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싸이진 Aug 09. 2023

1. 사용성 테스트

About User research & usability testing

 제품을 홍보하고 개발하기 위해서 우선 그 제품을 사용하거나 경험할 대상자들에 대해서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User research라고 하는 것을 수행하게 되는데 User research는 사실 엄청 나게 큰 방법론이고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기에 그 세부 항목 만으로도 다룰 내용이 많다.


User research는 사람들이 일상에서 제품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의 행위, 동기, 니즈를 특정 맥락에서 연구하는 것을 말한다.


User research에는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하는데 자주 쓰는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다.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 사용자에게 제품과 관련된 특정한 목표를 수행하게 하도록 한 후 관찰을 통해서 사용자에 대한 인사이트 얻는 방법

설문(Survey)-광범위한 사용자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

콘텐츠 테스트(Contents test)-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아보는 방법

인터뷰(Inteview)-대화를 통해서 사용자들의 경험 이해하기, 더 자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보기 위해서 진행하는 방법

A/B test(A/B test)-어느 것이 더 잘 동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동일 대상을 버전을 나누어서 테스트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검증(Information Architecture)-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구조인지 확인하는 테스트, 자료구조와 사람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는 방법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하는 방법

카드 소팅(card sorting)- 사람들이 어떻게 대상을 분류하고 인식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지해, 서로 관련있는 항목을 그룹화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연관시키는지 이해하기 위한 리서치 방법


이처럼 다양한 user research 중에서 UX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를 뽑자면 사용성 테스트라고 볼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란?


사용성 테스트에 대해서 살펴보기 전 사용성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자. 사용성이란 특정 사용자가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사용하여 특정 사용 상황에서 효과, 효율성 및 만족도를 작고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도를 이른다. 

효과성- 사용자가 정확하고 완벽하게 제품을 사용하여 그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효율성- 목표를 수행하는데 합리적인 노력이 드는가 

만족도- 제품을 사용하는데 편하고 즐거운 느낌을 받는가


사용성 테스트는 이러한 사용성을 테스트 하는 방법인데 특히,


사용성 테스트는 한사람이 어떤 제품을 가지고 일반적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거기에 대한 인사이트를 뽑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대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웹사이트, 제품 프로토타입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의 가장 큰 목적은 해당 웹 사이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수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성 테스트를 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는 사람이 혼란스러움을 느끼거나 답답해하는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사용성 테스트의 중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는 크게 두가지 타입으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언제 수행되는지(시점) 그리고 테스트의 목표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1. Formative testing - 제품이 개발되고 있을 때 문제를 고치고 진단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보통은 작은 연구로 진행되고 개발 도중에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2. Summative testing - 제품 제작이 거의 완료 되었을 때/ 완전히 완료 되었을 때 제품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통계적 유효성을 위해서 많은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다.


이 때 몇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는지도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기존의 연구들, 90년대까지의 사용성 연구들은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공식적인 실험 디자인을 토대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굉장히 비싸고, 시간이 많이 들며 엄격하였다. 또한 이런 테스트들이 진행될 경우 숙련된 실험 심리학자, 인간공학자, 인지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적어도 실험 참가자들이 30~50명 정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가장 비용 효율적인 인원은 3~5명의 참가자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아래의 그래프에 따라 5명 정도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Why you only need to test with 5 users




사용성 vs 사용자 경험


 사용성(usability)과 함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라는 말은 자주 함께 사용된다. 새로운 분야이고 많이 발전을 하는 분야인만큼 헷갈리는 부분이지만 내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의를 내리도록 하겠다. 


사용성에 대한 정의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9241-210: 2019에 따르면 이전에 언급했듯이 특정 사용자가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사용하여 특정 사용 상황에서 효과, 효율성 및 만족도를 작고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도를 이른다. 이에 따르면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는 사용자 만족, 효율성, 효과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이다. 결국 사용성 테스트의 경우 제품이나 시스템을 통하여 태스크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9241-210: 2019에 따르면 사용자 경험은 제품, 시스템, 서비스의 예상된 사용 혹은 사용으로부터 도출된 개인의 인식과 반응을 말한다. 

사용성과 비슷하게 사용자 그룹과 사용 맥락에 의해 결정되지만 사용성과는 구분되는 점이 있는데 이는 사용자 경험은 완전히 주관적 측면이라는 점이다. 사용자 경험 테스트(User experience testing)는 사용자 자신이 제품과 상호작용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적인 느낌에 대해서 물어봐야한다. 또 다른 점은 사용자 경험은 시스템 자체 사용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시간 이전의 시간도 모두 포함 될 수 있다. 


좋은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 하고 싶은 UX 디자이너는 이런 사용자 경험을 구체화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Sharp et al(2019)는 이에 따라 제품의 질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두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1) 사용성 목표: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완료해야 하는 과업과 관련된 상호작용의 질을 말하고 사용성의 고전적인 정의에 해당. 효율성, 학습 가능성, 신뢰성, 등을 예시로 들 수 있음.

2) 사용자 경험 목표: 제품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주관적인 인상과 관련된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예를 들어 자극, 새로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적 매력을 의미. 수행하는 작업과는 관련이 없음


 즉, 전체적인 품질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UX)으로는 도구적 품질(유용성, 사용성), 비도구적 품질(심미성, 상징성)의 인지에 대한 감정 반응이 있는데 사용성은 전체적인 사용자의 경험 중 품질 부분에 해당하고 사용자 경험의 경우 좀더 비도구적 품질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출처

-User research, 스테파니 마시

-Interaction design: Beyond Human-Computer Interaction(5th Edition), Sharpt, H., Preece, J., and Rogers, Y(2019)

-https://blog.rightbrain.co.kr/?p=12830

-ISO 9241-210: 2019. “ISO -ISO 9241-210:2019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210: Human-Centred Design for Interactive Systems.”

-Kushendriawan, M. A., Santoso, H. B., Putra, P. O. H., & Schrepp, M. (2021). Evaluating User Experience of a Mobile Health Application ‘Halodoc’using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and Usability Testing. Jurnal sistem informasi17(1), 58-71.

-https://www.nngroup.com/articles/why-you-only-need-to-test-with-5-user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