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닥터로 Aug 23. 2024

소매물류 (Retail Logistics)

Retail Logistics, 소매물류란?


소매물류(Retail Logistics)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소매물류는 최종 소비자에게 제품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일련의 통합된 활동과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이는 제품의 조달, 보관, 재고 관리, 운송, 그리고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전달되는 전 과정을 포함하며, 동시에 이와 관련된 정보의 흐름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1. 수요 예측(Demand Forecasting): 고객의 구매 패턴과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여 미래 수요를 예측한다.
2. 재고 관리(Inventory Management): 적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하여 고객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재고 유지 비용을 최소화한다.
3. 창고 운영(Warehouse Operations): 제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하며, 주문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4. 운송 관리(Transportation Management): 제품을 공급업체로부터 소매점 또는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운송한다.
5. 역물류(Reverse Logistics): 반품, 재활용, 폐기물 처리 등의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6.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s): 물류 활동 전반에 걸친 정보를 수집, 분석, 공유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7. 고객 서비스(Customer Service): 제품의 가용성, 배송 시간, 주문 처리의 정확성 등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


소매물류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에게 적시에, 적절한 장소에서, 적정한 가격으로, 원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기업의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을 추구한다.


현대의 소매 환경에서 물류는 단순한 지원 기능을 넘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E-commerce)의 성장과 함께 소매물류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빠른 배송(Fast Delivery), 실시간 재고 정보 제공(Real-time Inventory Information), 유연한 반품 정책(Flexible Return Policy) 등이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매물류의 이해


소매 물류(Retail Logistics)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분야로, 제품의 가용성(Product Availability)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는 단순한 물품 이동을 넘어선 복잡하고 전략적인 과정을 포함한다. 소매 물류는 기업을 소비자 및 공급업체와 긴밀히 연결하여 효율적인 비즈니스 운영을 가능케 한다.


저명한 마케팅 전문가 Philip Kotler(2001)는 물류를 "고객의 요구를 이익과 함께 충족시키기 위해 원산지에서 사용 지점까지 자재와 최종 제품의 물리적 흐름을 계획, 실행 및 통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는 물류의 전략적 기능을 강조하며, 소매 물류가 고객 만족과 기업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균형적 접근을 요구함을 시사한다.


소매 물류 프로세스는 두 가지 상호 연관된 흐름으로 구성되는데,


1. 정보 흐름(Information Flow): 고객으로부터 기업으로 흐르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판매 활동 데이터, 수요 예측, 주문 정보 등)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기업 내부에서 분석되어 제조 및 구매 계획으로 변환되며, 시장 수요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가능케 한다.
2. 재고 흐름(Inventory Flow): 제품과 자재의 조달부터 시작하여 생산 과정에서의 가치 창출, 유통 채널을 통한 이동, 그리고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소유권이 이전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정은 효율성과 비용 효과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소매업체들은 제품 이동(Product Movement)과 수요 관리(Demand Management) 측면에서 물류를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 판매 데이터 분석(Real-time Sales Data Analysis)이 필요하며,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한 판매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 수요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


또한, 수요 변동성이 낮은 제품들을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는 재고 비용 최소화와 고객 요구에 대한 즉각적 대응이 가능한 유연한 시스템(Flexible System)을 필요로 한다.


종합적으로, 소매 물류는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의 핵심 부분으로, 원산지에서 최종 소비 지점까지의 상품, 서비스, 관련 정보의 효율적 흐름과 저장을 계획, 실행, 통제하는 전체 과정을 포함한다. 이는 고객 요구 충족과 기업의 운영 효율성 및 수익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소매 환경에서 물류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Online Shopping)의 성장, 빠른 배송(Fast Delivery)에 대한 소비자 기대 증가, 글로벌 공급망(Global Supply Chain)의 복잡성 증대로 인해 효과적인 물류 관리는 소매업체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소매업체들은 물류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한 전략(Flexible Strategy)을 수립해야 한다.



물류관리


물류 관리 업무는 '물류 믹스(Logistics Mix)'의 구성요소를 관리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에는 보관 시설, 재고, 운송, 단위화 및 포장,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이 포함된다.


보관 시설(Storage Facilities) 관리는 소매업체가 제품 수요에 대비하거나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소매업체는 재고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창고 또는 재고 보관실 시설을 관리하여 제품의 가용성을 유지한다.


