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라텔 Apr 13. 2023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질문들

Mind the Product Perth 강연 핵심 요약 

들어가며

외국에서 유명한 PM 커뮤니티 Mind the Product의 ProductTank는 전세계 200여개 도시의 PM, PO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덕트 관련 종사자들로 이루어진 비공식 로컬 학술모임이다. IBM의 프로덕트 오너 Adam Mullett은 작년 ProductTank Perth(오스트레일리아의 퍼스)에서  <More Questions than Answers: 5 key practice to build a better product> 라는 제목의 강연을 통해 프로덕트 오너가 지녀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 (직접 보고 싶다면 이 링크를 클릭) 


강연에서 Adam은 어떤 프로덕트를 만들든 간에, 질문을 더 많이 하면 많이 할수록 정답에 가까워진다고 말하며 질문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했다. 그는 강연에서 <더 나은 제품을 만들고, 더 좋은 프로덕트 오너가 되기 위한 5가지 관행>에 대해 말하며 자신의 경험을 녹여냈고, 이와 관련된 질문 리스트를 제시했다. 그의 질문 리스트는 제품에 관련된 누구나 접근 가능하며 일상적인 제품 개발 업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그가 말하는 5가지 관행과 관련 질문들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Structured empathy
체계화된 공감
제품 설계 과정에서 최대한 많은 유저 피드백을 활용하자 


유저와의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의도적으로 설계하여 유저의 의견을 수집하고 반영해야한다. 아담은 이 과정에서 부서 간의 통합되고(Unified) 구조적인(Structured) 접근을 강조했다. 각 부서가 피드백을 공유하고 부서 간 경험을 통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또한 제품 설계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범위(Stakeholder's net)를 최대한 넓히는 것이 좋다. 유저 뿐만 아니라, 제품에 관련된 사람이라면 누구든 참여하여 제품에 대해 피드백하고, 이러한 의견들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당신이 유저와 충분히 대화했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

2. 프로덕트 디자인 단계에서 유저와 어떻게 접촉할 것인가?

3. 당신의 유저-테스트 전략은 무엇인가?

4. 피드백을 더 빨리 받는 방법은 없을까?


Leading with disciplined action
계획적인 행동을 통한 리더십
Be, Do, Have의 정신으로 철저하게 계획하자


아담은 엄격한 관리를 강조했다. 여기서 엄격한 관리를 그는 '수도승'에 비유하면서, 수도승이 엄격한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면서 자신을 통제하는 것처럼,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고 이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그는 'Be, Do, Have' 마인드셋을 강조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규정하고, 그에 맞게 행동을 통제하고 관리하면 자연스럽게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마인드셋이다. 이는 특히 스크럼과 같은 구조적인 프로세스 방법론을 활용할 때 특히 더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이 과정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당신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 어떤 일을 완수하기 위해 무엇에 대해 누구에게 'No'라 말할 수 있어야하는가? (우선순위 관련)

3. 지속 가능한 결과를 얻기 위해 더 할 수 있는 게 없을까?


Telling the story
경험 공유
제품과 함께 하는 여정을 스토리텔링하자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에 대한 팀의 노력, 업무, 성과 등을 이해관계자에게 흥미로운 방식으로 스토리텔링 할 수 있어야 한다. 아담은 이를 프로덕트 매니저의 특권이자 책임이라 말한다. 


다음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좋은 이야기(Great story)'를 만들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질문 목록이다.


1. 이 스토리를 들어야 하는 의사결정권자는 누가 있는가?

2. 어디서 나의 이야기를 말해야할까?

3. 누가 들어야하며, 이야기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이 있는가?

4. 어떻게 하면 사실과 일화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더 실감나고, 기억에 남고, 임팩트 있게 만들 수 있을까?

5. 내 이야기에서 영웅과 빌런은 누구인가?


Co-planning
공동 기획
기획은 최대한 다 함께 하자


무언가를 기획 할 때에는 기획한 것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두가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이해관계자 모두를 포함하면 가장 예측 가능한 결과(Most predictable outcomes)를 낳을 수 있다고 한다.


기획(Planning)에 관련된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당신은 얼마나 자주 기획안을 수정해야 하는가? (복잡한 제품이나 프로젝트의 경우, 기획안을 자주 수정해주는 것이 좋다.)

2. 당신은 기획 과정에서 팀원들을 어떻게 참여시키는가? (작업에 대해 팀원들과 소통하고, 모든 관련자를 포함시키자.)

3. 기획 과정의 전제 가정(Planning assumptions)은 무엇이 있고, 이에 관한 리스크는 어떻게 감소할 것인가?

4. 프로덕트 전략을 회사의 목표와 어떻게 얼라인시킬 수 있는가?


Radical transparency
파격적 투명성
파격적인 투명성을 추구하자 


기획, 진행상황, 비전, 우선순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은 피드백의 효과를 높히고 지지자를 형성한다. 높은 투명성은 직원의 신뢰도를 높히고 활발한 소통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런 민주적인 구조 아래에서 직원들은 보다 참여적이고 적극적으로 조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파격적 투명성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볼 수 있다.


당신이 하는 일 중 특히 다른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일은 무엇입니까?

유용한 피드백을 받기 위해 어떻게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좋을까요?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는 무엇이 있고, 이를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을까요?

 


영상의 내용의 핵심은 이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다음은 아담이 공유하는 질문 리스트를 포함한 스프레드 시트이다. 위의 질문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떤 질문을 해야하고, 누구에게 해야하고, 언제 질문을 해야하는 지 등이 구체적으로 나와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8zOAc0lVydgqyUej4dv13cdQVGLmt9QOb_2brr4TeYM/edit#gid=0




출처

https://www.mindtheproduct.com/5-key-practices-to-build-a-better-product-adam-mullett-producttank-perth/


매거진의 이전글 알아두면 좋은 21 Laws of UX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