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틱톡샵 활용 베트남 마케팅

베트남 미디어 커머스 틱톡샵 

 현재 베트남에서 가장 주요한 이커머스 플랫폼은 쇼피와 틱톡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과 1~2년전까지만 하더라도 주요 베트남 이커머스 채널로 쇼피, 라자다, 티키를 언급했겠으나, 2023년 현재 틱톡샵의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우선 쇼피는 전통적인 온라인 쇼핑 플랫폼으로 한국의 오픈마켓과 유사합니다. 쇼피의 경우 쇼피코리아라는 한국 법인이 있어서, 한국 셀러가 직접 베트남 쇼피에 입점한 후, 쇼피코리아의 물류 시스템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직접 판매가 가능합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다른 글에 다루었으니,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오늘은 새롭게 떠오르는 베트남 이커머스 채널 틱톡샵을 중심으로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한국에 계신 분들은 대부분 틱톡에 대해서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앞선 글에서도 여러번 소개했지만, 틱톡은 숏폼이라고 불리는 짧은 동영상 SNS 채널로 전세계적으로 젊은 연령층으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틱톡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분들에게 틱톡샵은 굉장히 생소할 것 입니다. 틱톡샵이란 틱톡이 만든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기존 틱톡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구현되어져 있습니다.


베트남 틱톡샵 예시 Kagawa Việt Nam


 위 베트남 틱톡샵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베트남 틱톡에서 컨텐츠들을 살펴보다보면 중간중간 위와 같은 광고 컨텐츠가 보이는데요. 프로필을 들어가보면 위 예시처럼 상품을 설명하는 팝업창이 뜹니다. 이 후 컨텐츠 카테고리 옆 틱톡샵 카테고리에 들어가보면 상품 리스트가 구현되어져 있습니다. 위 예시처럼 브랜드가 직접 틱톡샵을 개설할수도 있고, 1000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크리에이터 또한 개인 틱톡샵을 개설하여 원하는 물건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해놓았습니다.


 틱톡샵의 강점은 컨텐츠 시청 후 구매까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틱톡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팅되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틱톡샵이 있기전까지, 틱톡은 오직 SNS 기능만을 수행했습니다. 베트남 마케터들은 틱톡 숏폼 컨텐츠를 활용하여 마케팅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쇼피, 라자다 또는 자사몰로 연결 시키는 방식을 활용해서 상품 판매를 이끌어냈습니다. 작년초(2022년)까지만해도, 저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베트남에서 마케팅을 진행해왔습니다. 그런데 틱톡샵이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하더니, 어느 순간부터 틱톡에 외부 링크를 게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컨텐츠 또는 댓글에 쇼피, 라자다와 같은 외부 이커머스 채널을 언급하면 컨텐츠가 노출되지 않는 등 틱톡의 틱톡샵 밀어주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제가 실제로 진행하고 있는 건들의 예시를 들면, 틱톡 광고를 진행하여 트래픽이 쇼피로 이어지도록 설계하니, 틱톡에서 쇼피로 전환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져, 전환 순간의 이탈율이 30~40%정도 될 정도로 높아졌습니다. 또한 틱톡에서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할 때 '쇼피'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패널티를 받기 때문에, 인플루언서가 '쇼피'라는 단어를 정확하게 언급하지 못하고 대신 'S샵'이라고 작게작게 속삭이기도 하였습니다. 즉 틱톡은 틱톡샵을 활용해서 단순 SNS 채널이 아닌 미디어 커머스 채널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과거 틱톡이 SNS채널이던 시절 쇼피는 협력자였지만, 현재 틱톡샵을 보유한 틱톡에게 쇼피는 경쟁자가 된 것입니다. 


 틱톡과 틱톡샵을 연계하여 베트남 마케팅을 진행하면 실제로 판매전환률이 높아짐을 체감합니다. 아래는 제가 베트남 틱톡샵 마케팅 효과 측정을 위해서, 파일럿 형식의 틱톡샵을 개설하여 1개의 상품을 틱톡샵에 업로드하고, 약 10개내외의 짧은 광고 동영상을 틱톡에 업로드하여 해당 상품에 연계한 결과입니다. 2월 23일에 틱톡샵을 개설하였는데, 즉각적인 판매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약 일주일이 지난 오늘까지(3월 1일) 유의미한 판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아래 판매 그래프 참조). 해당 틱톡샵은 컨텐츠를 추가 업로드하고, 광고 예산을 확대하여 효과를 지속 측정해나갈 계획입니다.


 

 쇼피코리아를 통해서 베트남 시장 내 직접 판매를 하고 있는 브랜드들에게 베트남 틱톡샵의 성장은 위협인 동시에 기회입니다. 틱톡 컨텐츠 마케팅으로부터 쇼피까지 트래픽을 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쇼피코리아를 활용하고 있는 한국 브랜드들에게 분명한 위협입니다. 그러나 베트남 시장 직접 진출 또는 풀필먼트 등을 활용한다면, 베트남 현지의 틱톡샵 이용이 가능하고 틱톡+틱톡샵 연계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베트남 대세 SNS 틱톡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