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솔라리스의 바다 May 04. 2024

알카트라즈 탈출

클린트 이스트우드 아저씨의 저 찡그린 표정이 왠지 좋음

<알카트라즈 탈출>(돈 시겔, 1979)을 봤다. 그전에도 몇 번인가 봤다. 이런 경우 좋아하는 장면을 기다리는 즐거움이 있다. 예를 들면 교도소장이 모리스(클린트 이스트우드)를 불러다가 잘난 척 설교하는 장면이 그렇다. 평소의 모리스라면-아니 클린트 이스트우드라면-교도소장에게 이죽거릴 만도 한데, 웬일인지 이번엔 얌전하다. 하지만 이유는 곧 밝혀진다. 모리스가 나가고 난 뒤, 만족스러워하는 교도소장 책상 위에 놓여있던 손톱깎기 하나가 사라졌다는 사실.

 

'그래 너는 떠들어라, 나는 할 일이 있어.'라는 듯한 모리스의 표정


나는 이런 모리스가 좋다. 하지만 <알카트라즈 탈출>의 모리스만 그런 게 아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나온 대부분의 영화에서 늘 그렇다. <석양의 무법자>가 그랬고 <더티 해리>가 그랬다. <밀리언 달러 베이비>나 <그랜 토리노>에서도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늘 못마땅한 표정으로 악당을 바라본다. 나는 그런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삐딱함이 좋다. 마음껏 삐딱할 수 있는 체질이 부럽다. 


이번에 <알카트라즈 탈출>을 보면서 느낀 건데 <쇼생크 탈출>(프랭크 다라본트, 1994)과 닮은 점이 많았다. <쇼생크 탈출>의 앤디와 레드처럼, 모리스도 잉글리시라는 죄수와 친해진다. (백인 vs 흑인이라는 구도도 비슷하다. 참, 여기서 모리스와 잉글리시의 대화씬도 인상적이었다. 잉글리시가 옆에 앉지 않고 서 있는 모리스에게 말한다. "이 계단에 앉지 않으려는 사람은 두 가지지, 검둥이를 싫어하거나 겁쟁이거나." 그러자 모리스가 잉글리시 옆에 앉으며 말한다. "난 검둥이가 싫어." 지금은 크게 문제가 될 'n'으로 시작되는 단어를 내뱉으며 잉글리시 옆에 앉는 모리스. 결국 두 사람은 친구(까지는 아니지만)가 된다.)

앤디와 브룩스 할아버지와의 즐거운 한 때.

도서관이라는 장소가 나오는 것, 책에 손톱깎기를 숨기는 것도 비슷했다. (<쇼생크 탈출>에서는 망치 같은 것을 성격책에 숨긴다) 벽을 파고 탈옥하는 것이라든가 벽을 파낸 흙을 몰래 숨기고 나와 산책을 하면서 슬슬 버리는 것도 닮았다. 그리고 <쇼생크 탈출>에서처럼 이 영화에서도 주인공에게 육체적으로 접근하는 남자 죄수가 등장한다. (<쇼생크 탈출>과는 달리 <알카트라즈 탈출>에서는 모리스에게 흠씬 두들겨 맞는다. 당연하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니까) 

초반에 모리스가 리트머스를 처음 만났을 때, 스파게티 국수를 얻어서 쥐에게 먹이는 장면은 <쇼생크 탈출>에서 브룩스가 앤디의 밥에서 나온 벌레를 얻어서 새에게 주는 장면과 같았고 (이 브룩스와 닮은 그림 그리는 박사라는 인물이 나오기도 한다) 독방 형태와 2층 복도식으로 되어 있는 교도소의 공간 구조도 <쇼생크 탈출>과 비슷했다. 그밖에도 교도소라는 공간, 탈옥이라는 사건을 다루다 보니 클리셰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영화 <쇼생크 탈출>은 스티븐 킹의 소설 『리타 헤이워스와 쇼생크 탈출』을 영화화했고 원작 소설은 1982년에 나왔으니, 아마도 <알카트라즈 탈출>이 스티븐 킹과 프랭크 다라본트 모두에게 영향을 준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돈 시겔 아저씨 대단하다.)


(처음엔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퉁명스러운 표정 때문에 글을 쓰려했는데, 영화 비교로 끝나고 말았군요. 후후.)



keyword
작가의 이전글 시티헌터(2024)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