재고(Inventory) 관리는 모든 소매업체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소매업체는 각 제품에 대해 적정 수준의 재고 또는 재고량(완제품 및/또는 부품)을 파악하고,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이 재고의 최적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운송(Transportation) 관리는 제품이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이동하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 소매업체는 다양한 형태의 운송 수단, 다양한 크기의 컨테이너와 차량, 그리고 운전자와 차량의 일정 및 가용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운송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단위화 및 포장(Unitization and Packaging)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소매업체는 물류 측면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매대에서의 판매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 포장을 개발하는 데 주력한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s)은 효과적인 물류 관리의 핵심이다. 소매업체는 수요와 공급, 물량, 재고, 가격, 이동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소매업체들은 시스템의 적절한 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분석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물류 운영을 실현하는 데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개요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경영 분야로, 상품과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관리한다. SCM은 원자재를 최종 제품으로 변환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포괄하며, 기업의 공급 측면 활동을 전략적으로 최적화하고 간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CM 전문가 협의회(Council of SCM Professionals)의 정의에 따르면, "SCM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조달, 변환, 운송 및 유통에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의 계획 및 통제를 포괄한다. 이는 공급업체, 중개인, 제3자 서비스 제공업체 및 고객 등 파트너 간의 조정과 협력을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SCM은 최종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 내부 및 기업 간의 공급과 수요 관리를 통합한다."


SCM의 주요 구성요소는 계획(Planning), 소싱(Sourcing), 제조(Manufacturing), 배송(Delivery), 그리고 반품(Returns)으로 이루어진다. 계획 단계에서는 전체 공급망의 전략을 수립하고 수요를 예측한다. 소싱 단계에서는 적절한 공급업체를 선정하고 관리하며, 제조 단계에서는 실제 제품을 생산하고 품질을 관리한다. 배송 단계는 완성된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다루며, 반품 단계에서는 고객으로부터 반환된 제품을 처리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 공급망의 효율성을 결정한다.


효과적인 SCM은 기업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우선, 고객 만족도 향상(Improved Customer Satisfaction)을 통해 기업의 평판과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운영 효율성 증대(Enhanced Operational Efficiency)는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재고 관리 개선(Better Inventory Management)을 통해 재고 유지 비용을 줄이고 자산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리스크 관리 강화(Strengthened Risk Management)는 공급망 전반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인다. 마지막으로, 협력 관계 강화(Improved Collaboration)를 통해 공급업체, 유통업체 등 파트너사들과의 효과적인 협업이 가능해져 전체 공급망의 성과가 향상된다. 


특히, 개선된 공급망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제조 운영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는 적시 배송, 품질 향상,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실현되며, 결과적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기업은 지속적으로 SCM을 개선하고 최적화하여 이러한 이점들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


전략적 이점 (Competitive Advantage)


공급망 관리와 정보 시스템은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공급망 관리는 기업이 공급업체에서 소매업체의 고객에 이르기까지 상품의 흐름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활동과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고객이 원하는 수량의 상품을 선호하는 위치와 적절한 시간에 구매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는 소매업체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제품 가용성을 증가시키고 재고 회전율을 높여 더 높은 자산 수익률을 창출하는 전략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품 유통의 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비용과 가격을 낮추고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적절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월마트(Walmart)의 성공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그들의 정보 시스템과 SCM 시스템이다. 경쟁사들이 이러한 이점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월마트 시스템과 같은 수준의 성능을 달성하기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월마트는 장기간에 걸쳐 시스템 개발에 상당한 초기 투자와 지속적인 투자를 해왔다.
2. 월마트는 규모의 경제를 가지고 있다.
3. 공급망 활동이 기업 내부에서 이루어져 경쟁사가 쉽게 알거나 복제할 수 없다.
4. 이러한 시스템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진의 지원과 회사 전체 직원 및 기능 영역의 협조된 노력이 필요하다.

월마트의 시스템은 업계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효율적인 SCM이 기업의 성공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는 효과적인 SCM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에 핵심적인 요소임을 강조한다.


상품 제품 가용성 (Product Availability)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는 소매업체와 고객 모두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소매업체의 매출 증가, 비용 절감, 재고 회전율 향상, 그리고 마크다운(가격 인하) 감소로 이어진다. 특히 제품 가용성 측면에서 두 가지 주요 이점이 있다.


