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문선 Nov 19. 2024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일 vs 꼭 피하고 싶은 일

지상 명령이다. 당신은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는 능력과 기회, 그리고 권리가 있습니다. 원하는 것은 리스트업 하십시오. 그리고 꼭 손으로 써서 벽에다 붙여놓으십시오. 그러면 당신은 꼭 당신의 원하는 것을 손에 움켜쥐게 될 것이며, 당신의 원하는 대로 인생을 살게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우리가 가장 많이 읽은 책은 종류를 잠시 생각해 보니, 소위 말하는 <자기 개발서> 혹은 <성공학>과 관련한 책들이 있다. 대학을 가거나 퇴근 후 남아있는 진액을 모두 써가면서 어학공부를 한 것은 학업에 대한 궁극의 목표 같은 것이 남아 있기보다는, 이렇게 해야만 성공이라는 것을 움켜쥐고 겨우 내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적어도 내가 겪은 학창 시절에는 그러한 일말의 희망이 세상을 주가 되던 시절이었다. <시크릿>을 보고, 그대로 간절한 바람을 외치기만 하면, 어느 날 내가 갈망하는 가수가 우리 집 옆집으로 이사 올 것만 같았다..

고백하자면, 언젠간 나도 이러한 ‘성공학’에 푹 빠졌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시크릿의 론 하워드가 먼저 읽어서 시크릿의 모태도 삼았다고 알려진, <부자가 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the science of getting the rich)>를 원문으로 읽고 통째로 외우기까지 했다. 


부자가 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의 핵심은 꽤나 간단했다. 3단계로 이뤄진 부자가 되는 방법은 이러했다. 첫 번째, 세상은 어떠한 물질로 이뤄져 있다. 두 번째, 이것이 우리의 인생을 바꾼다. 세 번째, 그 물질을 네 것으로 만들어라. 


하지만 우리의 간절한 바람은 보통 현실로 이뤄지는 길은 드물고, 우리는 우리가 배운 대로 그 실패의 이유를 우리의 간절함이 떨어지는 것으로 결론을 내거나, 우리가 무언가를 갈망했던 사실 자체 혹을 잊어버린다. 

하지만 사실은 무언가를 간절하게 원하면 이뤄지게 한다는 것은 지금 현세기에 들어와서는 하나의 마케팅 트렌드로 굳혀지게 되었다. 안타까운 사실은 이 시도가 잊을만하면 다시 이뤄진다는 것이다. 어떤 이는 (지금 거의 존재하지 않은) 다락방에서 간절한 바람을 공식으로 만들어서 이루기도 하고, 어떤 이는 해빙, 해빙을 만들 뿐이다. 


물론, 무언가의 명확한 목표를 꿈꾸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 계속해서 자신의 세운 목표를 자신의 머릿속에 되새기며, 노력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목표 설정하는 방식 자체가 성공의 여부를 좌지우지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누군가가 최종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이라는 이름으로 나아가는 데에는 그가 세운 목표의 명확함 혹은 섬세함이 개입했기보다는, 그 사람 자체가 애초에 성공을 위한 강력한 열망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를 좀 더 격하게 말하면, 애초에 될 놈은 되고 안될 놈은 안된다는 뜻이다. 


최근 어느 해외 사업가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반드시 글로 쓰고, 이를 넘어서 자신의 모든 웹사이트 암호를 자신의 목표로 써놔서 이를 강력하게 열망하고 결국 이를 이뤄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굉장히 인상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했지만, 나의 생각은 이 사람의 성공은 자신만의 목표 설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사람 자체의 성공 열망이 더 강했다는 생각 한다. 물론 그 저자 자체는 그 방식이 성공을 이끌었다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큰 열망이 무언가를 이뤄낸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에 가깝지만, 그것은 개인적 편차가 큰 그 인간 자체의 열망이 중요할 뿐, 이를 계획하고 정리하는 방식에는 큰 상관이 없다!라는 것이다. 


2000년대 초중반부터 <꿈과 열망이 살아 숨 쉬던 시대>에 붙을 붙인 삶의 방식은 ‘버킷리스트(Bucket List)’를 만들어 꿈과 행복의 의미를 찾는 것이었다. 꼭 동명의 책이 아닐지라도, 자신의 꿈을 효과적으로 나열하여 이를 실천하는 방식의 삶은, 기존의 “(연간) 목표 짜기의 집착”을 가진 많은 이들의 삶의 방식에 결합하여 큰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나는 어느 순간 이러한 방식을 집어치워버렸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것은 ‘성공’ 혹은 ‘행복’에 대한 기준이 한쪽에 치우쳐져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기존에 내가 생각했던 성공과 행복의 기본 방정식은 ‘무언가를 얻거나 하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 이는 ‘버킷리스트’의 기본 공식과 닮아있는 방식으로, ‘BMW X6 구입하기’, ‘글로벌 TOP 10 기업에 입사하기’ ‘현금성 자산 10억 획득하기’와 같은 것들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서, 이를 일부 이루고, 일부를 이루지 못한 관점에서 보자면, 특정 목표를 이뤘다고 해서 극한의 만족과 행복이 돌아오지는 않는다는 것이었다.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utility)은 ‘어떤 재화의 소비자가 재화 1 단위당 얻는 효용의 증가분(한계 효용)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쉽게 바꿔 말하면, 많은 것을 얻은 이의 만족감은 점차 떨어진다는 것, 쇼펜하우어의 ‘인생은 욕망과 권태 사이를 오가는 시계추와 같다'는 말처럼, 우리는 많은 것을 욕망하지만, 실제 욕망한 것을 이뤘더라도 곧 권태의 굴레에 빠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내가 만난 개념 하나가 ’더킷리스트(Duckit List)’이다. 더킷리스트는 버킷리스트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버킷리스트가 죽기 전에 반드시 하고 싶은 리스트를 의미한다면, 더킷리스트는 이와 반대로 ‘죽기 전에 꼭 피하고 싶은 일’을 뜻한다. 

작가의 이전글 내가 '22세기 생존연구소' 소장이 된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