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펙터 Specter Jun 18. 2024

요즘 시대에 맞는 레퍼런스 체크, 어떻게 해야 하나?

[평판조회 도입 가이드] 1


[지원자를 리스펙(respect) : 스펙터와 함께하는 성공적인 채용 전략_평판조회 도입 가이드]


이직 트렌드 분석

최근 링크드인에서 한 달에 최소 한 명은 이직 소식을 전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약 416만 명이 이직했고, 그 중 근속연수 1년 미만의 이직자가 41.4%를 차지했습니다. 


이직을 준비하는 방식도 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퇴사 후 이직을 준비했지만, 요즘은 현직에 있으면서 이직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회사 다니면서 이직 준비", "이직 준비하는 직원", "이직 준비 들킴" 등의 검색어가 자주 검색되는 것도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합니다.

이직 검색 시 추가 검색어: ‘회사다니면서 이직준비’ ‘이직 준비하는 직원’’이직준비 들킴’


경력직 채용의 변화

이직을 원하는 경력자들은 정보 수집에 적극적입니다. 회사의 재무제표, 입퇴사율, 평균 연봉, 경영진 인터뷰, 직무 설명서(JD), 그리고 커뮤니티에서 언급된 회사 이야기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인재를 영입해야 하는 회사도 앉아서 기다리지만 않습니다. 헤드헌터를 이용하고, 링크드인이나 네트워크를 활용해 직접 인재를 발굴하고 커피챗을 제안하는 등 적극적으로 찾습니다. 그리고 주로 임원들을 대상으로 했던 레퍼런스 체크를 경력직에도 적용합니다. 



레퍼런스 체크의 변화

과거 레퍼런스 체크는

주로 임원 및 고연봉자 채용 시 최종 단계에서 지원자의 이력을 검증하고 결격 사유가 없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대부분 전화로 진행되었고, 개인 정보에 덜 민감하던 시대에는 본인 동의 없이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반면,


요즘 시대의 레퍼런스 체크(평판조회)는

과거 방식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해 지원자의 일하는 성향을 파악하고 조직에 맞는 인재인지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최종 단계보다는 서류 전형 합격자나 1차 면접 후에 평판 보고서를 참고해 최종 면접을 진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플랫폼 방식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더 많은 내실 있는 지원자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레퍼런스콜 위주로 과거부터 해 오던 방식은 레퍼런스 체크, 
플랫폼을 통한 요즘 방식은 평판조회로 지칭하겠습니다.  



기간 2016.1.1~2024.5.31 네이버 데이터랩


레퍼런스 체크와 평판조회의 관심도

네이버 데이터랩 통계를 보면, 레퍼런스 체크는 2017년부터 증가세를 보입니다. 평판조회 용어도 꾸준한 검색량을 보이고, 스펙터 평판조회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에는 스펙터 평판조회 서비스 검색어가 점차 증가해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언급량이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2022 일자리이동통계를 잠시 언급했는데요. 5년간 이직이 증가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직이 많아지면서 평균 근속연수는 짧아졌습니다. 그리고 이 증가세와 유사하게 레퍼런스 체크 검색어도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어요.   


늘어난 채용 비용과 실패 비용

이직이 잦아지면서 채용 비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한 명을 채용하는데 드는 시간은 평균 32일, 비용은 약 1,300만 원입니다. 직원 이탈 시 공백을 메우는 것부터 인건비, 4대 보험료, 추가 채용 비용 등이 들며, 채용 실패 비용은 채용한 사람의 연봉의 3배에서 임원의 경우 24배까지 들기도 합니다. 이런 이유로 채용 과정에 더욱 신중을 기하게 되며, 평판조회는 지원자에 대한 검증된 데이터로 채용 결정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평판조회가 지원율에 미치는 영향

“그런데 레퍼런스 체크나 평판조회하면 지원율이 줄어들까봐 걱정이에요.” 
“지원자도 적은데, 부담을 느껴 지원조차 안할까봐 우려됩니다” 


도입은 하고 싶은데, 레퍼런스 체크나 평판 조회가 지원율을 떨어뜨릴까 걱정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하지만 평판 조회를 도입한 회사들은 오히려 장점을 명확히 느끼고 있으며, 때로는 입사에 대한 진정성을 확인하는 척도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평판 조회를 도입하고 여러 채용 프로세스를 개선한 결과, 지원자가 증가하고, 커피챗 수락이 늘며, 면접 노쇼가 줄어드는 사례도 있습니다. 즉 평판조회를 도입하고 채용 과정을 잘 구성한다면 오히려 긍정적인 채용 경험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에스엘] 평판조회 도입하고도 6개월 만에 지원자 약 150% 증가한 비법

[LINER] 평판조회 덕에 시간은 10배 줄이고, 채용 리스크 없이 확신을 갖게 됐어요



평판조회 도입 준비  

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레퍼런스 체크나 평판조회 도입을 고민 중일 확률이 큰데요. 자체적으로 진행하려면 여러 준비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콘텐츠에서 인재검증 방식, 평판조회 또는 레퍼런스 체크를 진행하기 위한 A TO Z를 소개하겠습니다.   



*참고자료 2022일자리이동통계, 통계청 

매거진의 이전글 평판조회 시 주의해야 할 4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