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선 May 19. 2023

어느 평범한 인문계 대학원생의  이야기

첫글은 역시 자기소개

나는 n년차 인문계 일반대학원 대학원생이다. 학부와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과정까지 수료했다.

'박사 수료'라니... 누군가에겐 거창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전혀 그렇지 않다.

'박사 수료'란 거창한 단어에 비해,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에 불과하다.

나도 29살까지 박사과정을 마치고, 30살이 되어 드디어 '박사 수료'의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남들이 취업 준비하고 사회 초년생을 지낼 때, 나는 대학을 몇 년 더 다닌 것뿐이다.

 

사실 대학을 몇 년 더 다녔다고 하면, 대학생의 삶과 대학원생의 삶이 비슷할 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아니, 대학원생의 삶이 더 '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학부생은 한 학기에 18학점을 듣는데, 대학원생은 주로 한 학기에 9학점을 듣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부생이 한 학기 내내 보는 책 따위는 대학원생의 첫 주 수업 분량에 불과하다.

일주일에 한 번 경기가 있다고 해서, 축구 선수가 일주일에 하루만 축구를 하는 게 아닌 것처럼,

일주일에 세 번 수업이 있다고 해서, 우리가 일주일에 세 번 공부하는 건 아니다.


사실 공부량보다 더 큰 차이는, 대학생은 '학생'으로서 공부를 하지만, 대학원생은 아니라는 점에 있다.

학교에서 공부를 하니 학생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학생'으로서의 공부와 '업'으로서의 공부는 굉장히 다르다.  

'가수'가 '노래하는 사람'인 것처럼, 우리는 '공부하는 사람'이라고 해야 할지 모른다.


가장 큰 문제는 그 '공부'가 밥을 먹여주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대학원생은 필연적인 N잡러이다.

물론, 금수저는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아무리 금수저여도 이 나이 먹고 부모님께 손을 벌리는 건 부끄러운 일 아닌가?

우리는 '공부하는 사람'이므로, 밥 먹여주는 일을 따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대학원생이다. 논문 편수와 발표 건수로 실적과 평판을 쌓아야 한다.

나는 서울의 모 대학에 소속된 연구원이다. 주 20시간 학부생 글을 첨삭하며 월급을 받는다.

나는 과외 선생이다. 입시 전문 과외 업체에 소속된 국어과 방문 강사로서, 매칭된 학생 네 명을 가르친다.

나는 프로젝트 연구보조원이다. 우리 과 교수님이 책임 연구원으로 있는 프로젝트의 연구보조원으로 일한다.

나는 두 학회의 총무간사이다. A학회는 춘계, 추계 B학회는 하계, 동계 학술대회와 관련된 온갖 잡무를 맡는다.

A학회는 월급 '10만 원', 즉 '연봉' 120만 원을 주고, B학회는 '연봉' 60만 원을 준다.


그렇다, 나는 현재 여섯 개의 공을 저글링 하는 삶을 살고 있다.

누구보다 열심히 사는 것 같지만, 사실 스스로 그렇게 느끼지는 않는다.

나는 '공부하는 사람'이자 '연구하는 사람'인데, '공부'와 '연구'를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학기 나의 상태메시지는 '본업을 잊지 말자'가 몇 달째 바뀌지 않고 있다.

나는 연구원이자 과외 선생이자 프로젝트 연구보조원이자 총무간사이지만,

나는 '공부하는 사람'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