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의 투자유치, IR에 대한 이야기.
2023년도 빠르게 지나갔네요. 새해가 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12월입니다. 우리 회사는, 올해 초 추가 라운드 투자 유치를 위해 IR을 계속했어요. 저도 대표님의 IR자료를 디자인 팔로업하면서 우리가 얼마나 중요한 시기에 있는지 생각하게 되고 정말 잘 준비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컸었습니다. 투자시장이 정말 춥구나,...라는 것도 체감했고요. 상반기 내 유치가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래도 다행히(!) 9월 초에 투자 유치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기사 : 디버, 30억원 규모 시리즈A 브릿지투자 유치 성공)
올 해 중 8개월 가량 IR 자료를 디자인 하면서, 스타트업에 재직중인 직원들이 이해할 만한 "스타트업의 투자유치"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해 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내용을 모아보았습니다. 투자시장의 구조를 모를 때는 투자금을 많이 받으면 좋은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회사에 현 상황에 맞는 투자 유치규모가 중요한 거더라구요. 이 부분은 글의 하단에 "지분율 계산법" 부분을 읽어보면 조금 이해가 가실 거에요.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서 제작한 스타트업 투자 동향 리포트입니다. 2022.01~12 기간동안의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한 자료입니다. 2021년도에 비해 2022년도에는 투자 건수는 1,186건에서 1,765건으로 늘어났지만, 투자금은 감소했어요. 한 곳에 큰 금액을 투자하기 보다는 분할해서 투자를 하려고 하는 시장의 심리가 반영된 것 같기도 합니다. 분야별 투자 유치 비교표를 보면, Mobilty분야의 투자 건수는 107건, 투자 유치 금액은 총 9302.5억원입니다. 쏘카 1832억원, 팀프레시가 1600억원을 유치했으니, 두 기업이 유치한 파이가 3분의 1이 넘네요.
국내의 모빌리티 시장의 다양한 회사들 중에서 우리의 입지는 어느 정도 성장했는지, 금년도 투자유치에서 어느정도의 파이를 가져왔는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주요 동향에 대한 리포트를 모아두었어요. 플랫폼 규제 정책, M&A심사기준 토론회 자료집, 스타트업 트렌드 리포트 등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이 많아요.
기존에 정보를 얻었던 곳을 소개하면, 더 브이씨는 한국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 베이스를 모아둔 곳이에요. 한국 스타트업의 투자 동향을 알아 볼 수 있어요.
회사명을 검색하면 회사의 투자 단계와 투자 규모, 제품/서비스 분야, 기술, 자본금, 직원수를 알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 성장분석 플랫폼으로, 더 브이씨와 비슷하게 스타트업들의 성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브이씨와의 차이점은 조금 더 상세한 항목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어요. 트래픽, 기술 특허, 소셜 분석, 소비자 거래분석, 소비자 유형분석, 조직 분석, 손익/재무, 보도자료까지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근 혁신의 숲에서 발행한, 22년 4분기 MAU 월평균 성장률 44% 이상 주목할 만한 스타트업 5개 기업 중에 우리 회사 “디버”의 이름이 올랐습니다! 우리의 제휴사인 더파이러츠(인어교주해적단)도 함께 명단에 올랐습니다. 협력 관계에 있는 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기쁘네요. 앞으로도, 투자 시장에서 우리 회사의 Pre Value가 제대로 평가 받게 되길 기도합니다.
(→ 혁신의 숲 - "디버"의 기업 데이터 바로가기)
� 하기 내용은 “투자유치를 앞둔 창업자를 위한 투자계약서 가이드북, 법무법인 디라이트・스타트업얼라이언스 공저”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투자의 종류
SI 투자(Strategic Investment, 전략적 투자) : 경영적 목적에서 하는 투자 (예를 들면, 대기업 자동차 회사가 자율주행 레이더 또는 라이더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
FI 투자(Financial Investment, 재무적 투자) : 창업투자회사(VC, Venture Capital)나 사모펀드회사(PEF, Private Equity Firm) 등과 같은 투자전문회사가 재무적 관점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서 하는 투자
→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초기 및 중기에는 FI투자를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편, 성장함에 따라 관련 업종의 기업으로부터 SI 투자를 받는 경우가 많음.
투자 구조
[2022년 국내 스타트업 기준]
지분율 계산법
Pre Value(Pre-money Valuation, 투자 전 기업가치)와 투자 금액을 통해 Post Value (Post-money Valuation, 투자 후 기업가치), 지분율을 계산해 볼 수 있음
· Pre Value + 투자 금액 = Post Value
· 투자 금액 / Post Value × 100 = 지분율(%)
· 투자 금액 / 지분율 = Post Value
→ 예를들어, 기업의 현재 가치를 250억 Pre Value로 평가 받기를 원하고, 50억 정도 투자 유치를 희망한다고 가정해 본다면, 계산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50억(Pre Value) + 50억(투자 금액) = 300억(Post Value)
50억(투자금액) / 300억 x 100 = 16.6667%(지분율)
50억 / 16.6667% = 300억(Post Value)
기업 가치를 낮게 평가 받은 상태에서 투자 금액을 많이 받게 되면, 지분율을 투자사에 많이 내어줘야 합니다. 반대의 경우에는 큰 금액을 투자 받더라도, 투자사의 지분율은 낮아지죠. 기업 입장에서 큰 투자금을 받고 낮은 지분율을 내어주기 위해서는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업가치와 투자유치 금액을 통해, 지분 확보율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금액을 공개하지 않는 회사들도 있지만 큰 투자를 유치한 기업들의 투자 금액과 투자사의 지분 확보율을 통해서 Pre Value와 Post Value를 한 번 계산해 보시면, 좀 더 투자 시장이 재미있게 보일 거에요.
글을 마치며,
스타트업에 입사해서 3년이 넘는 시간 동안 대표님을 도와 IR자료 디자인을 함께 팔로업하면서, 이제야 스타트업의 투자시장에 대해 '아주 조금' 이해하게 된 것 같아요. 숫자와 경제용어에 약한 디자이너인 저는 여전히 너무 어렵지만요ㅎㅎ 스타트업에서 근무하시는 직원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디버의 안정적인 시리즈B 유치를 기원하며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