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포인셋 Dec 20. 2023

이혼가정의 자식과는 절대 결혼시킬 수 없다는 어머니

그게 접니다


오늘도 기어이 말 끝을 잡고 말았네요. 훗날 제게는 두고두고 상처가 될 말이었기 때문입니다. 며칠쯤은 제게 잠 못 이룰 말이었기 때문입니다. 모르니 하신 말씀이지만 그렇게 가족이라는 저에 대해 여전히 모르시는 게 많다는 게, 말하기도 어려운 관계라는 게, 맘 속으론 여전히 나 홀로 좁혀지지 않는 사이라는 게 씁쓸합니다.


이미 저에겐 시작된 결혼생활, 저희보다 어린 당신의 따님 결혼을 치르고서 하신 얘기였죠. 큰아들 내외가 겪고 있는 일임을 꿈에라도 아실까요. 거의 몇 년에 가깝게 사돈 간의 식사자리를 이런저런 핑계로 어렵게 거절해 온 데서 혹시나 알아채주시긴 어려웠으려나요. 이제 둘러댈 핑계마저 다 소진되어 버린 지금에야, 우리는 만나도 내세울 게 없어서..라고 끝내 비치지 않던 미안함을 꺼내버린 엄마 말을 듣고서야 저도 말을 꺼냅니다. 떳떳한 자식들 두고 왜 그런 소릴 할까, 뭐가 죄인 같아서. 이렇게 더는 못 버티겠구나.


무슨 마음이신지는 알겠습니다. 만만치 않은 길고 긴 결혼생활, 자식 일에 훗날 언젠가는 반드시 끄집어내어 지고 말 그 조금의 그늘이라도 드리우고 싶을 부모가 어디 있나요. 물론 그늘보단 흠결에 가깝게 생각하셨을 테니 그렇게 강하게 말씀하셨을 겁니다. 그동안 일상의 대화를 돌이켜보니 저는 그늘이나 상처라고, 어머니는 건강하지 못한 가정에서 자란 결핍이나 문제쯤으로 생각하실 것 같네요.


건강하지 못하다는 말이라면 백 번이고 맞다고 하겠습니다. 그 건강하지 못한 데서 보고 자란 것이 내 시각에 평생 영향을 미치는 걸 저도 부인하지는 못하겠습니다. 보고 자란 게 그래서 제 눈이 낮아요,라고 한다면 역시 비뚤어졌다고 하실까요 허를 찔리실까요.


굳이 멀리서 찾지 않아도 이혼가정은 많고도 많더군요. 그런 가정에서 자란 이들은 모두 문제인 걸까요. 물론, 이 상처는 두고두고 내가 건강한 결혼생활과 부모노릇을 못하도록 방해할지 모릅니다. 때로 내가 본 이것만큼은 난 절대 하지 않겠다는 이상한 아집도 만들죠. 또, 그 이혼을 만든 어떤 결정적인 성격적 문제를 직접 물려받았을 수도 있을 겁니다. 그래서 이혼은 대물림된다는 것처럼 받아들이기도 하죠.


어머니는 더더욱, 교육복지 쪽에서 일하시며 문제 가정을 많이 봐오셨죠. 어떤 가정에서 아이가 어떻게 자라는지, 흰 꽃이 색이 담긴 물을 먹으면 반드시 그 색을 머금은 꽃이 되어버리고 만다는 걸 눈으로 직접 보셨기 때문일 겁니다. 그런데 반대로, 아이들에겐 자정작용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도 보시지 않았을까요. 그 아이들 하나하나가 만나보면 그 자체로 문제는 아니었던 것을, 그 보람을 직접 느끼신 것 아니었나요. 아, 그것을 돌이키기까지가 얼마나 힘든지에 머무르셨을지도 모르겠네요. 자식 같은 배우자를 맞게 할 순 없는 일이고, 내 자식은 다르다고요. 너도 애 결혼시킬 때 되면 알겠지만이라는 말이 무섭네요. 저도, 그렇게 될까요.


저에게도 큰 상처가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명백한 한쪽의 잘못으로 인한 이혼은 세상의 지탄을 받을 이유가 없습니다. 그 아이가 다른 죄를 만들지 않은 이상, 이혼가정에서 자랐단 이유만으로 홀대받을 이유도 없죠. 그 아이는 살아가며 어느 정도 극한 상황에서 견디는 힘도 있을 겁니다. 삶과 사람에 대해서도 살면서 더 많은 생각을 했을 거예요. 물론 더 어릴 적에 겪고서 휘청여버리고 만 아이들도 보지만, 저와 제 형제들을 두고는 조금 불안정했다가도 단단해진 바위처럼 여겨질 때가 있죠. 헛된 기대나 로망보다, 미래엔 행복을 쉽게 느낄 여지도 더 많을거라 믿어요. 속은 퍼렇게 멍이 들었을지 모르지만, 기어이 꽃을 피워낸 이도 있을 겁니다. 다들 그런 시련을 극복한 스토리를 좋아하지 않나요. 한 다리 건너서라도 내 얘기가 되는 건 싫을까요.


안타깝게도 어머니가 사랑해 마지않는, 결혼 후에도 부모 걱정시키지 않고 잘 산다는, 당신 입으로도 괄괄하다 하시는 그 아들과도 잘 지내는 며느리가 그런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주변에 이혼 가정이 많지 않아서 그런 얘길 쉽게 할 수 있다면 운이 좋은 겁니다. 주변에 좋은 사람이 많다, 고로 나는 좋은 사람이다라는 논리는 쉽게 성립하는 걸까요. 하나라도, 또는 둘 다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혼하지 않은 것이 더 고난을 같이 헤쳐갈 힘이 있다는 것이겠지만 그것은 반드시 양쪽 모두의 노력도,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기만 하다는 것도 아닐 테니까요. 제겐 그 일방적 색안경이 내가 자라며 직접 당한 그 폭력보다 차갑게 다가왔습니다. 그러니 더 성숙지 못한 마음일 때 겪었다면 나도 더했겠구나 싶더군요.


이혼하지 않은 가정에서 자랐다고 부모도, 아이도 문제가 없는 건 아닙니다. 그렇게 믿고 싶은 이들의 얘기일 겁니다. 확률은 좀 다를지 모르지만 단지 그걸로 100퍼센트인 요소처럼 치부할 수 없다는 거죠. 모든 건 어떤 조건 때문이 아니라 결국은 사람 by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 쉽게 누군가를 '문제'라고 낙인찍는 건 나는 옳고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전제에서 나옵니다. 감히 저는 판단할 수 없네요. 저는 완벽하지 않으니까요. 그저, 이를 같이 묵묵히 짊어지게 되어버린 저의 배우자에게 감사하며 살아야겠지요. 저도 그저, 짊어지게 되어버린 것은 같은 입장이지만요.


사실은 아직 이혼가정이 아닙니다. 도장을 찍은 것도, 따로 사는 것도 아닙니다. 지지부진하게 얼굴 붉히며 좀 떨어져 싸우는 과정에 있습니다. 그런데, 평생을 아직이라 한다 해도, 결국은 이혼가정이 안 된다 해도, 그게 중요할까요?



매거진의 이전글 왜 '미움'에 집중할까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