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DA다정 Sep 05. 2023

영국 대학원 독학으로 준비하는 방법

Fashion Fututres at LCF


안녕하세요, 다정입니다. 오늘은 UAL 소속인 London College of Fashion의 대학원 과정 준비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London College of Fashion 의 Fashion Futures 과정은 경쟁률이 다른 과정보다 치열하여 수강 신청 자격 요건이 엄격하다고 합니다. 또한 이 과정은 다양한 사회 경제 및 문화적 배경의 학생들을 모집하고, 성숙한 학생들의 지원을 환영하며 UAL의 평등 기회 정책을 완전히 준수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MA 패션 미래 과정에 지원하는 대상?

• 패션 지속 가능성과 혁신에 대한 명확한 헌신이 있어야 합니다.

• 호기심이 많고 비판적인 접근을 가져야 합니다.

• 실천은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탐구하는 것에 열려 있어야 합니다.

• 도전을 즐겨야 합니다.



MA Fashion Futures에서 찾고 있는 인재는 ?

•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

•지원서의 Fashion Future와 관련된 주제에 대한 열정과 참여가 나타내어지고 있는 사람.

• 해당 주제에 대한 스스로 주도적인 노력을 통해 이미 주제에 관여한 사람.

• 창의성, 비평성, 아이디어를 명확하고 미적인 감각을 가지고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신청 자격 요건]


1.패션 관련 분야에서 BA 학위 2.1 학점 이상 (4.0만 점)의 학위를 가진자.

2. 다른 과목의 학위를 가진 지원자도 응용 과목에 따라 고려될 수 있습니다.

또는 3. 동등한 자격증이 나 최소 3년 이상의 관련 및 정량적인 산업 경험.


-> 저 같은 경우에는 BA 학위가 없지만 4년 이상의 패션 산업 경력으로 자격 요건을 충족했습니다.


영어 능력 요건 : 아이엘츠 IELTS 7.0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각 세션 (리딩/리스닝/라이팅/스피킹) 최소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저처럼 영어권 대학교를 졸업한 경우에는 아이엘츠는 따로 필요하지 않고, 대신 졸업 증명서와 성적 증명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석사과정 지원을 위한 필요 서류와 과제]


1. 이력서 (CV)

2. 자기소개서 (Personal Statement)

3. 에세이 (Essay)

4. 연구 계획서 (Study Proposal)

5. 포트폴리오 (Portpolio)

6. 비디오 과제 (Video Task)


개인적으로 이 순서에 맞추어 준비했던 것이 다음 과제들을 준비할 때 큰 도움이 되었으므로 이 순서에 맞추어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1. 교육 및 직장 경력을 상세히 기술한 이력서 (Curriculum Vitae 또는 C.V.)

당연하지만 영어로 준비해 주시고, 국내 수상 내역이나 수료증은 영어로 함께 번역해 주세요.



2. 자기소개서 (Personal Statement)

자기소개서는 자신을 소개하고 지원하려는 과정에 적합한 지원자임을 설명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러므로 다음 5가지는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a. 자기소개서는 본인의 원작이며 본인에게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b. 특정 과정에 지원 동기를 명확히 합니다.

c.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과정의 요구 사항과 연결합니다.

d. 과정에 대한 열정을 나타내고 이를 자신의 성격과 어떻게 조화롭게 연결하는지 보여줍니다.

e. 서한이 잘 구성되어 있으며 맞춤법, 철자 및 구두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자기소개서는 따로 글자 제한이 없으며, 저는 1000자 안팎으로 제출했습니다.



3. 에세이 (Essay)

지원에는 1,000~1,500 단어 이내에 에세이에 주제에 맞게 글을 제출해야 합니다.

'원하는 세계를 상상해 보십시오. 이 세계에서 패션은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보일까요?'

참고문헌과 적절한 인용을 포함하십시오.


->"Opening Day 당시, 어떤 인용 스타일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었습니다. 여쭈어보니 'Academic Writing'이면 어떤 포맷을 사용해도 괜찮다고 알려주셨습니다. FIT 재학 당시 MLA 스타일의 참고 문헌을 사용했는데, 영국에서 석사과정을 이수중인 친구들의 조언으로 '하버드 스타일' 인용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래는 하버드 스타일 참고문헌 인용을 생성해 주는 웹사이트입니다.

https://www.citethisforme.com/citation-generator/harvard




4. 연구 계획서 (Study Proposal)

연구 계획서는 500 단어 이내 (연구 소스 및 참고문헌을 제외) 로 간결하게 작성되어야 하며 다음을 포함해야 합니다.


1. 연구 제안의 맥락을 제공하여 문화, 생태 및 사회적 측면에 대한 지식, 기술 및 가치를 강조합니다.

2. 프로젝트 제안의 초점을 제안하며 디자이너, 구매자, 제조자, 커뮤니케이터 또는 착용자의 관점에서 고려합니다.

3. 제안이 튜터의 의견을 듣고 크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MA 수준의 공부에 대한 준비를 보여줘야 합니다.


포함해야 하는 내용:

- 연구 소스: 조사할 또는 이미 조사한 도서관, 박물관, 갤러리, 행사, 기관, 회사 및 아카이브를 지정합니다.