첫째, 효율적인 SCM은 재고 부족(Stock out) 상황을 줄인다. 재고 부족은 고객이 원하는 특정 재고 관리 단위(Stock Keeping Unit, SKU)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상황을 말한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즉각적인 판매 손실을, 장기적으로는 고객 충성도 하락과 같은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재고 부족을 최소화함으로써 판매와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효율적인 SCM은 맞춤형 상품 구성(Tailored Assortments)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적절한 상품이 적절한 매장에 제공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전국 단위 소매 체인점들은 각 매장의 상품 구성을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은 기후, 패션 트렌드, 각 매장 주변 지역 시장의 고객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각 매장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상품 구성을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판매를 증진시킨다.


이러한 이점들을 통해 효율적인 SCM은 소매업체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수익성 증대에 기여한다. 따라서 소매업체들은 지속적으로 SCM 시스템을 개선하고 최적화하여 이러한 이점들을 최대한 활용하려 노력한다.



자산수익률의 향상 (High Return on Assets)


효율적인 공급망 및 정보 시스템은 자산 수익률(Return on Assets, ROA)을 향상시킨다. 이는 재고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매출과 순이익률을 높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순매출은 고객에게 더 매력적이고 맞춤화된 재고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증가한다. 순이익률은 총 마진을 높이고 비용을 낮춤으로써 개선된다. 구매자와 공급업체를 조정하는 정보 시스템을 통해 소매업체는 더 낮은 비용으로 상품을 확보할 수 있어 총 마진이 향상된다.


또한, 소매업체는 배송을 조정하여 운송 비용을 줄임으로써 운영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더불어 상품의 수령, 판매 준비, 매장으로의 배송 과정에서 최소한의 취급으로 추가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아마존(Amazon)은 이러한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국 시애틀에 본사를 둔 아마존은 미국 최대의 인터넷 기반 소매업체로, 초기에는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음악, 비디오 게임, 신발, 의류, 여행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한다.


아마존이 광범위한 제품군을 보유할 수 있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물리적 매장의 제약이 없다는 점이다. 그들의 공급망은 최저 수준의 재고에서부터 주문의 물류, 그리고 국제적 규모의 뛰어난 제품 유통망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다. 


현재 아마존은 약 1,000만 개의 다양한 제품을 배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경쟁사들에 비해 우위를 제공하며,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가 무엇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완벽한 사례가 된다. 아마존의 고객 중심 쇼핑 경험과 추천 시스템은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효율적인 SCM 시스템이 뒷받침하고 있다.


Pull and Push 공급망


소매업체들은 상품을 유통센터에서 매장으로 밀어낼지(push) 또는 당겨올지(pull) 결정하는 공급망 전략을 선택한다. 이는 Push 공급망과 Pull 공급망으로 구분된다.


Push 공급망(Push Supply Chain)은 비교적 단순한 접근 방식으로, 예측된 수요를 기반으로 상품을 매장에 할당한다. 수요 예측이 이루어지면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특정 수량의 상품을 유통센터와 매장으로 출하(push)한다.


Pull 공급망(Pull Supply Chain)은 POS(Point of Sale) 단말기에서 수집된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장 수준에서 상품 요청이 생성되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이 유형의 공급망에서는 상품에 대한 수요가 공급망을 통해 상품을 끌어당긴다(pull).


Pull 방식은 고객 수요를 기반으로 매장에서 상품을 요청하기 때문에 과잉 재고나 재고 부족의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Pull 접근 방식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1. 더 비용이 많이 들고 정교한 정보 시스템이 필요하다.

2. 일부 상품의 경우, 수요에 따라 재고 수준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패션 및 자체 브랜드 의류는 몇 달 전에 주문해야 한다.

3. 이러한 약속은 쉽게 변경할 수 없으므로 주문이 형성될 때 매장에 상품을 할당해야 한다.

Push 공급망은 우유, 달걀, 목욕 타월 등 꾸준하고 예측 가능한 수요를 가진 상품에 효율적이다.


Pull 접근 방식은 재고 회전율을 높이고 고객 수요 변화에 더 민감하게 대응한다. 특히 수요가 불확실하고 예측하기 어려울 때 Push 방식보다 더 효율적이다.


Push와 Pull 공급망이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매업체는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직접 매장 배송 (DSD: Direct Store Delivery)


직접 매장 배송(Direct Store Delivery, DSD) 또는 유통 센터 사용 여부는 상품의 특성과 수요의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 소매업체는 각 대안의 총 비용과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균형 있게 고려하여 더 효율적인 유통 시스템을 결정한다.


