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두씨 Jun 10. 2022

웹서비스 관련 부서

안녕하세요. 연두씨입니다. 


웹기획을 설명하기에 앞서 웹서비스를 하기 위한 각 파트에 대한 설명을 조금 하고자 합니다.

웹서비스라는 것이 어느 한 파트만으로 서비스를 할 수 없는 것이기에 각 파트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는 간단히 설명하지만 각자 다른 파트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하시고 꾸준한 이해와 관심을 계속 가지시길 권합니다.


회사에서 IT 관련 조직이라고 하면...

-인프라

-개발

-디자인

-퍼블리싱

-기획

정도가 보통 기본이고, 마케팅과 콘텐츠 부서가 회사에 따라 IT내에 있기도 IT 밖에 있기도 합니다. 


인프라는 웹서비스를 하기 위한 환경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하고

개발은 웹서비스가 실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는 업무를 합니다. 

디자인은 웹서비스의 UI와 UX, Identity를 2D로 표현한다면

퍼블리싱은 디자인을 html로 구성하여 3D로 표현한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쉬운 이해를 위하여 축약된 설명을 하였으나, 각 분야별로 지향하는 바와 개념, 다양한 기법과 트렌드들을 더 검색하여 공부해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파트가 일을 하는 순서는...

보통 기획에서 어떤 내용을 작업해야겠다 설계가 서면, 디자인에서 표현하고, 퍼블리싱에서 구성하여, 개발에서 프로그래밍 후 테스트를 거쳐 오픈하게 됩니다. 

인프라는 이 모든 순서 전에 이미 마련되어 있고, 오픈 시 오픈에 따른 환경에 맞춰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에서 작업의 순서를 나열하였으나, 단계가 끝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실제 작업 시에는 각 단계에 모든 파트가 긴밀하게 협의를 통해서 수정/보완하면서 최종 아웃풋을 완성하거나, 처음부터 모든 단계를 전 파트가 같이 작업하는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요즘 IT에서는 어떤 순서나 파트의 구분이 점점 무의미해져 가는 추세입니다. 

어떤 한 파트뿐 아니라 웹서비스 전체 환경에 대한 이해, 세계적으로 지향하는 메가트렌드나 개념, 다양한 분야의 많은 정보, 기술에 관심이 점점 필요해져 가는 것 같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