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VOX ENGLISH Jun 27. 2023

동화책 올바르게 읽어주기

영유아 문해 발달을 위한 올바른 동화책 읽어주기

문해력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지식이 풍부한 파트너와의 사회적인 상호작용입니다. 많은 연구들이 부모나 교사와 같은 성인과의 상호작용이 문해력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박선해(1995)의 연구에서는 책 내용에 대한 언어적 상호작용 훈련을 받은 어머니가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비해 개방적이고 복잡한 질문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개방적이고 복잡한 질문은 닫힌 질문에 비해 아이들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데요, 이러한 질문 이후 이어지는 유아의 반응에 적극적으로 송환 효과(feedback)를 주고, 유아의 언어 능력에 맞는 점진적 언어적 요구를 하는 것이 2~3세 유아의 발화 빈도나 길이와 같은 언어 표현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차숙(1992)의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과정에서 책을 매개로 유아와 어머니 간 내면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유아가 그림으로 된 이야기 읽기 활동에 참여하게 되므로 유아가 이야기책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김정화(1996)의 연구에서는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해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만4세 유아의 문해 행동, 문해 자료에 대한 탐색 행동, 읽기 행동, 쓰기 행동의 빈도와 지속 시간을 증가시키고, 주변 환경의 문자 읽기 능력과 문해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습니다.


이경화(1998)의 연구는 교사와 유아들이 반복해서 읽고 책 내용을 이야기로 재구성하는 활동을 통해 4, 5세 유아의 읽기 발달 단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단어 해독 능력, 쓰기 발달 수준, 책 내용 이해 능력, 개장 능력 등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김영애(1998)의 연구는 취침 전 책 읽어주기 활동과 같은 어머니와 유아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읽기 능력, 어휘 능력, 문장 이해 능력, 쓰기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이처럼 책을 읽어주는 행위는 아이의 문해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요, 단순히 써있는 글씨를 읽어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문해력 발달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동화 속 이야기나 삽화에 대해서 아이와 이야기하는 등 상호작용을 최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김정화 (1996).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김영애 (1998). ‘취침 전 책 읽어주기 활동’과 어머니-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민옥진, 이윤경 (2001). 동화 내용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문해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저널 22(1), pp 163~175.

박선해 (1995). 그림책 읽기를 통한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훈련 효과가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경화 (1998).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 큰책접근법』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차숙 (1992). 유아의 이야기책 읽기 활동에서 어머니의 매개적 역할이 유아의 문식성 발달 과정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작가의 이전글 기질의 종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