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ellas Mar 02. 2023

스눕독이 덕질하는 한국인 아티스트 - 디케이

걸어서 소더비까지

괜찮아요, DeeKay가 있잖아요

NFT아트는 많은 분들에게 아직 생소한 예술 영역입니다. NFT아트를 설명하는 것조차 여러 난관에 부딪치곤 해요. 블록체인 얘기를 하면 흥미가 떨어지고 유명 아티스트들의 아트 프로젝트들을 얘기하자니 장황해지죠. 그럴 때마다 전 DeeKay의 작품을 들이 밀곤 합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귀여워서 NFT아트가 낯선 분들에게 상대적으로 쉽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NFT 아트 분야에서 레전드로 불릴 정도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아가고 있는 한국인 아티스트라는 점도 관심을 끌기 좋습니다.

DeeKay는 애니메이션(모션 아트)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테크닉과 대중성을 기반으로 엄청난 팬덤을 보유하고 있어요. NFT아트가 낯설게 느껴지시는 분들이 있다면 DeeKay의 작품으로 감상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린아이부터 성인들까지, 국내에서 해외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어요. 

Verified

DeeKay의 한국 이름은 권동욱인데요, 어렸을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간 후 현재까지 미국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작은 스튜디오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커리어를 시작했고, 구글과 애플에서 일하며 실력과 인지도를 쌓았습니다. 경제적인 이유로 대학을 다니다 그만두었는데 당시에도 멋진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으로 이미 유명했다고 합니다. 구글과 애플에서는 같은 분야의 계약직으로 일했는데 업계 최고의 대우를 받으면서 일하게 됩니다. 하지만 DeeKay는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회사의 일만이 아닌 자신이 만들고 싶은 작품을 만들어야겠다는 창작열이 꿈틀대기 시작했거든요. 그러던 중 NFT아트를 먼저 시작한 그의 친구 Gavin Shapiro의 소개로 NFT아트를 접하게 됩니다. "자 그럼 이제 NFT를 시작해볼까?"라며 바로 뛰어들었을까요?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이 낯선 분야는 그에게도 금방 와 닿지 않았습니다. '처음'이 낯설기는 누구에게나 마찬가지일테니까요. 하지만 친구의 디지털 아트가 NFT로 지속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보고 호기심이 생겼나 봅니다. DeeKay는 자신이 만들어 두었던 짧은 디지털 영상을 NFT마켓플레이스에 시험삼아 올립니다. "설마 누가 사겠어?"라면서 말이죠.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며 예상보다 빠르게 그리고 높은 가격으로 첫 작품이 판매됩니다. 


인생을 바꾼 작은 믿음

DeeKay는 이제 호기심을 넘어 자신의 작품을 보다 많은 팬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컬렉션 공간으로 NFT를 인식하게 됩니다. 비용을 지불하고 작품을 소유하길 원하는 컬렉터들에게 판매하면서 지속적인 창작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게 되죠. DeeKay는 높은 수입과 안정성이 보장된 애플에서의 일을 그만두고 2021년 NFT에 올인합니다.  'NFT아티스트' DeeKay가 탄생한 순간입니다. 사실 DeeKay가 NFT아트에 전념을 다하겠다고 마음먹은데는 또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Mondoir’라는 한 예술 수집가의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Mondoir는 DeeKay가 NFT시장에 막 들어온 2021년 초부터 그의 작품을 구매하고 소통하며 꾸준히 관심을 보입니다. 작가에게 작품이 판매되는 것보다 더 기쁘고 가치를 인정받는 일이 있을까요? 

