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목적
오늘의 명장(命章)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人之所惡 唯孤 寡 不穀 而王公以爲稱(인지소오 유고 과 불곡 이왕공이위칭)
故物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고물혹손지이익 혹익지이손)
人之所教 我亦教之(인지소교 아역교지)
強梁者不得其死 吾將以爲教父(강양자부득기사 오장이위교부)
도는 하나(무無, 혼돈)를 낳고 하나는 둘(음양)을 낳고 둘은 셋(음양의 교섭)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을 짊어지고 양을 안고있어 하나가 없으면 다른 하나도 존재할 수 없는 불이(不二)의 기운이 충돌하고 동시에 융합하며 조화를 이룬다.
사람들은 고립(고아), 부족(과), 결핍(불곡)을 싫어하나 이는 오히려 왕이 자신의 이름으로 삼는 것들이다.
그 까닭은 만물은 덜어내면(손해)하면 더해지고(이익), 더하고자(이익)하면 덜어지기(손해) 때문이다.
뭇 사람들이 이것을 가르치니, 나 또한 가르칠 뿐이다.
강건하는 사람치고 제 명을 다 사는 이가 없으니 나는 장차 이것을 근본으로 삼으려 한다.
『도덕경』42장
단상
부담스러운 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감수하는 이유는 도덕경 전체에서 본문에 음양이 명시적으로 적힌 단 하나의 장이기 때문이다.
음(陰)은 유형의 형체이고, 양(陽)은 무형의 에너지로, 둘은 끊임없이 교섭하며 서로를 변화시킨다.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음은 감싸 안으나, 양은 뚫고 나온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자. 여느 부부관계를 떠올려보면 늘 음(아내)은 양을 감싸고 억누르려 하고, 양(남편)은 음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유를 추구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균화가 조화다. 음이나 양이 어느 한쪽이라도 과하거나 부족하면 부부라는 관계가 갖는 존재의 의미는 사라진다. 음양이 서로를 감싸고 반발해 조화를 이루는 과정은 인생의 본질을 상징한다. 음양의 조화는 단순히 개인의 삶을 넘어, 자연과 인간, 사상과 행동, 형상와 기운의 모든 관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만물은 자신의 존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음양의 교통을 필요로 한다.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라도 현실의 물건이나 사상으로 드러날 때 비로소 그 목적이 실현(완성)된다. 음과 양의 교섭은 그 자체로 존재의 목적을 이루는 길이다.
음양의 역동성은 단순히 철학적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모든 사고와 행동에 적용할 수 있다. 생각은 형체가 없는 양의 기운이며, 언행은 형체가 있는 음의 기운이다. 생각이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순간, 양이 음으로 변환되어 음양의 교류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남의 언행을 보고 자신의 생각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음에서 양으로의 변환이다. 이것이 없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는 무의미할 것이며, 따라서 음양의 교섭을 '성찰'이라고 부를 수 있다 여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