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서 Jan 25. 2016

나는 뭐하는 인간일까

스물일곱, 그래서 난 어른이 되었을까?

'시작'이 난무하는 1월. 나는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한다. 시작이랄 게 있었나. 모든 것은 찰나로 지나가는 허상일 뿐, 처음과 끝이라는 단어조차 식상했다. 언제부터였을까.


생각해보면 어릴 적, 그러니까 학창시절까지만 해도 나는 시작이라는 단어에 설레었다. 분명히 그랬다. 누군가가 정한 시작을 주변에서 바통 터치하듯 이어 말하기 시작하면, 내 주위에 모든 것은 바뀌었다. 같은 반 아이들의 얼굴이 달라졌고, 담임 선생님이 달라졌으며, 교복에 반질반질한 윤도 더해진 것만 같았다. 심지어 네 번 계단을 올라 열 발자국 이면 닿던 반도, 여섯 번의 계단과  스물두 번의 발자국으로 늘어났다. 난방을 하지 않아 차가운 학교의 공기도 싸늘하기 보단 익숙한 푸근함이었다. 

나는 그 자리에 서있는 것 같았지만 상황에 밀려 시작점에서 한 발자국씩 내딛기 시작했고, 내의지와는 상관없이 마침표를 찍었다. 달라짐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설렘이 앞섰다. 미성년자이기에 가능했던 모든 변화였고, 덕분에 난 늘 새로운 삶을 즐기고 있었다. 그 당시의 난, 어렴풋이 느낄 수 있었다. 나를 뚤러싼 모든 것들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를. 정확히 말할 수는 없었지만 그랬던 것 같다. "난 어른이 되기 싫다"는 말을 습관처럼 뱉어냈으니... 

성인이란 이름으로 세상에 던져질 나는, 한 발자국 내딛을 준비조차 되어 있지 않았다. 

그렇다. 난  두려워했다.


또다시, 나는 내 의지와 상관없이 어른이 돼버렸다. 미성년자로서 겪은 마지막이자 최악의 변화였다.  열아홉이 스무 살이 되던 그 시간, 나는 속절없이 돌아가는 시계를 노려보고 있었다. 눈을 흘기고  마른침을 삼켰지만 시간은 더디게도, 빠르게도 가지 않았다. 늘 그렇듯, 시간은 독선적이고 절대적인 존재였다. 그렇게 난 성인이란 이름을 갖게 되었다. 간혹, 아직은 만  19살이라고 말해주는 약봉지에 위안하며. 


의외로 독립은 빨랐다. 대학에 들어와 자취를 시작하면서부터였다. 학자금 대출을 받아 들어간 학교에서, 100만 원의 기숙사비를 받은 것 빼고는 전부 내 힘으로 버텼다. 어른이 된 것만 같았다. 불안했지만 그래도 살고는 있구나 싶어 내심 스스로가 대견할 때도 있었다. 물론 오래가지는 않았다. 1교시에 지각을 몇 번, 끼니를 거르고 대충 라면으로  며칠을 버텼을 즈음에도 자각하지는 못했다. 그저 과제에, 모임에, 인간관계에 치여 그랬다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그래도 영 힘들 때는 부모님이 도와주시기라도 했으니, 난 벽에 부딪힌다는 게 무엇인지 알기도 전에 늘, 구원당했다. 그럴 때면 학창시절 그랬던 것처럼 "어른이 싫다. 어렵다.'며 한숨을 몰아쉬었다.


난 언제부턴가 내 나이를 기억하지 못했다. 올 해에도 마찬가지였다. 2016년 제야의 종이 울렸을 때도, 모두가 나이 먹음에 한탄할 때, 난 내 나이를 떠올리지 못했다. 몇몇 새해 문자가 도착해서야 알게 되었다. 

"넌 이제  스물일곱이야. 이십 대 후반에 접어든 여자라고!"

<지금까지 그랬던 거처럼  스물일곱도 잘 지내자>는 친구의 카톡은 나에게 그렇게 외치고 있었다.  머릿속 적당한 문구를 골라 답장을 보낸 뒤 나는 초조해졌다. 이십 대 후반, 더 이상 어른이 되기 싫다고 하기엔 시간이 허락 하지 않는 나이.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하지만 이번에는 좀 다른 문제였다. 마침 원고를 쓰던 월간지가 폐간되고, 밥벌이에 온 신경이 곤두서 있을 때였다. 


나는 뭐 하는 인간이지

스물일곱이 되는 동안 단 한 번도, 진심으로 생각해 본 적 없던 화두가 내 머릿속을 지배했다. 놀랍게도 정말 단 한 번도 난 내가 뭐하는 인간인지 생각해 본 적 없었다. 한심하기 짝이 없다며 좌절하기엔 너무 늦은 것만 같아 난 계속해서 내가 뭐하는 인간인지를 찾아야 했다. 지금 찾지 않으면 이대로 어영부영 누뜨고 밥 먹고 대충 살다가 노후대비도 없이 늙어 놀이터에서 멍 때리는 늙은이로 남을 것이 분명했다.


생각은 끝내 어른과 아이의 중간에서 멈췄다. 물을 이리저리 튀기면서 뭔지 모를 경계선을 마구잡이로 헤집고 다녔다. 눈에 보이는 건 다 잡아보려고 했다. 딱 익사하기 직전의 모습이었다. 잡았다 하면 끊어지고, 다시 가라앉길 몇 번, 이번엔  반드시!라는 심정으로 잡은 나의 생명줄은 어찌 된 영문인지 '시작'이었다. 시작이라는 단어가 설레지 않을 때, 그때부터가 어른이 아닐까. 난 처음으로 내가 어른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어른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시작하지 않았기에, 누구도 변해주지 않았기에, 나는 시작이니 출발이니 하는 것들을 식상하게 느꼈던 것은 아닐까. 나만 빼고 전부 앞으로 가는 것 같아 초조했던 마음도, 같은 맥락이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서 나는 아무것도 아닌 인간이 되어버렸고, 그렇게 한 발자국 내딛지 못한 어른으로 멈춰 있었다. 왜 여유를 주지 않느냐고, 어른이 될 시간이 필요하다고 시계를 째려볼 뿐, 나는 투정만 부리는 미성숙한 20대를 보내고 있었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뭔가 시작하지 않으면 안됐다. 뭐든 하는 인간이 되어야만 했다.


난 집안 가구를 옮겼다. 알람을 한 시간 일찍 당겼다. 책을 읽는 시간을 정하고, 글을 쓰는 시간을 늘렸다. 할 수 있는 건 그것 뿐이었다. 운동을 시작할까 하다, 작심삼일로 끝나버릴 게 뻔해 시간 날 때 동네 공원이나 한 바퀴 돌자며 타협했다. 소심한 변화지만 나름 성과가 있었다.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야 했고, 글을 쓰는 동안은 나를 작가라는 이름에 조금 더 가까워지게 했다. 가장 중요한 건,  나는 그게 뭐든 무언가를 하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나는 어른이 되었을까?

대답은 글쎄. 어른이라는 게 하루아침에 되는 건 아니잖아? 그저 뭐라도 하면서, 시간을 흘겨보기 보다는 적절히 이용하면서, 그렇게 살다 보면 그러면 언젠가는 어른이라는 말이 부끄럽지 않은 날이 오지 않을까.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이제 시작이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일은 하기 싫은데, 돈은 벌어야 하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