Mondoir가 보유하고 있는 Deekay의 레츠워크 작품들

당시 DeeKay는 NFT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지 않아 극소수의 팬만 알고 있던 때였는데, 작지만 확고한 어떤 이의 믿음이 DeeKay의 마음을 움직인 것입니다. 구매자를 찾지 못해 스스로 작품의 가치마저 부정하고 자괴감에 빠졌던 위대한 예술가들은 이중섭과 고흐를 제외하고라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습니다. 그만큼 예술가를 예술가답게 만드는 데는 컬렉터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보고 좋아해 줄 사람이 있어야 하니까요. DeeKay에게 Mondoir는 고마움을 넘어 NFT아티스트로서 새로운 삶을 살게 해준 은인과도 같은 존재일지 모릅니다. 그런 면에서 Mondoir는 오늘날 독보적인 대중성과 위상을 지닌 NFT 아티스트 브랜드 ‘Deekaymotion’을 만든 일등 공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023년 8월 'the art of connectivity'라는 이름의 NFT아트 관련 책을 출간할 정도로 열정적인 NFT아트 팬이기도 하죠.

Deekay 후드티를 입은 Mondoir(트위터)


걷자! LET’S WALK!

이제 작품들을 살펴볼까요? DeeKay의 작품 컬렉션은 크게 LET’S WALK 시리즈, 1 OF 1(단일 에디션), 한정 수량 작품(에디션)으로 나뉩니다. 레츠워크는 약 1년 7개월간에 걸친 작업 끝에 완성된 총 100개의 캐릭터가 걷는 모습의 애니메이션인데요. 한 시즌에 9개씩 총 11번의 시즌을 통해 99개의 레츠워크 캐릭터가 창작되었고 마지막 시즌인 ‘시즌 11’에는 10개를 출시해 총 100종의 캐릭터가 완성됩니다. 시즌마다 새로운 캐럭터들이 공개되면서 많은 팬들의 마음을 설레게 했고 시즌 후반부로 갈수록 그만큼 구매 경쟁도 치열해 졌습니다. 

LET'S WALK 캐릭터

캐릭터는 DeeKay자신을 비롯해 슈퍼마리오, 로보캅, 이순신, 에어조던, 손오공, 2PAC, 타이거 우즈, 메시, 다프트 펑크 등 게임, 만화, 스포츠 선수, 가수 같은 다양한 분야의 인물과 캐릭터를 모티브로 삼았습니다. 수많은 캐릭터 중에 자신이 아는 캐릭터를 하나하나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지만 DeeKay 혹은 NFT와 관련 있는 캐릭터들에 대해 미리 알고 보면 좀 더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레츠워크와 모티브

위 그림에서 가장 왼쪽의 NFT Guild는 앞에서 언급한 DeeKay의 팬이자 작가이기도 한 Mondoir가 만든 NFT를 기반으로 한 작품입니다. Mondoir에 대한 존경과 고마움의 표시겠죠. 또 비트코인의 창시자로 알려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있는데 손에 비트코인을 상징하는 코인을 들고 있습니다. 상승장과 하락장을 의미하는 Bull Market(상승장), Bear Market(하락장)을 황소와 곰에 빗대어 NFT시장의 상황을 나타낸 캐릭터인 Space Bull과 Space Bear도 보이는군요. 

레츠워크와 그 모티브가 된 NFT

위의 레츠워크는 유명 NFT프로젝트와 인물을 모티브로 삼은 레츠워크 중 일부입니다. 왼쪽의 Seerlight는 파스텔톤 분홍과 파랑의 색 조합으로 화려하고 예쁜 NFT작품을 만드는 아티스트로 Seerlight의 캡슐을 들고 있는 모습을 레츠워크로 표현했습니다. 가운데 DEAD FELLAZ와 DOODLES는 멋진 아트워크와 NFT 대표 블루칩(우량 NFT)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팬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 때 엄청난 인기를 끌며 NFT시장의 상승장을 이끌던 프로젝트들이었죠. 특히 Doodles는 Burnt toast(Scott Martin)라는 일러스트레이터가 디자인한 귀여운 캐릭터들로 구성되었는데 DeeKay는 그 색감을 그대로 살려 Doodles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오른쪽 Cozomo de’ Medici는 NFT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인플루언서 중 한 명으로 DeeKay와 깊은 인연이 있습니다. 뒤에 이어 그 인연의 씨줄과 날줄을 알아보겠습니다.


