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O아레나 Feb 10. 2024

애드센스 광고 수익 변화, 고단가 키워드 시대는 끝인가

광고 클릭당 단가(CPC) 급락, 노출수익(CPM) 증가, 트래픽 중요성

작년 11월 애드센스 측에서 예고한 대로, 광고 수익 지불 방식에서 큰 변화가 체감된다

댄 테일러가 예고한 것처럼, 

CPC 수익이 크게 감소하고, CPM 수익이 크게 증가했다



2024년 2월, CPM 수익 증가 추세 뚜렷 

2023년 11월, 애드센스 수익 변화 공지 (CPC to CPM)


광고 수익 지급 방식
CPC (Cost per Click)
광고 클릭  당 비용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8196?hl=ko
CPM (Cost per Mille)
웹페이지에 광고 1000번 노출 당 비용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32725?hl=ko&sjid=14372208381645718836-AP
광고 수익 유형에 대한 정의는 위 구글 공식 안내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다


지금까지는 광고 클릭당 수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1번 클릭에 $10를 훨씬 넘는 금액의 고단가 광고도 존재했다


특정 광고를 통해 높은 금액의 매출이 발생하면 그만큼 보상을 받는 구조인데,

광고주에게 큰 수익을 얻는 대가로 받는 것이니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현실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유저들은 CPC가 그렇게 높을 수 없다

특히 방문자가 많은 블로그라면 더더욱.


유료광고를 사용해서 특정 대상을 정밀하게 타깃하고

한정된 방문자에게 고단가 광고를 노출시킬 때면 그나마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검색유입으로 방문자가 하루 5천 명, 1만 명을 넘어가면서부터는 고단가 광고만 붙을 수는 없다


원래 CPC가 평균이고, 방문 트래픽이 많은 블로거들 입장에서는

CPM이 높아지는 방식이 당연히 반갑다


내가 운영하는 블로그는 전부 광고 클릭당 단가가 평균에 속하고

트래픽에 따라 비례해서 수익을 내고 있기에 좋기도 했지만, 

과연 CPM 수익을 많이 주는 방식이
광고주와 애드센스에게 도움이 되는가 싶은 의문이 드는 게 솔직함 심정이다


애드센스 수익을 받는 입장에서야 최대한 많이 받고 싶겠지만,

어쨌든 이 광고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되려면 광고주가 광고비 이상의 수익을 뽑아야 한다

그래야 애드센스에 더 많은 광고비를 쓸 게 아닌가.


광고 노출이 많이 되면 물론 익숙해지긴 하겠지만,

너무 많이 노출되면 오히려 그게 인지도를 넘어서 불쾌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쿠팡 광고 너무 많이 나온다고 불평하는 사람이 많은 것처럼.


광고 노출이 많이 되면 무명 회사가 인지도를 높이는 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당장 광고비를 투입해서 실제 매출로는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



2023년 12월,
2024년 1월,
애드센스 CPM, CPC 수익 비율

2023년 12월 CPM, CPC 수익 비율
2024년 1월 CPM, CPC 수익 비율


CPC 수익 비율 : 66.8~71.6%

CPM 수익 비율 : 27.9~32.6%


가끔 보면 전면광고만 사용한다고
눈에 보이는 디스플레이 종류의 광고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아주 조금만 사용하는 분들도 있다

그러면 CPC 수익 비중이 90%가 넘는 경우도 있다


CPM 광고 수익의 비중이 훨씬 높은 사람도 있을 테고, 편차는 크다

내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경우 작년 12월에 비해 1월에는 CPM 수익이 약 5% 정도 늘었다

아예 무시할 수 없는 수치지만, 이 정도는 사실 오차라고 볼 수도 있다



2024년 2월,
애드센스 CPM, CPC 수익 비율


CPC 수익 비율 : 10.3%

CPM 수익 비율 : 89.6%


CPC 수익이
70%대에서
 
10%대로
낮아진다고..?


이제 2월 9일이지만, 이게 진짜 말이 되나 싶은 수준으로 CPC 수익이 낮아지고 있다

잘못 봤나 싶었다

물론 당분간 변동이 클 수 있지만, 이 정도로 급격하게 기울 거라고 생각은 못했다


원래 CPC가 평균적으로 $0.2 수준이었기에 내 블로그의 경우 수익이 좀 증가한 편이다

CPC가 높다는 걸 장점으로 내세우던 사람들은 타격이 클 텐데,

그걸 솔직하게 풀어낼 사람이 있을까 의문이지만 궁금하긴 하다


아마 이번 변화에 따라서 고단가 광고를 외치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꾸준한 기록이 수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공유합니다


https://litt.ly/seoarena


매거진의 이전글 티스토리 고수익자는 대부분 저품질? 현실이 그렇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