- 참고문헌: 관련 문헌 자료를 인용하고 참고 자료와 문헌 자료를 모두 기록합니다. 하버드 참고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 부록/이미지: 제안의 핵심과 관련된 추가 자료를 첨부합니다.



-> 개인적으로 많은 시간과 눈물로 지새운 날을 만들어준 인생 첫 '연구 계획서'.. 주위 대학원생 친구들은 대학원 과정 마지막에 하는 것을 왜 지원할 때 해야 하냐면서 굉장히 놀랬던.. 그들이 놀란 만큼 저도 너무 놀랐던 과제였어요.


대(학원) 알(지) 못(하는) 사람의 첫 연구 계획서 쓰는 방법

석사 과정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아이디어 개요. 주제는 무엇이며, 어떤 연구를 할 것이며, 결과물은 어떨 것으로 예상되는지?




a. 일주일간은 Scribber라는 연구 계획서 쓰는 방법들을 알려주는 웹사이트에서 연구 계획서 쓰는 방법을 공부했습니다. (https://www.scribbr.com/research-process/research-proposal/)




또한 연구 계획서란.. 참으로 다양한 종류가 많더라고요. 이때 모든 대학원생 분들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느꼈어요.

b. 관련 있는 논문 자료들 읽기 : 에세이 준비 당시 읽었던 많은 논문 자료들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또한 저는 패션 디자이너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툴을 만드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기 때문에 하고 싶은 공부 (연구)를 미리 생각하고 쓰는 것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c. Peer Review :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피어 리뷰란 특정 학문 영역의 동료 전문가들의 연구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영어 네이티브 또는 대학원 과정 이수 중인 친구들에게 부탁하는 것을 추천해요!



d. Gantt Chart 추가하기 : 간트 차트(Gantt Chart)는 작업 일정을 막대 그래프로 시각화한 도구입니다. 작업의 시작과 종료일을 보여주며, 작업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프로젝트 관리와 일정 계획에 유용한 도구이며, 간트 차트를 도입함으로써 저의 연구 계획서가 실제에 입각하는지 어필할 수 있어요.


간트 차트는 옵션이긴 하지만 영국 킹스칼리지에 졸업생이었던 룸메이트의 조언으로 추가했어요.

실제로 화상 면접 당시, 인터뷰어였던 조교수님이 저의 Study Proposal 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는 코멘트를 주셨습니다. (여기에서 빛바래는 피어 리뷰의 중요성!)





5. 포트폴리오 (Portfolio)


https://www.youtube.com/watch?v=cLjzIiTE9TY


최대 30장의 이미지로 구성된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제출해야 합니다. 대학의 디지털 포트폴리오 도구 PebblePad를 사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제출하며 날짜와 캡션을 포함하여 시각적 작업을 신중하게 레이블링해서 업로드 해야합니다.



-> 포트폴리오는 관련 있는 창의적이고 실제 기반의 작업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제 경우, FIT에서 공부하는 동안 지속 가능한 패션 프로젝트를 꾸준히 진행했기 때문에 이전의 몇몇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규격에 맞게 레이아웃을 다시 작업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2023년에 진행한 개인 프로젝트와 런던의 지속 가능한 패션 회사에서의 아트워크를 병합하여 총 30장으로 제출하였습니다.


*패션 디자인 배경이 없는 분들도 패션 디자인이 아니더라도 환경 또는 기술과 관련된 아트워크나 논문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6. 비디오 과제 (Video Task)

2-3분 분량의 비디오를 제출해 주셔하는데, 카메라를 향해 명확한 영어로 말씀하셔야 합니다.


비디오 과제 내용은 다음 주제를 다루어야 합니다: 포트폴리오 중에서 도전을 경험하고 패션 디자인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 프로젝트 하나를 소개해 주세요. 이 경험이 어떻게 영감을 주었고 LCF의 MA 패션 미래 과정에 지원하게 된 동기를 설명해야 합니다.


-> 비디오 과제 전 스크립트를 만들어 보고 2-3분 길이에 맞도록 연습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는 중간 중간 스크립트를 확인하기위해 맥북 카메라를 이용해 동영상 촬영을 했어요. 또한 저는 한국 창업진흥원에서 진행했던 예비 창업 프로그램으로 진행했던 스타트업 브랜드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비디오 과제는 자신과 자신의 작업을 소개하는 기회로 나의 이야기를 함께 들려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처음으로 대학원 과정을 준비하게 되면서, 대학원 준비가 마치 끊임없는 미션 퀘스트를 수행하는 것처럼 길고 복잡하며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주변에서 영국에서 다른 석사과정을 이수 중인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몇몇의 석사과정은 CV(이력서), 대학 성적 증명서(트랜스크립트), 그리고 자기 소개서(퍼스널 스테이트먼트)만 제출하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오히려 이런 다양한 요구 사항들이 제 자신을 교수진들에게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고, 이 과정을 통해 석사 과정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이런 요구 사항들을 준비하면서 어떤 분야를 공부할지 미리 알아가고 예비 연구를 할 수 있어서 3개월 동안 독학으로 준비하면서 조금 힘들기는 했지만, 동시에 지식을 확장하고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지속 가능한 패션 석사 과정에 질문 있는 분들은 댓글을 달아주시면 제가 아는 만큼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다음에는 영국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작가의 이전글 영국 지속 가능한 패션 석사과정 및 장학금 합격 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