DSD는 공급업체가 상품을 직접 매장으로 배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제공하는 공급업체는 상품 배송 외에도 추가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상품 진열(진열대나 선반에 상품 배치)과 재고 수준에 대한 정보 수집 등이 포함된다.


DSD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공급업체 직원들은 주 여러 차례 소매업체의 매장을 방문할 수 있다. 이들은 재고 수준과 창고 재고를 평가하여 적절한 주문 수량을 결정하고, 주문을 보충하며, 지역 선호도에 따라 제품을 진열한다.


이러한 DSD 방식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신선도 관리: 빠른 배송으로 신선 식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2. 재고 관리 효율성: 공급업체가 재고 관리를 지원하여 소매업체의 부담을 줄인다.
3. 맞춤형 서비스: 지역 선호도에 따른 제품 진열로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4. 비용 절감: 중간 유통 단계를 줄여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DSD 방식은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상품의 특성, 수요의 예측 가능성, 물류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DSD와 유통 센터 사용 중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많은 소매업체들은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유통센터 (Distribution Centre)


유통 센터(Distribution Centre)는 상품의 효율적인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먼저, 입고 운송 조정(Coordinating Inbound Transportation)을 통해 기업으로 들어오는 상품의 운송, 보관, 배송을 관리한다. 이는 인바운드 물류(Inbound Logistics)의 핵심 부분이다.

상품이 유통 센터에 도착하면 수령 및 검사(Receiving and Checking) 과정을 거친다. 수령은 도착한 상품의 입고를 기록하는 과정이며, 검사는 상품의 손상 여부와 주문 내역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수령 및 검사가 완료된 상품은 보관되거나 크로스도킹(Cross-docking) 과정을 거친다. 크로스도킹은 상품을 거의 또는 전혀 보관하지 않고 공급업체나 제조 공장에서 고객이나 소매 체인점으로 직접 유통하는 물류 절차이다.


다음으로, 상품을 '판매 준비'(Getting Merchandise "floor-ready") 상태로 만든다. 이 과정에서는 상품에 가격표와 식별 라벨을 부착하는 티켓팅과 마킹 작업이 이루어진다.


매장 배송을 위해 유통 센터의 컴퓨터 시스템은 매일 각 매장으로 배송할 품목 목록을 생성한다. 각 품목에 대해 피킹 티켓(Pick Ticket)과 배송 라벨(Shipping Label)이 생성되는데, 피킹 티켓은 특정 보관 구역에서 각 품목을 얼마나 가져와야 하는지 표시하고, 배송 라벨은 매장의 목적지를 나타내며 상자에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출고 운송 조정(Coordinating Outbound Transportation)을 통해 기업에서 나가는 상품의 운송, 보관, 배송을 관리한다. 이는 아웃바운드 물류(Outbound Logistics)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유통 센터는 상품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소매점의 재고 수준을 최적화하며,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유통 센터는 이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요 예측, 재고 최적화, 운송 효율성 개선 등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유통센터 모델과 직접 매장 배송의 비교


유통 센터(Distribution Center)와 직접 매장 배송(Direct Store Delivery) 방식은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통 센터는 전체적인 재고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앙 집중식 유통 센터에 필요한 예비 재고량이 센터가 서비스하는 모든 매장에 필요한 예비 재고량보다 적기 때문이다. 매장은 유통 센터로부터 빈번한 배송을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예비 재고만 보유하면 된다. 이로 인해 소매업체는 개별 매장의 재고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의 재고 투자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유통 센터 공간은 소매점 공간보다 훨씬 저렴하다. 유통 센터는 주로 고속도로 근처의 외곽 지역에 위치하는 반면, 매장은 고객의 집 근처의 더 비싼 지역에 위치한다. 이는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통 센터의 경제성을 높인다.


유통 센터는 가격 라벨 부착과 같이 판매를 위한 상품 준비가 필요한 경우에 더 효율적이다. 센터에서 이러한 준비 작업을 할 때, 여러 직원을 훈련시켜 활동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유통 센터가 모든 소매업체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매장 수가 적은 소매업체의 경우, 유통 센터 운영 비용이 정당화되기 어렵다. 또한, 직접 매장 배송 방식은 상품을 매장에 더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깨지기 쉬운 물품이나 스낵, 빵, 우유, 아이스크림 등의 부패하기 쉬운 상품에 주로 사용된다.