걸어서 소더비까지

Let's Walk 시리즈를 100개로 마무리하면서 이를 기념해 단일 에디션인 ‘Let’s Walk Finale’를 제작했는데 이는 소더비에서 경매되었습니다. 한국인 애니메이터 최초일 뿐 아니라 한국인 NFT아티스트 중에서도 최초로 소더비에서 경매를 진행한 것입니다. 이제 소수의 NFT아트 팬만이 아닌 주류 예술계에서도 인정받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아티스트가 된 DeeKay.

소더비에서 경매된 Let's Walk Finale

그런데 이 작품 누가 구매했을까요? 바로 Mondoir입니다.

2022년 11월에 진행된 경매에서 Mondoir는 이 작품을 214,200달러(한화 약 2억 5천만 원)에 낙찰받게 됩니다. DeeKay를 처음부터 응원해 왔던 팬이 결국 레츠워크의 최종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을 얻으며 팬과 아티스트의 진한 유대감을 보여준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Let’s Walk Finale

또한 작품을 사랑해 주고 커뮤니티 문화를 만들어 가는 팬들에 대한 고마움, NFT시장에서 겪은 커다란 위상의 변화, 팬들과 함께 보낸 시간과 경험들이 100종의 워크들로 담담히 표현되어 아티스트 자신과 팬들 모두에게 남다른 감회를 안겨준 작품이기도 합니다. 


저 세상 퀄리티 - 1 of 1

Let’s Walk Finale를 포함한 단일 에디션 작품들은 단 하나밖에 없는 작품 들인 만큼 높은 가격을 자랑합니다. 1 of 1 작품들의 제작에는 1개월에서 수개월까지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정도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애니메이션은 결국 한 장면 한 장면을 만들어 이어 붙이는 작업인데 한땀 한땀 정성스러운 애니메이션 작업으로 움직임이 매우 부드럽습니다. 또 화면에 표현된 수 많은 디자인 요소들이 각자의 동선에 따라 제 각기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모두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위치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매우 조화롭게 느껴집니다. 특정한 요소, 예를 들어 작품 Self Discovery에 등장하는 여러 캐릭터 중 하나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그 외의 다른 요소들이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진행되는지 살펴보면 조금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복잡한 듯 보이면서도 모든 요소가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습니다. 현직 애니메이터들조차 단순히 노력만으로 될 일이 아니라는 말을 할 정도로 압도적인 모션 아트 퀄리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 of 1 작품들은 현재(2023년 2월)까지 총 16점이 만들어져 슈퍼레어, 파운데이션, 소더비 등 주요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민팅되었습니다. 

•2022년 작품(1 of 1)

   LetsWalk Finale / Yin Yang / Life and Death / I♡NY 

•2021년 작품(1 of 1)

   Destiny / Mario Metaverse / Animator Creating Animation / Happy Virus 

   Virtual Game / In The Zone… / Twitter Drama / 4156 x DeeKay  Quarantine Life 

   Instagram Addict / Character Type / Skateboard Rides You 


Mario Metaverse
Virtual Game

작품의 소재는 대체로 삶과 생활, 게임, 소셜 미디어, 애니메이션 작업 등으로 나뉘어요. 그중에서도 Mario Metaverse, Virtual Game 등 게임을 소재로 작품을 만들거나 레츠워크 시리즈에 게임 캐릭터들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어렸을 때 게임 개발자가 되고 싶었을 정도로 게임을 좋아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Mario Metaverse와 Virtual Game 모두 영상이 진행되면서 처음의 배경과 배경음악이 바뀌면서 새로운 반전을 보여주죠. 이처럼 익숙한 캐릭터와 게임 스토리텔링 속에서도 지루할 틈을 주지 않습니다. 

