 집단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4월 총선이 되기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노동시작 개혁이 최고의 저출산대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