일부 공급업체는 자사 제품이 매장 진열대에 제대로 전시되고 신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직접 매장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프리토레이(Frito-Lay) 스낵을 슈퍼마켓에 직접 배송하는 직원들은 진열대에 오래 있어 신선도가 떨어진 제품을 교체하고, 판매된 제품을 보충하며, 제품이 깔끔하게 전시되도록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소매업체는 자사의 규모, 취급 상품의 특성, 비용 구조 등을 고려하여 유통 센터와 직접 매장 배송 방식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하거나 두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재고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공급망 효율성 관리


공급망 효율성은 공급업체와 소매업체가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할 때 향상된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공급업체는 소매업체의 상품 수요에 맞춰 원자재 구매와 생산 프로세스를 계획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급업체는 자사의 창고나 소매업체의 유통 센터 또는 매장에 과도한 재고를 보유하지 않으면서도, 소매업체가 필요로 할 때 "적시에(just in time)"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가 공급망 관리 활동을 조정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 내에 과도한 재고가 쌓이게 된다. 이처럼 조정되지 않은 채널에서 재고가 쌓이는 현상을 채찍효과(Bullwhip Effect)라고 한다. 


채찍효과라는 용어는 프록터 앤 갬블(Procter & Gamble)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이 회사는 팸퍼스(Pampers) 일회용 기저귀에 대한 소매업체들의 주문량이 채찍 모양(bullwhip)처럼 큰 폭으로 변동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실제 소매 판매량이 비교적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발생했다. 조사 결과, 소매업체들이 평균적으로 실제 필요량보다 더 많은 재고를 주문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채찍효과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소매업체가 수요를 과대 예측하거나, 공급 부족을 우려해 과도하게 주문하는 경우, 또는 대량 주문 할인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주문하는 경우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급망의 상위로 올라갈수록 더욱 증폭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공급망의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채찍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망 참여자들 간의 정보 공유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실시간 판매 데이터 공유, 수요 예측 협력, 재고 수준의 투명한 공개 등을 통해 공급망 전체의 가시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재고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문량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 수립, 리드타임 단축, 가격 정책의 안정화 등의 전략도 채찍효과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공급망 관리를 위해서는 단순히 개별 기업의 최적화를 넘어 공급망 전체의 최적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채찍효과와 같은 비효율성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모든 참여자의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보충설명 : 채찍효과 (Bullwhip Effect)


채찍효과(Bullwhip Effect)는 공급 사슬에서 최종 소비자로부터 상류로 올라갈수록 수요의 변동성이 점차 증폭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P&G사가 Pampers 기저귀의 공급 사슬에서 처음 관찰했다. P&G는 소매업체의 판매량은 거의 일정했으나, 소매업체가 P&G에 발주하는 주문량의 변동은 더 컸고, P&G가 공급업체에 발주하는 주문량의 변동은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 유사한 현상은 다른 기업에서도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파스타 제조업체 BARILLA사에서는 슈퍼마켓에 납품하는 주간 주문량이 3배 이내의 범위에서 변동한 반면, 지역 물류센터(RDC)에서 발주되는 주간 주문량은 70배까지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채찍효과의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소비자의 일일 판매량이 10개, 주 70개라고 가정할 때, 소매업자는 안전재고를 위해 주 80개를 주문한다. 도매업자는 추가 안전재고를 위해 주 90개를 주문하고, 제조업체는 더 큰 규모의 안전재고를 위해 월 9만개 생산을 계획한다. 최종적으로 원부자재 공급업체는 100개 생산분의 원부자재를 발주하게 된다. 이처럼 상류로 갈수록 주문량의 변동이 점차 증가하는 현상이 바로 채찍효과이다.


채찍효과의 주요 원인은 정보의 왜곡과 지연에 있다. 도매업체가 수요예측을 할 때, 소매업체의 주문 자료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소매업체의 주문량 변동이 실제 고객 수요량의 변동보다 크기 때문에 도매업체는 더 많은 안전재고를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논리가 공급 사슬의 상류로 갈수록 반복되어 채찍효과가 발생한다.


