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NFT 탐색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라텔 Apr 02. 2023

NFT 사업을 해봤는데, 망했습니다.

사업 실패 회고록 2탄

들어가며

1탄 링크를 첨부해봤습니다. 무슨 내용인지 알고 싶으신 분은 1탄을 먼저 읽고 와주세요.

https://brunch.co.kr/@f7413a9d5cff457/26


NFT 프로모션, 수난의 시작

트위터의 첫 게시글 반응은 참담했습니다. 이럴수가. 저희는 훨씬 더 좋은 반응을 예상했었어요. 결코 근자감은 아니었어요. 저희가 기획한 NFT 캐릭터의 시장성을 알아보기 위해 약 2달 전에 트위터에 그림을 올려봤었거든요. 우리 그림이 NFT 커뮤니티에서 먹힐지, 소비자 반응을 미리 알아보기 위해서였죠. 그때는 반응이 좋았어요. 좋아요와 댓글이 많았고, 프로모션 관련 DM이 쇄도했었죠. 근데 두 달 후 공식적인 첫 게시글에는 무덤덤하다니.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었습니다.


프로모션 이전까지의 문제들 - NFT 캐릭터/로드맵/스토리텔링 기획과 웹사이트 제작, 캐릭터 일러스트, 스마트 컨트랙트 연결 등의 작업은 시간이 걸렸지만 결국엔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어요. 인풋에 대한 아웃풋이 확실했죠. 한마디로 '우리'만 열심히 하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언젠가는 해낼 수 있는 일들이었거든요. 예를 들어 워드프레스와 html, css, JavaScript를 활용해서 사이트를 만드는 일은 코딩 관련 전문 지식이 없는 저에게 매우 도전적인 과제였지만, 이것저것 알아보고 공부하면서 결국엔 해냈으니까요. 


근데 NFT 프로모션과 마케팅은 그게 아니었어요. '우리'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게 '소비자'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거였죠. 작업의 진척도를 알 수 있었던 이전의 작업들에 비해 프로모션과 마케팅은 성과를 측정하기가 힘들었어요. 인풋이 아무리 많아도, 아웃풋이 0이 될 수도 있는 거였죠. 


그래서 저희 목표를 우선 떠올려봤어요. 목표는 단순했죠. 'NFT 프로젝트 완판'. 그렇다면 우리 NFT를 사 줄 투자자를 찾아야 됐는데, 트위터에서 어떻게 투자자를 찾을지가 막막했어요. 일단 확실한건 투자를 받기 위해선 유명해져야 하고 유명해지기 위해선 팔로워를 늘려야된다는 사실이었죠. 그래서 팔로워를 늘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트위터를 관리했습니다. 


트위터가 이유없이 계정에 락(Lock)을 건다든지, 마케팅 전략이 예상만큼의 결과를 내지 못한다든지 하는 수난이 계속되었지만, 2주 동안의 꾸준한 트위터 활동과 유저들과의 상호작용, 강력한 프로모션을 통해서 팔로워 5,000명을 달성하는데 성공했어요. 근데 막상 5,000명이라는 팔로워를 달성했는데, 이건 허수지표(Vanity Metric)에 불과하다는 걸 깨달았어요. 팔로워가 늘어난다는 것이 필히 유명해지는 것이라고 볼 순 없는거니까요. 그리고 팔로워가 늘어난다고 한들, 그 팔로워가 실질적인 투자의사와 투자여력이 있는 유저라는 보장은 없으니까요.


단순히 트위터 팔로워만 보유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느껴, 이들을 우리 커뮤니티에 조금이라도 더 락인(Lock-in)하기 위해 디스코드 채널을 개설했어요. 결론적으로는 약 5,000명의 팔로워 중 1/10 정도인 500명이 디스코드에 가입했어요. 팔로워들은 우리 NFT에 대한 어느정도 관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판단했기에, 디스코드 채널을 홍보하면 어렵지 않게 유입될 거라 믿었는데 그렇지 않았어요. 매일 같이 디스코드 유입을 홍보하고, 디스코드 가입자에게 혜택을 주는 프로모션을 수차례 시행해야했죠. 


전개를 좀 앞당길게요. 그렇게 팔로워 약 5,000명과 디스코드 유저 약 500명이 된 시점에 저희는 NFT 민팅(Minting:판매)를 시작했어요. 업계 평균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했기에 최소 5%는 판매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실질 판매량은 1%에 머물렀어요. 여기서부터는 할 수 있는게 많지 않았습니다. NFT 보유 시 혜택을 아무리 알려주고 홍보해도, 소비자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소용이 없죠. 실패한 거였습니다. 그 이후부터는 계속 내리막길이었습니다. 홍보를 해도 유입은 없었고 유출만 있었죠. 본질적인 한계에 봉착했다고 판단했고, 그렇게 사업을 접게 되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가 서론이에요. 대충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알려드리고 싶었거든요. 다음 글에서는 우리 NFT 사업이 왜 망했는지를 분석해볼꺼에요. 물론 확실한 이유는 알 수 없죠. 복합적일수도 있고, 생각보다 간단한 이유일 수도 있어요. 그래서 최대한 다방면에서 잠재적 실패 이유를 생각해봤어요. 다음 글에서 확인해볼게요.

매거진의 이전글 NFT 사업을 해봤는데, 망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