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우주 Apr 10. 2024

가슴 한 가운데 삽질을

『오십의 주역공부』_책 읽는 마음



"왜 덜어내는 것이 먼저일까? 덜어내야 진리를 담을 수 있고, 마음의 평화를 누릴  수 있다. 마음에 온갖 욕심과 번민이 가득한 사람이 어떻게 진리를 품겠는가? 마음의 자리가 비좁아서 진리가 들어갈 틈이 없다. 진리를 품으려면 하늘로부터 타고난 본성을 보존하는 데 저해되는 요소를 먼저 덜어내야 한다."

- 『오십의 주역공부』 167쪽, 김동완



가끔, 미친 거 아닐까 생각하며 과자를 폭식한다. 갈급 들린 사람마냥 맛도 향도 모른 채 마구마구 먹어제낀다. 누군가 본다면 필시 실성한 듯 여길법한데 그래서 누가 볼까봐 더 허겁지겁이다.  그런 날은 내가 과자를 먹은 것이 아니라 과자가 나를 집어삼킨 날이다.


그렇게 책을 읽을 때가 있다. 누가 쫓아오는 것처럼, 걸신들린 듯이 읽는다. 어쩌면, 읽는 것이 아니라 화를 풀어낸다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렇게 눈에 불을 켜고 질주해 한 권을 독파하고 나면 나 자신이 가엽다. 무엇에 그렇게 쫓겼니. 뭐에 그리 화가 났니. 안쓰러워 울어주고 싶을 때가 있다.

 

한 때는 산도 그렇게 탔다. 자전거도 그리 탔고 근력 운동도 그렇게 했다. 어째서 그렇게 과했을까.

공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내가 마주한 것들과 내게 온 것들을 담아두고 찬찬히 살펴볼 공간이 내 안에 없었기 때문이다. 꿈꾸는 것, 이룬 것 들만을 죄 끌어안고 틀어쥐고 있으니 새로운 것을, 좋기도 하고 싫기도 한 그것들을 담을 공간이 없었다. 좋은 것은 기껍고 반가운 마음으로 '너 참 예쁘구나' 말해줄 시공간이 필요하다. 싫은 것은 의아한 마음으로 '너에게 왜 동의 되지 않지?' 물어보아야 한다. 그런 과정을 거칠 새 없이 계속해 새로운 상황과 사람을 맞아야 했으니 버거웠던 것이다. 조급했던 것이고 잘못되어 가고 있다는 걸 직감했던 것이다.


어떻게 공간을 만들어야 할까. 무엇을 덜어내야 할까.

꿈은 남겨두고 싶다. 지금 괴롭지 않자고 소망하는 바를 버리고 싶지는 않다. 꿈이라는 탈을 쓰고 있는 허황과 망상이 한 켠에 자리 잡고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보다 보면 무엇이 꿈이고 무엇이 잘라내도 되는 욕심인지 알 수 있겠지.

지금껏 이룬 것들은 어떻게 할까. 모두 버리고 無의 상태로 매 순간을 시작하는 것은 아직 이만큼의 내공으로는 불가. 자랑하고픈 것들과 지우고 싶은 것들을 먼저 나누고 정말 뽐내도 되는 건지, 진정 쓸모없는 건지 돌이켜보는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 낯붉거나 때로는 괴로운 시간일 수 있겠지만 그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남길 수도 덜어낼 수도 없으니, 그리하여 새로운 것들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없으니 거쳐보는 수밖에.


공간이 생기면, 그러니까 꼭 있어야 할 것들만 남으면 내가 무엇을 해왔고 무엇을 할 수 있고(없고) 무엇을 꿈꾸는 사람인지 알게 되면, 갈급도 화도 생겨나지 않을 것 같다.

보자. 그동안 방황하는 심정과 선생을 구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어왔고, 그렇게 읽은 책의 독서후담을 몇 글자 남길 수 있지만 아직 힘 가진 글을 써내진 못한다. 글공부 부지런히 갈고닦아 스스로 생명 잇는 글을 쓰고 싶다. 오늘의 글을 쓰며 얻은 결론은 이것, 나의 본질이 이렇다는 것. 자, 이제 삽질 더욱 분발해 공간을 만들자.



 


작가의 이전글 의사 수와 책방 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