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질환 관찰일기 (7)

슬픔을 느끼는 포인트, 서로 다른 역치

100명의 사람이 같은 시간의 동일한 공간에서 극도로 격정적인 드라마 장르 영화를 봤다고 가정하자.

시나리오는 캐릭터가 상황을 느끼고 표현하는 부분, 캐릭터 간 감정의 관계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카메라는 감정의 역동성을 드러내는 데 의도가 있다.

우는 사람이 있고, 울지 않는 사람이 있다.

우는 사람 중에서는 러닝타임 내내 우는 사람이 있는 반면, 특정 장면에서만 우는 사람이 있다. 굳이 수치화를 하자면, 95%의 관객이 눈물을 흘렸을 경우 5%의 관객은 남다른 감정을 소유했다고 가리킴을 받을 것이다. (2024년 한국사회를 사는 몇몇의 사람들은 이들을 T라고 부르기로 하였다)


그렇게나 감동적인 영화를 보고도 울지 않는 그 사람이 T발력 극강인일까? 아니면,

그정도 스토리라인에 질질 짜는 그 사람이 감정 조정 불가한 무늬만 어른일까?


감정은 ‘상황에 대한 몸의 반응’이라고 오은영 의학박사가 말씀하셨다. 이를 빌면 상황 인식이 감정을 결정짓는다고 볼 수 있다. 나를 상황에 얼마나 대입하느냐, 내가 상황에 얼마나 맞아떨어지느냐, 그 순간 나는 그 감정에 몰입되는 것이다.


오 박사의 박사 학위 논문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와 감수성 간의 연관성을 주제로 한다. 물론 나는 읽어보지 않았다.


아까 그 극장으로 돌아가보자. 1) 되게되게 슬픈 장면이 있는데 나는 눈물이 나 죽겠는데 내 옆에 앉은 그 사람은 한 치의 떨림도 없다. 극장을 나와 팅팅 부은 눈으로 영화를 얘기할 때 나를 보는 그의 눈빛에 안쓰러움(‘왜 저래’)이 담겨 있다. 혹은,

2) 되게되게 통속적인 신파 그 자체인 영화를 보고 나왔는데 같이 본 그 사람은 인생 영화라며 별다섯을 기꺼이 내어준다. 대체 어떤 취향을 가진 것인지 궁금해 죽겠는데 따질 수는 없다. 그 장면, 그 대사, 그 음악에 그의 마음이 투영된 것이므로 그를 손가락질 할 공간은 존재할 수 없다는게 천추의 한이다.


피도 눈물도 없는 소시오패스 같은 그 사람이 그릇된건지 논리도 없는 명제에 설득당하는 그 사람이 어리석은건지 ‘판단’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를 판단하려고 했던 노력은 결실을 맺을 수 없는 노역이 되어 버린다.

바꾸어 말하면 내 감정의 영역이 가진 논리체계에서 그의 감정을 보듬으려는 행태는 노력이라는 탈을 쓴 술책이다. 그의 경험, 이해, 생각, 신념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100% 동일한 분자로 구성되지 못했으므로 100% 동일한 반응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은 서로를 안타까워 하면서 살아간다. 내가 알고 상상하는 그 사람은 그의 단편에 근거한 것인데, 그의 슬픔에 공감한다며 위험한 도박을 한다.

많은 이상주의자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느슨하고 한계 많은 소통”이 평안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다음 두 가지 중 하나가 선행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슬픔의 역치를 수용할지, 또는 내 슬픔의 역치를 그가 받아들이지 못하더라도 고통스럽지 않을지. or 조건이나, 그 중 하나는 무조건이다.


*느슨하고 한계 많은 소통이라는 구절은 영화 <여행자의 필요>에 대한 이동진 평론가의 한줄평에서 인용하였다.

**구원 환상에 관한 이미지는 심리 상담 티브이 프로그램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홍석천 씨 편에서 가져왔다.

작가의 이전글 질환 관찰일기 (6)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