채찍효과라는 용어는 비교적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이 현상 자체는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Forrester(1958)는 이를 'Forrester effect'라는 개념으로 처음 소개했다. 그는 공급 사슬 내 주체들 간의 정보, 자재, 자금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이 정보 및 물리적 제품 흐름에 지연, 변동, 증폭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채찍효과는 공급 사슬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류로 갈수록 더 많은 재고를 보유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하고, 수요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져 생산 계획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결과적으로 고객 서비스 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채찍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실시간 판매 데이터 공유를 통한 수요 가시성 향상, 공급 사슬 참여자들 간의 협력적 예측 및 계획, 주문부터 배송까지의 리드타임 단축, 할인 행사로 인한 수요 변동을 최소화하는 가격 정책 안정화, 그리고 대량 주문으로 인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배치 크기 축소 등이 대표적인 방안이다.


채찍효과의 이해와 관리는 효율적인 공급 사슬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전체 공급 사슬의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모든 참여자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채찍효과의 발생원인


채찍효과(Bullwhip Effect)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며, 이는 공급 사슬 관리의 여러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 

먼저, 전통적인 수요예측의 문제가 채찍효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공급 사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주문 정책과 전통적인 재고관리기법, 그리고 수요예측 관행이 이에 해당한다. 통상적인 재고 정책 하에서는 재고 수준이 재주문 점보다 낮아지면 미리 설정된 목표 재고량까지 재고를 보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요 변화에 따라 주문 시점과 주문량이 변하게 되고, 이는 공급 사슬의 모든 단계에서 주문량과 재고량의 변동을 초래한다.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기업들이 실제 시장 수요가 아닌 자사에 들어온 주문량에 근거하여 수요를 예측한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공급 사슬의 상류로 갈수록 수요가 왜곡되고 변동이 증가하게 된다.

긴 리드타임(Lead Time)도 채찍효과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공급 사슬 각 단계 사이의 리드타임이 길어질 경우 변동성이 증가한다. 안전재고와 재고량 산정에 리드타임이 고려되기 때문에, 리드타임이 길어지거나 변동이 있으면 작은 수요 변화도 안전재고, 재고량, 주문량의 큰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일괄 주문(Order Batching)도 채찍효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소매업체가 일괄 주문 방식을 취하면, 도매업체는 주문이 없거나 한꺼번에 몰리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이 공급 사슬 상류로 갈수록 반복되면 변동 폭이 더욱 커진다. 기업들이 일괄 주문을 하는 이유로는 주문비용 절감, 운송비용 할인 이점, 그리고 분기말 또는 연도말 목표 판매량 달성을 위한 비주기적 대량 주문 등이 있다.


가격 변동 역시 채찍효과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가격이 낮을 때 더 많은 양을 구매하려는 소매업체들의 경향과, 특정 시기나 품목에 대한 판촉 및 가격 할인 정책이 주문량의 변동성을 증대시킨다.


과잉 주문(Inflated Orders)도 채찍효과를 유발한다. 특정 상품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품절이 예상될 때, 소매업체는 실제 수요보다 과도한 주문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행은 재고 처리 및 공급업체의 수요 추정에 왜곡을 가져온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기업 조직과 형태의 문제도 채찍효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공급 사슬의 각 구성원이 자신의 입장에서만 행동을 취하고, 자신의 행동이 다른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거나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채찍효과를 발생시키고 악화시키며, 결과적으로 공급 사슬 전체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채찍효과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공급 사슬 관리에 있어 구성원들 간의 신뢰 부족과 협력 결여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공급 사슬 구성원들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내려는 노력보다는 당면한 지역적 문제에만 대응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변동이 발생할 때 공급 사슬의 다른 구성원들을 비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파트너가 아닌 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 원인 중 하나는 공급 사슬의 복잡성에 있다. 어떤 구성원도 자신의 행동이 공급 사슬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이는 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의 가장 중요한 결과가 전혀 다른 단계나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성은 구성원들 간의 이해 부족과 갈등을 더욱 심화시킨다.


파트너들 간 신뢰의 결여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 신뢰가 부족할 경우, 구성원들은 전체 공급 사슬의 성과를 희생하더라도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기회주의적 태도를 보이게 된다. 이는 공급 사슬 전체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신뢰 부족으로 인해 동일한 문제에 대해 중복된 투자와 노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정보 공유의 부재이다.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유용한 정보가 공유되지 않거나 아예 무시되기도 한다. 이는 공급 사슬 전체의 의사결정 품질을 저하시키고, 효율적인 운영을 방해한다. 정보의 비대칭성은 채찍효과(Bullwhip Effect)와 같은 공급 사슬의 비효율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급 사슬 구성원들 간의 신뢰 구축과 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투명한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공동의 목표 설정, 성과 공유 메커니즘 도입 등을 통해 상호 신뢰를 증진시키고, 전체 공급 사슬의 최적화를 위한 협력적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급 사슬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모든 구성원의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채찍효과의 추가적 원인


