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울서퍼 Nov 19. 2023

영혼을 위한 생각 정리_01

내가 본 나와 네가 본 나

내가 어떤 사람일까?

가끔 글루미하고, 재미는 없는 편이고, 같이보단 혼자 다니는 걸 선호하는 아웃사이더 스타일이지.


그런데 남들은 내게 ‘긍정적’이고, ‘항상 웃는다’고 한다.

어디서 온 괴리일까.

무엇이 잘못된 걸까.


친구가 요즘은 정부 24에서 학창 시절 생활기록부를 떼어 볼 수 있다며 권하기에, 호기심에 접속해 봤다.

역시나 초중고 12년에 걸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키워드.

“명랑함”. “교우관계가 원만함”.


이거 맞아?

정작 지금 연락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친구는 두 손?

참 나. 한 손으로 세어도 남는다.

세상은 정말 부유하는 껍데기만 보는 곳이구나.

나를 아는 사람은 나밖에 없구나.


그런데 아주 드물게, 저 너머의 나를 알아보는 사람이 있다.

그들이 반가운 한편, 두렵다.

‘저 사람, 날 알아보고 있어.’

그런 느낌이 들면 괜히 한 발자국 거리를 둔다.


누구든 읽어 주길 바라지만, 막상 꿰뚫어 보면 책장을 덮어 버리는 아이러니.


결국 내가 본 나와 네가 본 나, 두 존재가 같길 원치 않는다는 결론이다.

‘넌 어떤 사람이지.’라고 평하는 행동에 ‘흠, 역시 날 전혀 모르는군’ 하고 싶은 거다.

세상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98퍼센트 순응하지만 2퍼센트 반항적인데, 그 2퍼센트가 발현되는 부분이 하필 자아상이라니.


목소리 높여야 할 불합리하고 편협한 것들이 산재한 사회인데, 그런 데선 자신 있게 삐딱선 타지 못하고.

참 비겁하기도 하지.


쫄보 특.

힘 빼야 할 때 에너지 풀로 쓰고 으르렁거려야 할 때 온순해짐.

스스로의 방향 없는 반항심이 문득 부끄럽다.


쓸 데 없는 오기 부리지 말고 투명하게 나아가자.

내가 보는 나와 네가 보는 나. 두 존재의 합일을 그리는 요즘이다.

작가의 이전글 영혼을 위한 심야 혼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