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꾸는집순이 Jan 04. 2024

받아들여지는 경험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내가 받아들여진다는 것

아이가 8살이 되도록 손 빠는 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있었다. 나무랄 일이 아닌 것이, 나 또한 어릴 때 늦게까지 손을 빨았었다. 그렇다고 해서 손 빠는 아이를 방치해 둘 순 없었다. 심정적으로는 이해가 된다 해도 손 빠는 것의 결과가 아이에게 이롭지 않기 때문이었다. 아니, 사실은 늦게까지 손 빠는 사람이라는, 나와 똑 닮은 점을 그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았고 부끄럽기 때문이었다.


버릇을 고치는 방법에 대해 남편과 의논하고 싶었다. 강경한 태도로 손을 빨 때마다 지적을 할 것인지, 어떤 장치(손에 뭘 바른다든가 하는)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습관과 멀어지게 할 것인지 이야기하고자 했다. 아이 아빠는 평소에 그것에 대해 별 언급을 하지 않던 터라 그의 생각이 궁금했다. 그런데 그의 입에서 나온 말은 예상 밖이었다.


"가만 놔둬."


그는 초연한 태도를 일관하며 그게 무슨 큰 문제라도 되냐는 듯이, 아무 문제없고 아이가 언제까지고 손을 빨든 말든 그저 예쁘기만 하다는 듯이 말했다. 가슴속에서 뭔가가 뜨끈뜨끈해지며 눈물이 나려고 했다. 그렇게 말하는 그가 고마웠다. 그때는 당황했는지 나도 모르게 고맙다는 말 대신 나 어릴 때도 그랬었다며 "그렇지? 놔두는 게 낫겠지?"라고 면서 무 말이나 해댔다.


나와 닮은 점이 있는 아이가 존재 자체로 온전히 받아들여짐을 통해, 나 또한 동시에 받아들여지는 경험을 한 것이다. 그런 경험을 하고 나니 더 이상 아이의 손빠는 것을 문제 삼지 않았다. 엄마가 편안해짐을 저도 모르게 눈치채서 아이도 편안한 마음을 먹게 된 것인지, 얼마 지나지 않아 손빠는 습관을 스스로 고쳤다.


아이 덕분에 결핍이 조금씩 메워지는 중이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미워하는 나 자신이 바뀌고 있다. 아이가 그런 경험을 제공해 준다. 아이가 없었다면 받아들여질 때의 따뜻한 정서를 느끼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아이를 키우며 엄마도 성장한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알겠다.



keyword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