YinYang

작품 ‘YinYang’은 ‘음양’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람은 어둠을 보는 반면, 어떤 사람은 빛을 볼 수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어둠으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빛을 비춘다.”는 설명이 있는데, 그 어둡고 밝은 면 모두 “삶의 의미를 완성한다”는 점에서 대척점에 있는 음과 양이 한 화면에서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음양의 원리를 이렇게 대중적이고 귀엽게 표현한 작품이 있었던가요? 5살 꼬마 아이들이 보더라도 설명할 수 없는 무언가를 느끼지 않을까요? 2022년 9월 NFT아트 플랫폼 슈퍼레어에서 옥션을 통해 판매되었는데 spartanblack이라는 아이디의 컬렉터에게 15만 7천달러(한화 약 1억 9천만 원)에 최종 낙찰되었습니다. 

Work Hard Play Hard(왼쪽 위) | 크립토펑크 3759번(오른쪽 위) | YinYang(아래)

DeeKay의 작품에는 꽃, 식물, 무지개, 레츠워크 캐릭터, 우주선, 바나나(comedian/마우리치오 카텔란 작품) 등과 더불어 크립토펑크, 이더리움, GM/GN 등 NFT 관련 소재도 자주 사용돼요. PFP(프로필 사진) NFT 중 가장 유명한 크립토펑크는 1만개로 이루어져 있어 번호로 구분하는데 작품에 등장하는 크립토펑크는 DeeKay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3759번 크립토펑크입니다. 또 흔히 마름모 모양(◆)으로 표시되는 이더리움은 NFT를 사거나 팔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암호화폐로 NFT작품의 가치는 주로 이더리움으로 표기됩니다. 

I♡NY

또 다른 1 of 1 작품인 ‘I♡NY’은 12년간 뉴욕에서 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입니다. 지하철이 다니고, 길에서 마이클 잭슨 춤을 추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우주선이 사람을 납치하고 스파이더 맨이 날아다니는 등 분주하고 다양한 뉴욕의 모습을 재미있게 표현했어요. 그 와중에 DeeKay 본인과 코조모, 크립토펑크, 레츠워크 캐릭터 중 하나인 Daft Punk, Invisible Friends 등도 등장해 한층 재미를 더합니다. 지하철 지붕 위에는 무슨 일인지 누드(?)로 엎드려 있는 사람도 있는데 뉴욕의 지하철에서 작가 본인이 실제로 목격한 장면이라고 하네요. 

I♡NY에 숨어 있는 다양한 소재들
Quarantine Life

Quarantine Life는 2020년 제작된 작품으로 DeeKay 함께 등장하는 두 남자 캐릭터는 DeeKay의 실제 친구인 Jack과 Paul입니다. 코로나가 시작된 후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던 모습을 담았는데, 화면 오른쪽 아랫부분에 표현된 계단 아래의 매트리스는 실제 장소를 바탕으로 고증(?)되었습니다. 

계단 아래 매트리스 실제 사진(왼쪽) | 작품 캡처(오른쪽)

이 외에도 작품마다 고유한 개성들이 있으니 DeeKay 공식 웹사이트에서 골고루 감상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디케이의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에서 작품들을 볼 수 있는데 특히 트위터에서는 작가 본인이 겪었거나 겪고 있는 재미있는 에피소드들도 종종 볼 수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oggy Dogg! 형이 왜 거기서 나와?

1 of 1 작품 중 ‘Life and Death’에는 특별한 인연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COZOMO DE MEDICI(이하 코조모)’입니다. 현재 NFT세계에서는 마돈나, 퍼렐 윌리엄스, 코조모 등 많은 유명인사들이 활약을 펼치고 있는데요. 

