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늘의 다금 May 03. 2023

#5. 미국과 유럽의 경제는 어떻게 흘러왔을까?

다금씨와 함께하는 경제상식 콕콕!



안녕하세요, 다금씨와 함께하는 경제상식 콕콕! 에 오신 쑥쑥이 여러분!! 벌써 다섯 번째 주를 맞이하다니 시간이 참 빠르게 지나가는 듯합니다. 최근 들어 부쩍 바빠져서 정신없는 하루하루를 보내다 보니 벌써 5월이 왔다는 것이 실감 나지 않습니다. 사실 최근 브런치 관련한 고민도 많이 했습니다. 여러분들께 어떤 식으로 전달하는 것이 좀 더 쉽게 와닿을 수 있을까, 또 어떤 콘텐츠를 담을까 등 내용적 부분에 대한 고민도 했고.. 중간중간 한 컷씩 담기는 그림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서도 많은 고민을 했던 것 같습니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서 제 글을 읽어주시고 공감해 주시는 분들께 죄송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항상 찾아와서 읽어주시고 공감해 주시는 것에 정말 정말 감사하기도 합니다. 앞으로 좀 더 많은 분들이 저의 콘텐츠를 찾아주시고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말씀을 전하며, 오늘의 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미국의 경제 흐름과 유럽의 경제 흐름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준비되셨나요? 그럼 시작합니다!



미국 경제의 flow


(1) 1994년 브레튼 우즈 체제

브레튼 우즈 체제란, 2차 세계대전 직후 서방의 44개국 지도자들이 미국 브레튼 우즈에 모여 확립한 것으로 그 운영을 위하여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을 설립하기도 하였습니다. 브레튼 우즈 체제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달러의 기축통화화

둘째, 달러 발권국은 오직 미국

셋째, 금 1온스는 35달러로 태환 가능

넷째, 고정환율제도


즉 해당 체제에서는 미 달러와 금을 고정비율로 태환 할 수 있었으며, 다른 통화는 금태환 대신 달러와 고정환율로 교환을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브레튼 우즈 체제로 미국의 달러는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으며, 전 세계적 패권국가로 성장하는 밑거름을 마련하게 됩니다.


(2)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남북으로 분단된 베트남은 공산주의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 간의 이념 대립으로 전쟁을 겪게 되는데, 미국은 베트남의 공산화를 막는다는 명분으로 국익을 위해 미군을 파견하였으며, 64년 8월 2일 공산주의 진영의 지원을 받는 북베트남이 미국 메독스호를 공격하였다는 ‘통킹만 사건’을 조작하여 이를 빌미로 65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하게 됩니다. 이후 1973년 닉슨이 전쟁을 종결하며 미국이 철수하게 되고, 공산주의 진영의 승리로 베트남은 공산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체제를 형성하게 됩니다.


(3) 1971년 닉슨, 금태환 중지

이러한 베트남전 참전으로 미국의 재정악화가 급속화되었고, 달러에 종속된 자국 화폐에 불만을 가지던 유럽국가들이 달러를 금으로 태환 해달라는 압박을 주기 시작하였고, 가치의 고평가가 이루어진 달러에 대한 의심이 증가하며 1971년 서독과 스위스가 브레튼 우즈 체제를 떠나게 됩니다.


미국의 선택지는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달러와 금의 교환비율을 재조정하는 것, 나머지 하나는 금환본위제를 포기하는 것이었습니다. 닉슨은 후자를 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많은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닉슨쇼크’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혼란 수습을 위하여 미국 스미소니언에서 달러의 교환비율 및 환율 오차에 관한 협상이 진행되었고 이를 ‘스미소니언 체제’라고 부릅니다.(이것에 대해서는 유럽 경제 흐름 부분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4) 1975년 사우디-키신저 밀약

닉슨쇼크의 혼란이 가시기도 전, 1973년 1차 오일쇼크가 전 세계 시장을 강타하였고, 이로 인해 유가가 상승하여 막대한 인플레이션이 발생되게 됩니다. 그렇다면 OPEC이 갑자기 오일쇼크를 발생시킨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종교적 갈등 및 석유의 무기화

: 2차 세계대전 후에 팔레스타인 지역에 이스라엘이 건국되었는데, 이스라엘의 건국은 팔레스타인 및 아랍 국가들의 불만을 증폭시켜 왔습니다. 특히 이스라엘의 독립 선언 후 지속적으로 아랍국가들과 갈등을 빚어왔는데 서방국가가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자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침공한 4차 중동전쟁 과정에서 OPEC국가들이 일종의 보복으로서 석유 감축을 통한 유가상승으로 석유를 무기화한 것입니다.