채찍효과(Bullwhip Effect)의 발생에는 앞서 언급한 원인들 외에도 몇 가지 추가적인 요인들이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공급 사슬의 비효율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첫째, 주문 전송과 상품 수령의 지연(Delays in Transmitting Orders and Receiving Merchandise)이 채찍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소매업체가 판매를 정확히 예측했다 하더라도, 공급업체에 주문을 전달하고 해당 주문을 받는 데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조정되지 않은 공급 사슬에서는 소매업체가 상품을 얼마나 빨리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재고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주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다 주문은 공급 사슬 전체의 재고 수준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둘째, 품절에 대한 과잉 반응(Over-reacting to Shortages)도 채찍효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소매업체가 원하는 상품을 구하기 어려울 때, 재고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을 주문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부분 배송 시 더 많은 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공급업체는 평균적으로 소매업체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을 배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잉 주문과 배송의 악순환은 공급 사슬 전체의 재고 수준을 증가시키고 비효율성을 야기한다.


셋째, 일괄 주문(Ordering in Batches)도 채찍효과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소매업체들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번의 소규모 주문 대신 한 번에 대량으로 주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주문 처리 비용과 운송 비용을 줄이고 수량 할인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괄 주문 방식은 공급 사슬 상류로 갈수록 수요 변동성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특정 시기에 대량 주문이 집중되고, 다른 시기에는 주문이 거의 없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공급업체의 생산 계획과 재고 관리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원인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종종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채찍효과를 더욱 강화한다. 예를 들어, 주문 지연에 대한 우려로 과잉 주문을 하고, 이를 일괄 주문 방식으로 처리하면 채찍효과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채찍효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공급 사슬 전체의 관점에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정보 공유의 개선, 주문 및 배송 프로세스의 최적화, 그리고 공급 사슬 참여자들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채찍효과의 감소방안


채찍효과(Bullwhip Effect)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불확실성 감소, 변동성 감소, 리드타임 단축, 그리고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불확실성 감소를 위해 가장 많이 제안되는 방법은 수요 정보의 공유와 집중화이다. 공급 사슬의 모든 단계가 실제 고객 수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각 단계가 동일한 수요 데이터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다른 예측 기법이나 구매 관행을 가지고 있다면 여전히 채찍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공유뿐만 아니라 예측 기법과 주문 정책의 표준화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변동성 감소 방안으로는 고객 수요 프로세스에서 내재하는 변동성을 줄이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소매업체는 EDLP(Everyday Low Pricing) 전략을 통해 고객 수요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EDLP는 가치 가격 전략이라고도 하며, 주기적인 가격 할인 대신 항상 낮은 가격을 유지하는 전략이다. 이는 가격 할인 시 발생하는 급격한 수요 변화를 제거하여 안정된 고객 수요 패턴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EDLP는 Wal-Mart와 P&G에 의해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소매업체의 비용 절감, 제조업체의 쿠폰 관련 비용 절감, 고객 충성도 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리드타임 단축도 채찍효과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방안이다. 리드타임에는 제품의 생산과 인도에 소요되는 주문 리드타임과 주문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 리드타임이 포함된다. 주문 리드타임은 크로스도킹(Cross-docking) 도입을 통해, 정보 리드타임은 적절한 정보시스템 도입을 통해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채찍효과를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MI(Vendor Managed Inventory) 시스템에서는 제조업체가 소매업체 매장의 자사 제품 재고를 관리하며, 재고 수준과 제품 공급량을 자체적으로 결정한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소매업체의 주문에 의존하지 않게 되어 채찍효과를 피할 수 있다.



