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달베이다 May 06. 2024

2024년 5월 6일 (월)

경제일기

"뉴욕유가"


대피령 내린 이스라엘

가자 라파 지상전 임박

‘진정세’ 유가 또 불안


어그러진 가자 휴전협상

미국에 라파 공격 불가피 전달

휴전상서 하마스의 종전 요구 거부


중동 정세 불안 커지자 유가 반등 가능

미국은 이스라엘행 탄약 선적 보류


평행선 달린 휴전 협상

미국, 이집트, 카타르중재 휴협상

하마스는 지상군 즉각 철수와 종전 요구

이스라엘은 중재국을 통해 인질 33명을 받고

대신에 팔레스타인 수감자 900명 석방

40일간 휴전하는 방안을 제시


이스라엘 총리는

‘전쟁을 끝내라는 하마스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은

이스라엘에 끔직한 패배가 될 것이라고 함


미정부도 이스라엘 확전을 반대하는 메시지를 지속 보내고 있음

이스라엘은 라파 공격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음


중동 정세불안은 유가 급등 가능성 야기


“원달러환율”


지난 연말 달러당 1300원 아래에서

최근 가파르게 상승해서 1400원 선 위협

1370원 선에서 숨고르기 중


올해 원화는

1) 무역수지 흑자가 큰폭으로 지속되고

2)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3) 원화가 가파르게 절하 되는 상황임


왜 그럴까?

1) 지금 원달러환율은 우리의 잘못이기 보다는

2) 팬데믹 국면에서 형성된 미달러의 구조적 강세 영향

3) 한국의 통화 정책이나 경제지표 흐름 보다는

4) 미국 통화 정책 결정이나 기대치 변화 큰 영향을 받고 있음


그러면 앞으로 어떻게 될것인가?

1) 만약 미국 통화정책의 결정에 따라 환율이 결정된다면

2) 미연준의 금리인하가 4분기부터 예상되는 바

3) 원화 절하 압력은 적어도 하반기까지 지속될 수 있음

4) 그리고, 주변국 환율과 연동되어 움직이고 있어서

5) 기록적인 약세를 보이는 일본 엔화

     장기 추세가 약세로 전환된 중국 위안화 감안하면

     원화는 선방하는 것일 수도 있음


결론적으로

과거 외환위기 때와는 상황이 다를 수 있어서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과는 상관이 적을 수 있음


“비트코인”


비트코인 다시 오르나?

미 그레이스케일 ETF 첫 순유입


지난 3일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ETF (GTBC)

순유입액은 6300만달러 (858억원)


다만, GTBC에는 아직 181억달러의 자금이 있음

지금껏 빠져 나간 돈보다 더 많은 규모의 잠재적 유출 대기 자금이 있음


아직은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의미인듯


“오늘의 단상”


어제 오늘 비가 오면서 기온이 많이 떨어짐


중동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고

시장은 여러가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고

투자자들은 어디로 갈지 몰라서 갈팡질팡 하는 듯


우리나라의 환율을 정부가 방어할 수 없는 상황이고

중국, 일본도 비슷한 상황이고

공이 어디로 튈지도 모르겠고


그러나 길게 보면

이 또한 잠시 발생한 작은 소동에 불과 할 것이다


신문에서 기요사키 칼럼을 봤는데

하반기에 투자에 좋은 기회가 올 수도 있다고 함

그러나, 길게 보면 오늘도 기회 일 수 있음


가치관의 차이라고 생각함



2024년 5월 6일 저녁에


#차칸양

#경제일기

매거진의 이전글 투자의 자세에 대해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