2)   금 시세에 대한 불만

: 당시 원유의 생산과 가격은 흔히 7 공주라고 불리는 메이저 기업들에 의해 조정되고 있었는데, 닉슨 쇼크 이후 금값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원유가격은 해당 기업들에 의하여 낮은 가격으로 억제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불만을 품은 중동국가들이 유가상승을 도모한 것입니다.


오일쇼크는 전 세계적인 스테그플레이션을 야기하였고, 이 과정에서 사우디와 미국 헨리 키신저 사이의 밀약이 체결되게 됩니다. 사우디는 이러한 중동 분쟁에서 이란의 왕조가 망하는 것을 보며 자국 왕조 유지에 대한 불안이 증폭되었고, 석유 금지 조치 철회와 석유 결제 달러화 조건으로 미국으로부터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받아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고자 하였던 것인데, 미국의 입장에서도 OPEC 내 석유 거래 시 달러를 사용하면 결국 미국이 무역에서 달러를 사용함으로써 달러가 유출되더라도 OPEC과 석유거래를 통해 달러가 재유입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미국에 달러가 다시 유입되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우디와 미국 사이에 이러한 밀약이 체결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를 ‘페트로 달러 시스템’이라고 부릅니다.


이후 미국은 지속적으로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위협하는 것에 대한 억압을 시행해 왔으며 일례로 이란의 후세인이 OPEC 내 석유 결제를 유로로 시도하였다 사망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후세인의 죽음은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 이후 미국이 대량 살상무기를 소유하였다는 명목으로 후세인을 모함하여 죽음으로 내몰았던 것으로 결국 후세인이 달러의 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억압으로서 발생한 것이라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이건 여담입니다만, 제가 경제학 교수님이나 경제 관련 직종에 종사하시는 분들과 대화할 때면 우스갯소리로 미국의 최대 수출품은 달러가 아닐까요? 하고 농담을 하곤 합니다.(웃음) 그렇다면 유럽의 경제는 어떤 식으로 변화해 왔을까요?


유럽 경제의 flow


유럽의 경제 흐름은 크게 3단계를 거쳐 변화되어 왔습니다.


(1) 1958년 EMA(유럽통화협정)

EMA란 유럽 내 통화 협상국끼리는 물론 미국과 유럽 사이의 거래 시에도 고정환율을 사용함으로써 통화의 안정성을 도모한 정책입니다.


(2) 1973년 JFS(공동변동환율 시스템)

JFS란 유럽 내 통화 협상국끼리는 고정환율을 택하였지만 EMA와 달리 미국과의 거래 시에는 변동환율을 택한 것으로, 이를 스미소니언 체제라고 부릅니다.. 스미소니언 체제에서는 유럽과 미국 거래 시 환율의 오차범위를 -2%~+2%까지 허용하였습니다.


(3) 1979년 EMS(유럽통화시스템)

EMS 역시 내용은 JFS와 동일하지만 변동환율의 오차범위를 JFS보다 더 넓게 설정하여, -6%~+6%로 확대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정환율을 지키기 위한 부담이 적어지고, 각국 통화정책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집니다.





오늘의 한마디


오늘 미국 경제와 유럽 경제의 흐름을 조금 디테일하게 다루어보았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의 관계가 얽혀있을 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부분의 변화가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을 한 번에 이해하는 것은 당연히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역시 이 부분을 준비하며 정말 많은 정보를 찾고, 정말 많은 책을 읽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한 번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너무 스트레스받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이걸 한 번 읽고 이해하는 분이 계시다면 정말 정말 똑똑한, 어쩌면 천재에 가까운 쑥쑥이 분이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웃음)


오늘의 주제는 어떠셨나요? 오늘의 주제가 어렵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음 주부터 약 5주 간 BASIC특강이 연재됩니다. BASIC특강에서는 경제학의 기초 이론과 용어를 다룰 텐데, 이 내용 역시 제가 올려드리는 기본 편들을 이해 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하기 때문에 경제 지식이 바삭한 분들도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한 번 정도는 읽어보시길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오늘도 저와 함께 끝까지 달려온 쑥쑥이 분들께 정말 정말 감사하며 다음 주도 여러분들에게 유익한 정보만 쏙쏙 뽑아서 찾아올 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많관부!! 그럼 다음 주, BASIC특강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늘의 다금

instagram :https://instagram.com/d.gold_23?igshid=YmMyMTA2M2Y=


blog :https://m.blog.naver.com/today_dg_


작가의 이전글 #4. 돈을 유통하는 방법과 그 부작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