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라기 Feb 24. 2024

후배와 함께 일한다는 것

좋은 선배 되기도 연습이 필요하다

사실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함께 일하는 인턴 분이 한숨 쉬며 말하더군요.

불명확했던 저의 피드백, 그로 인한 수차례의 수정 작업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저는 저대로 감정이 상했고, 처음 마주하는 이 상황이 너무나 어렵고 답답했습니다.


사실 큰 어려움은 없을 줄 알았습니다. 학내 동아리에서도 많은 후배들과 팀 프로젝트를 진행해 봤으니까요. 그저 ‘좋은 선배가 되어야지’하는 마음 가짐으로 일하면서 함께 친목을 쌓으면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거든요.


하지만 회사에서 후배와의 관계 맺기는 조금 다른 문제였습니다. 결과물을 내야 하고, 인턴들의 리소스도 함께 고려해야 했습니다. 스스로도 1인분의 몫을 해내기 힘든데, 이런 ‘내가 후배들에게 피드백하고 과제를 요청할 수 있을까?’ 막막하기도 했죠. 그래서 팀 선배와 점심 식사를 하며 고민을 토로했습니다.



“도푸지는 우선 자신에 대한 믿음이 필요하겠네요. 적더라도 여태까지 쌓아 올린 경험은 무시할 수 없고, 팀원들도 도푸지를 믿고 있답니다.


그리고 어떤 선배, 혹은 리더가 되고 싶은지 생각해 보세요. 그것만으로도 인턴들과의 관계 정립이 조금 더 수월해질 거예요. 도푸지는 어떤 선배가 되고 싶은가요?”


선배님은 제 고민의 본질을 정확히 짚어주셨습니다. 후배들과 일하기 부담스러웠던 큰 이유 중 하나는 제 역량에 관한 불신이었거든요. 저도 모르게 ‘내가 주는 피드백의 방향이 잘못되면 어떡하지’, ‘이런 일을 맡겨도 되는 걸까?’하는 자기 확신이 부족했던 것이지요. 하지만 팀원들도 제 역량에 관해 믿어주고 있다는 말을 들으니 조금 자신감도 생기고, 안심이 되었습니다.


어떤 선배가 되고 싶냐는 말씀도 머리를 울렸습니다. 막연히 ‘친절하면 되겠지’ 생각했던 제 가정이 무너지는 느낌이었죠. 곰곰이 생각해 보니 저만의 강점인 ‘밝음, 에너지’는 유지하되, ‘꼼꼼하고 강단 있는’ 선배로 남고 싶었습니다. 이런 이상향이 생기니 후배들과 어떻게 함께 일해야 할지 조금은 감이 잡혔습니다.


어쩌면 선배와의 관계보다 후배와의 관계가 더 어려운 건 ‘더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었을 겁니다. 그럴수록 자기 확신을 놓치지 않고, ‘스스로 되고자 하는 선배의 모습’을 선명하게 그려보며, 선배로서의 역할을 연습해야겠습니다.



- Editor_도푸지


매거진의 이전글 조직변경을 대하는 마음가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