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흐릐 Mar 23. 2024

이런, 소금기둥이 되어버렸다

100일간의 코로나 일기 100일 차, 20200625

코로나 바이러스 일기를 100회째 쓰고 있다. 오래도 썼다. 100일이 지난 지금도 아직도 이 글의 이름을 코로나 바이러스 일기로 붙이고 있다니 아쉬운 상황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삶의 양식이 많은 부분 바뀐 것은 굳이 언급을 안 해도 될 것이다. 그로 인해 좌절도 많았고 틀어진 계획도 많았고 그리움도 더불어 많아졌었다. 반면에 그로 말미암아 이러한 글을 쓰게 되었고 다행인지 불행인지 아직도 끝나지 않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덕분에 100회가 되기까지 이 글을 쓰고 있다. 매일 무엇이든 글을 써야 한다는 것은 때로는 도전이었고 어떤 날은 한 없이 많은 내용을 쓰고 싶음에도 스스로가 정한 양식에 갇혀서 다 풀어내지 못해 아쉬움도 있었다. 그래도 하루하루 거르지 않고 글을 써나가는 일은 내가 글을 쓰는 것에 얼마나 흥미가 있고 주변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며 내가 앞으로도 글을 써나갈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자그마한 청사진을 보여주었다. 이 내용과 연결된 사진을 소개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내가 찍는 사진과 글을 통해 감정을 전달할 수 있었고, 부족하게 그린 그림으로 또 다른 메시지를 전하는 계기도 가질 수 있었다. 몇몇 분들이 보여준 소중한 감상은 글을 쓰고 지속적으로 글을 올리는데 큰 동기부여가 되었고 그러한 소통이 없었다면 지금까지 글을 써서 올리지 못했을 것이다.


보잘것없는 하루하루가 쌓여서 삶을 형성한다. 우리 매일이 하루를 쌓아간다고 생각했을 때, 전 세계 인구수를 약 80억으로 잡았을 때 오늘 하루에 80억 일 분의 날들이 쌓였다. 그 쌓인 날들이 내일은 두 배가 되고 모레는 세 배가 되고. 그렇게 우리의 삶들이 쌓아져 가지만, 아무도 이것에 관심이 없다. 흩어져 가는 인스타그램 스토리만도 못한 나의 가냘픈 글들은 그 누구의 마음에 안식을 주지 못하고, 앞으로도 안식을 주지 못할 것을 명확히 알면서도 계속 글을 쓰고 싶은 것은, 나의 삶은 그 80억의 하루와는 조금은 다르고 싶다는 발악인 것일까.


높아져가는 자의식과 삶에 대한 기준 그리고 마주하는 현실의 괴리는 계속 넓어져만 가기에, 내일이 찾아오면 넓어질 그 간격을, 눈을 붙이지 않으면 아직 날이 지나지 않았다고 위로하면서 뒤로 눈 흘리며 바라본다. 이런, 소금기둥이 되어버렸다.

매거진의 이전글 삶을 능동적으로 살겠다는 다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