COZOMO DE MEDICI 트위터

그중에서도 코조모는 NFT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고 수많은 아트를 수집하는 유명한 고래(고가의 NFT를 대량으로 수집하는 개인이나 조직을 뜻하는 NFT용어) 수집가입니다. NFT예술에 대한 깊은 애정과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매주 ‘MEDICI MINUTES’라는 NFT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대형 인플루언서이기도 하죠.

COZOMO DE MEDICI의 Medici Minutes

그런데 2021년 9월 래퍼 스눕독이 자신의 트위터에 메시지 하나를 올립니다. 

“I’m @CozomoMedichi” 

스눕독이 자신의 정체가 코조모였음을 코밍아웃(?)한 것입니다.

스눕독의 커밍아웃

스눕독은 메타버스 땅인 샌드박스에 어마어마한 크기의 가상랜드와 대저택을 보유하고 있으며 메타버스 콘서트를 주최할 정도로 NFT에 진심입니다. 

스눕독의 메타버스(샌드박스) 콘서트 장면

그런 스눕독이 2022년 DeeKay의 작품 ‘LIFE AND DEATH’를 백만 달러(한화 약 12억 원)에 사들이며 그의 팬임을 공식 인증합니다. 그리고 이 작품을 자신의 트위터 메인 게시물에 1년 가까이 올려 놓을 정도로 오랜 기간 팬심을 증명해 왔습니다. 

코조모가 구매한 LIFE AND DEATH

이런 돈독한 관계를 바탕으로 코조모가 2022년 할리우드에 위치한 자신의 예술전시장인 ‘Medici Gallery’를 열었을 때 DeeKay는 이를 기념해 ‘Hollywood Gm’이라는 작품을 협업 형식으로 제작하기도 합니다. 

Hollywood Gm(코조모 협업 작품)


“작품이 비싸서 죄송합니다”

DeeKay는 미국에 살게 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집에 제대로 된 침대가 없어 다른 사람이 버린 매트리스를 간신히 구해 사용해야 했을 정도로 심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DeeKay는 자신의 작품 가격이 부담되어 구매하기 어려운 팬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여러 차례 드러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작품을 구매하지 못할 팬을 걱정하기보다 더 비싼 값을 지불할 고객을 찾고 판매하기 위해 신경을 쓰기 마련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DeeKay는 자신을 따르는 팬들을 위해 저렴하게 작품을 구매할 수 있는 ‘Early Access’라는 정책을 통해 최대한 많은 팬들이 작품을 보유할 수 있게 했죠. NFT아트 세계는 아티스트와 팬이 직접 소통할 기회가 많아 작가의 성격이나 성향이 팬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DeeKay와 운영진이 보여주는 세심한 배려와 정책도 팬이 급격하게 늘어난 주요한 이유 중 하나였을 것입니다.


팬들이 전시회를 연다고?

2022년 11월 NFT전용 전시장인 언커먼 갤러리에서는 ‘I LOVE DEEKAY’라는 이름의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특이한 점은 팬들이 전시를 직접 기획하고 개최했다는 점입니다. 전시 홍보 포스터를 만들고, 작품을 배치하고, 전시장을 찾은 사람들을 팬들이 안내하며 작품을 설명한 것은 큐레이터나 작가 본인도 아닌 팬들이었습니다. 

I LOVE DEEKAY 팬 전시회(서울 언커먼 갤러리)

NFT에서는 작가-작품-관람자(팬)의 관계가 유기적으로 얽혀 있어 하나의 팀처럼 움직입니다. 그 팀을 ‘커뮤니티’라고 부르며 이 커뮤니티가 얼마나 건전한 형태로 꾸준히 성장하느냐가 NFT의 가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팬들의 활동을 통해 작품이 알려지고 팬이 늘어나 작가의 작품활동이 탄력을 받도록 돕고 작가는 지속적인 작품 활동으로 세계관을 넓혀갈 수 있는 선순환과정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작가와 팬들이 함께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독특한 NFT아트 생태계에서 DeeKay의 커뮤니티는 하나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글 마지막에 링크된 Deekayverse 디스코드를 통해 DeeKay 커뮤니티에서 누구나 소통할 수 있습니다.)


