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무경 Jun 24. 2024

우정에 관하여 3 우정의 유형

흔히 거론되는 우정의 몇 가지 유형 

우정의 유형

숱하게 많은 사람들이 숱하게 많은 계기에 따라 맺어지는 우정에는 그에 따른 숱하게 많은 유형이 있고 개념이 거론된다. 


특히 중국 문헌은 ●●교(交), 또는 ●●우(友)라는 아주 쉽게 표기할 수 있는 개념 아래 사례들이 모여있다. 더구나 체계가 잘 잡히고 이를 고사성어로 다듬어 놓은 덕택에 이해하기가 아주 편하다. 

그래서 이를 기준으로 우정을 설명하려 한다. 먼저 이들 우정의 항목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고 뒤에 필요한 곳에 옮겨 자세히 설명해 두려 한다. 


[거립지교(車笠之交)]: 수레를 타고 다니는 사람과 패랭이를 쓰고 다 닐 정도로 생활 수준은         

        차이가 나지만 절친한 친구 사이

[관포지교(管鮑之交)] 어릴 적부터 서로 가까이 지내면서 같은 일을 하면서도 서로를 배려해

       준 두터운 사귐

[금란지교(金蘭之交)] ❰역경(易經)❱의 계사(繫辭) 〉에 나오는 말로 쇠와 같이 단단하고

      난초와 같이 아름다운 두 사람 간의 두터운 교분

[막역지교(莫逆之交)] 장자 내편 대종사에 나온 말. 서로 뜻이 통해 거슬리는 일이 없는 벗

♣[망년지교(忘年之交)], 나이를 초월한 깊은 우정. 장유(長幼)를 묻지 않고 단지 재학(才學)으

    로써 사귀는 벗. 출전 진서(陳書).

[문경지교(刎頸之交)],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後 悔)하지 않을 정도(程 

       度)의 사이인 인상여와 염파의 우정. 

[빈천지교(貧賤之交)] 가난할 때의 참다운 친구라는 뜻의 교우. 후한 (後漢)의 시조 광무제 

      때 대신 송홍이 황제에게 한 말

[수어지교(水魚之交)]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떨어질 수 없는 유비와

      제 갈량 사이의 우정적응

[저구지교(杵臼之交)] 절구공이와 절구[저구(杵臼: )]처럼 떨어질 수 없는 절친한 벗의 사

        귐,  

[총각지교(總角之交)]  직역하면 총각 때부터의 사 귄 친구.《시경》의 〈위풍(衛風)〉편에

     실려 있는 〈맹〉이 라 는 시에서 유래됨. 동의어로는 총각지호(總角之好)가 있고 유사어로

     는 죽마고우(竹馬故友)가 있다. 

[포의지교(布衣之交)] 포의(布衣)는 무명으로 만든 옷을 말하며, 이것 은 가난한 서민들이

     입 는 것이므로 서민의 교제, 평민의 사귐, 


[죽마고우(竹馬故友)] 코 흘리개 때부터 같이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정든 벗 

[막역지우(莫逆之友)] 서로 어떤 말을 해도 받으들일 수 있을 정도로 거슬림이 없는 벗. 

작가의 이전글 우정에 관하여 1 우정에 관한 몇가지 견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