수요 정보의 중앙 집중화도 공급 사슬 상류 단계에서 관찰되는 변동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소매업체가 고객 수요 정보를 공급 사슬의 다른 단계와 공유하고, 상류 업체가 소매업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형태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안들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공급 사슬 전반의 채찍효과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전체 공급 사슬의 효율성과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공급 사슬 참여자들 간의 긴밀한 협력과 신뢰가 필수적이며, 정보 시스템의 통합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구축 등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채찍효과 발생 원인 요약


1. 수요예측의 왜곡

   - 각 단계별 독립적인 수요예측으로 인한 정보 왜곡

   - 실제 시장 수요가 아닌 주문량 기반의 예측

2. 리드타임(Lead Time) 문제

   - 긴 리드타임으로 인한 변동성 증가

   - 주문 전송과 상품 수령의 지연

3. 주문 정책의 문제

   - 일괄 주문(Order Batching)으로 인한 수요 변동성 증폭

   - 재주문 점 기반의 재고 정책으로 인한 주문량 변동

4. 가격 변동 및 판촉 활동

   - 가격 할인 시 과다 구매로 인한 수요 왜곡

   - 특정 시기의 판촉 활동으로 인한 주문량 변동

5. 과잉 주문(Inflated Orders)

   - 품절 우려로 인한 필요 이상의 주문

   - 품절에 대한 과잉 반응(Over-reacting to Shortages)

6. 조직 간 신뢰 부족 및 정보 공유 미흡

   - 공급 사슬 구성원 간 협력 부족

   - 유용한 정보의 미공유 또는 무시

7. 공급 사슬의 복잡성

   - 각 구성원의 행동이 전체에 미치는 영향 파악 어려움

   - 지역적 최적화로 인한 전체 최적화 저해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채찍효과를 발생시키고 악화시킨다. 채찍효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보 공유의 개선, 주문 및 배송 프로세스의 최적화, 공급 사슬 참여자들 간의 긴밀한 협력, 그리고 전체 공급 사슬의 관점에서의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역물류 (Reverse Logistics)


역물류(Reverse Logistics)는 일반적인 물류 시스템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공급망의 중요한 부분이다. 주로 제품이 소비 지점에서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고객이나 매장에서 반품된 상품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Rogers와 Tibben-Lembke는 역물류를 "가치 회수나 적절한 폐기를 목적으로, 소비 지점에서 원점까지 원재료, 재공품, 완제품 및 관련 정보의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흐름을 계획, 실행, 통제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이는 단순한 반품 처리를 넘어서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역물류 시스템은 다양한 이유로 반품된 상품을 처리한다. 상품이 손상되었거나, 리콜된 경우, 판매 시즌이 끝났거나 단종된 제품, 또는 과잉 재고 등이 그 대상이 된다. 반품은 고객에서 소매점으로, 소매점에서 유통 센터로, 또는 유통 센터에서 공급업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역물류 과정에서는 몇 가지 특별한 고려사항이 있다. 반품된 상품은 손상되었거나 원래의 배송 상자가 없을 수 있어 특별한 취급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소량으로 반송되는 경우가 많아 운송 비용이 높은 편이다.


'애프터마켓 공급망(aftermarket supply chain)', '애프터마켓 물류(aftermarket logistics)', 또는 '레트로지스틱스(retrogistics)'라고도 불리는 역물류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고객 만족도 향상, 환경 책임, 비용 절감, 그리고 자원의 효율적 활용 등 여러 측면에서 기업에 이점을 제공한다.


효과적인 역물류 시스템의 구축은 기업의 전반적인 공급망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역물류를 단순한 비용 센터가 아닌 가치 창출의 기회로 인식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Chopra, S., & Meindl, P. (2019).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 (7th ed.). Pearson Education.


Christopher, M. (2016).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5th ed.). FT Press.


Simchi-Levi, D., Kaminsky, P., & Simchi-Levi, E. (2008). Designing and Managing the Supply Chain: Concepts, Strategies, and Case Studies (3rd ed.). McGraw-Hill.


Stock, J. R., & Lambert, D. M. (2000). Strategic Logistics Management (4th ed.). McGraw-Hill/Irwin.


Handfield, R. B., & Nichols, E. L. (1999). Introduction to Supply Chain Management. Prentice Hall.


Arntzen, B. C. (2007).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and International Logistics. Wiley.


Levy, M., & Weitz, B. A. (2009). Retailing Management (8th ed.). Tata McGraw Hill.


Fernie, J., & Sparks, L. (2019). Logistics and Retail Management: Insights Into Current Practice and Trends. Kogan Page.


Nagpal, D., Sharma, K., Lapashia, R., & Tripathi, S. (2020). Supply Chain Management and Logistics. Vipul Prakashan.


Myway855. (2021, April 8). 스마트 SCM 구축과 성공사례. Naver Blog. https://blog.naver.com/myway855/222299054195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