Behind the Scene - 워커홀릭의 땀과 고뇌

작가 DeeKay는 짧은 시간 안에 NFT시장에서 인정받으며 2년 만에 세계적인 NFT아티스트가 되었습니다. 장면 하나하나를 세밀하게 연출해 뛰어난 모션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2년 간 100종 넘게 제작하며 단기간에 큰 인기를 얻었죠. 현재도 Verified, Self-Control, Work Hard Play Hard과 같은 '수량 제한 에디션' 작품들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작품들이 세상에 나오고 사람들에게 알려지기까지는 10년 이상의 시간 투자와 고된 노동, 치열한 고민이 뒷받침되어야 했습니다. 

Happy Virus

오랜 기간 꾸준히 자신만의 아트를 발전시키며 독자적인 트렌드를 구축하는 예술가는 흔치 않습니다. 자신의 분야에서 정점에 올라서도 초심을 잃지 않고 한결같이 작품 활동을 하는 아티스트는 더욱 흔치 않습니다. 경제적 이익만을 목적으로 트렌드를 따라가거나, 유명 작가들의 화풍을 모방해 판매하기에만 급급한 일부 NFT시장 참여자들에게 DeeKay의 성공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크리스티 자선 경매와 행복을 나누는 예술

Self Discovery

DeeKay는 평소 어린아이들도 감상하고 즐길 수 있는 쉬운 예술을 만들어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이 전달되기 바란다고 할 만큼 ‘행복’은 그의 예술의 핵심 키워드입니다. 그의 이런 바람은 ‘MAPS’라는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으로 정신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단체에 기부하기 위해 마련된 크리스티(Christie’s)에서의 자선 경매로 이어졌습니다. 

경매 출품작인 ‘Self Discovery’는 6월 28일까지 진행된 이 경매에서 ‘Wombatgod’이라는 아이디의 NFT 컬렉터에게 48.4이더리움(한화 약 1억 2천만 원)에 낙찰되었고 해당 금액의 절반이 기부되었습니다. 작품을 통한 ‘행복 나눔’이라는 DeeKay의 소망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되고 있는 셈입니다.


성공의 비결?

꾸준한 노력과 시간 투자가 DeeKay의 주요 성공 비결임에는 틀림 없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가 한 만큼의 노력과 시간 투자를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NFT에 도전하는 아티스트들에게 조언을 해달라는 어느 팬의 질문에 DeeKay가 한 대답으로 그 성공비결을 대신합니다. 


돈이 없어도 예술을 할 의향이 있는지 자문해 보세요. 나를 위해, 나는 단순히 그것이 나를 행복하게 하기 때문에 예술을 할 것입니다. 내 창작물에서 보상을 받는 것은 나를 행복하게 하지만, 내 작품을 세상과 공유할 수 있을 때 더 행복합니다. 하지만 이유가 무엇이든, 성공하고 싶다면 세 마디만 기억하세요. 좋은 예술을 만드세요.


소셜 미디어

• 트위터 : https://twitter.com/deekaymotion

• 인스타그램 : https://instagram.com/deekaymotion 

• 디스코드 : https://discord.gg/deekayverse

• Deekay 개인 웹사이트 : https://deekaykwon.com/

•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deekaymotion


작품 컬렉션

• 컬렉션별 통합 웹사이트 : https://deekaykwon.com/digitalcollectibles

• 작품 구매(민팅) 플랫폼

  - 1 of 1 : https://opensea.io/collection/deekay-1-1 / https://superrare.com/deekaymotion

  - 한정수량작품(에디션) : https://opensea.io/collection/deekay-edition

  - 레츠워크 : https://opensea.io/collection/letswalk             

• 비공식 팬페이지 : https://deekayverse-fan.com/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